울타리목으로 제격인 개나리 개나리는 제일 먼저 봄을 알리는 전령이다. 그리고 꽃의 색깔이 그렇게 화려할 수가 없다. 멀리서 보면 단연 돋보인다. 뒷산의 산벚꽃들이 지금 한창이지만 개나리에 비하면 빛을 잃는다. 배수로 옆에 생울타리로 개나리를 심었더니 배수로 안의 잡초가 힘을 못쓴다. 꽃은 가장 먼저 피면.. 전원생활/귀농과 전원생활 2015.04.23
밭 주변 환경의 중요성 농사에서 재배환경은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꼽힌다. 자연환경이야 인력으로 할 수 없지만 토양 개량이나 주변 환경은 농부의 몫이다. 밭을 갈고 노타리를 치는 이유는 밭작물의 뿌리가 물리적으로 영양 흡수를 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함이다. 토양내 경반층을 뚫고 뿌리는 내리는 옥수수.. 전원생활/귀농과 전원생활 2015.03.22
니어링 부부의 온실 만들기 <조화로운 삶>의 저자 니어링 부부의 온실 만들기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기초 공사 - 땅의 넓이와 깊이를 약 40cm 정도 파고 콘크리트와 돌을 섞어 기초를 다졌다. 2. 온실의 방향과 벽처리 - 남향으로 짓고 북쪽과 동쪽의 벽을 세웠다. 이는 돌벽이 방열기 역활을 하여 하루 종일 .. 전원생활/귀농과 전원생활 2015.02.20
전원생활의 즐거움 요즘 퇴직 후 노후 생활에 대한 고민이 언론에 자주 등장한다. 그만큼 사회적인 문제로 인식되는 때문일 것이다. 특히 은퇴 후 시간을 어떻게 보내느냐에 대한 설문 조사에서 대부분이 TV 시청에 많은 시간을 할애하고 있었다. 무료한 시간을 때우는 방법이 별로 없는 것이 현실인 것이다... 전원생활/귀농과 전원생활 2012.07.17
밭작물 직불금 제도 시행 지난 주말에는 동네 회의가 있다고 연락이 왔다. 이장의 설명에 따르면 300평 이상 밭 작물을 경작하는 농가에 금년부터 처음으로 직불금 지원이 시작된다고 한다. 용지에 신청서를 작성하여 이장의 확인을 받아 면사무소 산업계에 제출하라는 공지였다. 조건은 이미 농업 경영인 등록이 .. 전원생활/귀농과 전원생활 2012.05.13
[스크랩] 농촌에서 잘사는법 연구^ 농촌 정착 시 농업을 기반으로 한 농사관련 아이템, 실버농업, 주말농업, 농업벤처 사업 등에 대한 정보를 안내합니다. 농촌에 정착했다고 해서 모두 농사를 본업으로 삼는 것은 아니다. 더구나 농촌과 산촌이 훌륭한 체험 학습장이나 여가문화를 즐기는 공간으로 각광받고 있는 .. 전원생활/귀농과 전원생활 2011.12.17
사과가 가르쳐준 것. 일본인 농부 기무라 아키노리 씨가 쓴 책의 제목이 <사과가 가르쳐준 것>이다. 기적의 사과로 이미 우리에게 익히 알려진 이야기이다. 사과 과수원을 하면서 기무라 씨가 발견한 자연재배의 신비한 체험이 소개되어 있다. 그는 거의 10년 만에 썩지 않는 사과를 얻었다. 그동안.. 전원생활/귀농과 전원생활 2011.11.24
노후 전원생활에서의 여가 선용 노후에 전원생활을 하게 되면 무엇을 할까? 텃밭이야 농사 짓기 나름이다. 특히 농한기에는 무료하게 시간을 축내고 있을 이유가 없다. 우선 집 주변의 조경에 관심을 갖는 것이 먼저다. 꽃이나 나무를 키우는 취미가 있다면 금상첨화다. 주변의 자연자재를 가지고 자기가 구상한 모습으로 조경을 해.. 전원생활/귀농과 전원생활 2011.10.15
시골에서는 말도 조심해야 한다. 요즘 우리집으로 들어 오는 도로가 공사 중이다. 그러다 보니 동네 길을 돌아 들어 오게 된다. 그런데 그 길이 좁아 만약 다른 장애물이라도 만나면 통행이 매우 불편하다. 지난 주일에는 마침 큰 아들네 식구와 사돈댁이 방문한다는 연락이 왔다. 부랴부랴 마트를 다녀오는데 바로 그 소로에 오토바이.. 전원생활/귀농과 전원생활 2011.10.14
차마 지울 수 없는 카페 글의 흔적 귀농하기 전 후 온라인 카페에 가입해서 농사 관련 정보를 얻으려는 시도는 누구나 하게 된다. 초보 농군은 주말 농장이건 귀촌이든 남의 경험에 귀를 열게 마련이다. 시간이 흐른 후에 보면 아주 기초적인 지식도 처음에는 그렇게 어렵게 느껴지는 것이다. 때로는 시행착오인지도 모르고 남의 흉내를.. 전원생활/귀농과 전원생활 2011.06.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