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전원 농가의 뱁새 농법
<머릿말>
- 차 례 -
제 1 부 <전원 생활 준비>
(1) 어디에서 살 것인가?
(2) 내가 전원을 택한 이유
(3) 부창부수(夫唱婦隨)
(4) 수도권에서 도농(都農)간의 격차는 없다.
(5) 내 몸으로 해낼 수 있을까?
(6) 무엇을 어떻게 준비할까?
제 2 부 <전원주택 짓기>
(1) 집 짓기 전에 살펴볼 것들
(2) 전원주택, 어느 정도가 적당할까?
(3) 남으로 창을 내겠소.
(4) 설계 사무소와 건축업자를 잘 만나야 한다.
(5) 잔디 때문에 웃고 울다.
(6) 사각지대
제 3 부 <전원생활의 명암>
(1) 이웃과의 관계
(2) 잃는 것과 얻는 것
제 4 부 <전원 농가>
(1) 전원 농가의 특성
(2) 등록하거나 신청해야 할 것들
(3) 영농 교육
(4) 필히 심어야 할 두 가지 식물
(5) 작부 체계를 정하는 요령
(6) 네 가지 관리 대상 : 풀,나무, 돌, 동물
(7) 농장의 조경
(8) 해바라기에게 내린 특명
(9) 적재적소(適材適所)의 원리
(10) 기능성 작물과 효소 만들기
(11) 가족 친지들과 함께 즐기는 수확의 기쁨
(12) 김장 축제
(13) 농사 카페의 나눔과 원 포인트 레슨
(14) 통행로의 중요성
(15) 100% 도토리묵
(16) 방앗간에서 듣는 정보
(17) 쓰잘데기 없는 작물
(18) 광포화점을 알고 나니
(19) 고진감래(苦盡甘來)의 도라지 농사
(20) 좋은 흙을 만드는 고마운 땅콩
(21) 순지르기와 곁순 따기
(22) 멧돼지 퇴치와 고라니의 절규
제 5 부 <자연 속의 뱁새 농법>
(1) 뱁새 농법
(2) 자원 순환 농법
(3) 三無 農法을 실현하기 까지
(4) 밭 만들기
1) 옥토를 만들자
2) 이랑과 고랑
3) 혼자 비닐 멀칭하기
(5) 잡초 관리
1) 잡초에 대한 단상(斷想)
2) 엉겅퀴가 꽃필 때쯤 잡초를 잡기 시작한다.
3) 잡초 면적을 최대한 줄인다.
4) 신문지와 부직포
5) 보온 덮개와 차광막
6) 돌과 나무 토막
7) 잡초 대신 군락으로 키우는 것들
(6) 농약을 대신하는 것
1) 천적에 맡겨보자
2) 해충을 부르는 식물과 쫓는 식물
3) 면역력을 높히는 자재
4) 식초 농법과 매실 효소
5) 난황유와 마요네스
6) 과산화수소 농법
7) 전착제에 대한 이해
8) 부비트랩
9) 망사 터널 농법
(7) 거름 주기
1) 미생물과 지렁이에 거는 기대
2) 기비와 추비
3) 쌀뜨물이 보배다.
4) 미량 요소와 천연 아미노산
5) 거름 줄 때 주의 사항
(8) 수분 관리 : 물 주는 날을 정하자
(9) 농기계와 농기구
제 6 부 <가축 때문에 겪은 애환>
(1) 강아지와 함께 한 시간과 이별
(2) 고소한 계란의 맛을 잊지 못해
(3) 토봉이들이 떠난 텅빈 봉장
제 7 부 <농한기에도 할 일은 많다.>
(1) 나무는 농한기를 기다린다.
(2) 농한기에 땅을 만든다.
(3) 볏짚과 돌로 만드는 조경
1) 이엉과 용마름 엮기
2) 잡석으로 만드는 조경물
제 8 부 <재배 매뉴얼과 영농일지>
(1) 고추 농사 어떻게 하면 잘 지을까?
1) 모종 고르기와 본밭에 정식하기
2) 꼬옥 눌러 심자.
3) 방아다리 고추 딸까 말까.
4) 곁순과 고춧잎 따는 시기
5) 지주 세우기와 줄 매기
6) 비료와 농약 주기
7) 탄저병은 피할 수 없는가?
(2) 월별 영농일지를 쓰자.
제 9 부 <꿈꾸는 전원>
(1) 전원의 꿈은 무엇일까?
(2) 멀리 보고 준비하는 소득 모델
(3) 자식들과 함께 만드는 테마 농원
'행복한 은퇴자 > 전원농가의 뱁새농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6. 수도권에서 도농(都農)간의 격차는 없다. (0) | 2012.05.23 |
---|---|
5. 부창부수(夫唱婦隨) (0) | 2012.05.22 |
4. 내가 전원을 택한 이유 (0) | 2012.05.22 |
3. 어디서 살 것인가? (0) | 2012.05.21 |
1.머릿말 (0) | 2012.05.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