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원생활/약,특용 작물

가시오갈피(연구-1)

예농 2006. 1. 15. 22:35
http://blog.naver.com/sstop21/40009278298

 1가시오갈피의 약효성분

 1. 일반적 효능
   오갈피속 식물들은 예로부터 우리나라와 중국에서 식물종간의 구별없이  오가피나무로 통칭하여 왔고 가시오갈피는 오가삼이라 하여 신경쇠약, 식욕부진, 건망증, 불면증, 고혈압, 저혈압, 정력감퇴, 노화현상 병후나 산후의 자양강장제 및 치료제로, 운동선수나 정신노동자들에 피로회복제로 사용되어 왔다. 그 유래를 보면 허준의 동의보감, 세종조의 향약집성방, 중국의 신농본초경, 본초강목등의 고서에 오갈피류를 한약재로 사용한 기록이 전해오고 있다.
  이밖에 향약집성방에는 오래 복용하면 몸을 가볍게 하고 늙음을 견디게 한다.(久服卽輕身耐老)하였고, 신농본초경에는 귀중한 上品으로 기록되어 있다.
 
  2. 주요성분
 가시오갈피의 부위별 주요성분은 근피(根皮)와 수피(樹皮)에서 isofraxidin, sesamin,
β-sitosterol, friedelin, polysaccharides 및 eleutheroside A, B, C, D, E등 이, 잎에는 eleutheroside I, K, L, M 및 eleutheroside A, B, C, D, E등이 분류 동정되다.

가. 가시오갈피 일반성분
 일반성분으로는 엽과 뿌리에 비타민 및 미네날 성분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는 식물로서 알려져 있으며, 이를 성분별로 보면 표1, 2와 같다.

     표1. 가시오갈피 부위별 비타민 함량(농축엑기스 100g당)
                                                   <북해도립위생연구소>
            

      표2. 가시오갈피 부위별 미네랄 성분 함량(농축엑기스 100g당)
                                                       <북해도립위생연구소>
    
      ※ 단위 : 코발트∼나트륨(ppm), 칼륨, 칼슘(%)

   가. 오갈피속 근피의 Eleutheroside E 함량
  오갈피속식물의 근피의 Eleutheroside E 함량을 분석한 결과를 보면 가시오갈피>지리오갈피>서울오갈피>섬오갈피>당오갈피 순으로 가시오갈피가 가장 많은 함량을 보였고, 채취시기별로는 여름보다 늦가을이 높았고, 부위별로는 채취시기에 관계없이 근피에서 월등히 많은 양을 함유하고 있었다.(표3. 4)

    표3.  오갈피속 종류별 근피의 Eleutheroside E 함량 ('94. 호시)
   

    표4. 가시오갈피 채취시기 및 부위별 Eleutheroside E 함량('94. 호시)
   

 또한 가시오갈피 수집종간의 Eleutheroside E 함량은 덕유산>북해산>설악산 수종종 순으로 많았음을 보고한 바 있으나(표 5) 수집종자를 호남작물시험장 포장에서 2년간 재배한 시료를 사용한 분석 결과로서 자생지역별로 같은 시기에 채취하여 분석할 경우는 다른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어 이에 대한 추가적인 검토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표5. 가시오갈피 수집지역별 Eleutheroside E 함량('94. 호시)
                                                    (단위 :㎎/g)
   

  나. 자생 수집종간의 Eleutheroside  B, E 함량
   가시오갈피의 우량계통을 선발하고자 철원 대성산등 강원도내 4지역과 중국종을 수집하여 가시오갈피의 주성분인 Eleutheroside B. E 함량을 분석 비교한 결과 철원 대성산 수집종이 근피, 경피 모두 유효성분 함량이 높았는데 이는 타지역 수집종의 시료가 유목인 점을  감안할 때 성분 차이를 정확히 구별 할 수 없음으로 추후 동일 시료에 의한 추가적인 분석 비교가 필요하다고 본다.  그러나 국내산이 중국산보다, 성목이 유목에서 보다 유효성분함량이 많았다 (표6).
 
    표 6. 가시오갈피 자생수집종간의 근피에서 Eleutheroside B. E 함량
                                                       ('98. 강원북부)
 
   ○ 성  목:자생 채취시 수령이 10년이상
   ○ 유  목:분주 및 삽목묘로 수령이3∼ 5년이하
   ○ 채취시기 : '98년 10월 20 ∼ 30일
   ○ 중 국 산 : 종묘 수집후 강원북부농업시험장 포장에서 재배.

  다. 줄기 직경 및 피층 부위별 지표성분 함량
  가시오갈피 줄기 직경에 따른 지표성분 함량의 차이는 직경 2cm이상인 경우 1cm미만인 줄기의 경피보다 Eleutheroside B는 4.2배, Eleutheroside E는 2.5배가 많았는데 이는 동일 개체내에서도 어린 줄기보다는 생육기간이 길고, 굵은 가지에 약리성분의 축적이 많음을 알 수 있다.(표7)

   표 7.  가시오갈피 줄기 직경별 Eleutheroside B. E 함량('98. 강원북부)
  

  또한 가시오갈피의 외피(樹皮)와 내피(節部)간의 함량을 검토한 결과 Eleuth-
eroside B의 함량은 비슷하나 Eleutheroside E는 내피층에서 4.3배가 많았다.(표8)

   표 8. 가시오갈피 피층부위별 Eleutheroside B. E 함량('98 강원북부)
  

  3. 가시오갈피 재배조건별 지표성분 함량 비교
   유기물 종류 및 시용량에 따른 재배방법간의 성분함량을 검토하고자 우분과 부숙팽연화왕겨를 1000, 2000, 3000㎏/10a, 계분 100, 200, 300㎏/10a를 시용하고 철원특작시험장 시험포장에 가시오갈피 2년생 묘목을 재배하여 1998년 11월에 시험구당 2주씩 분석시료를 수확하여 근피와 경피를 분리 음건한 후 분말화하여 지표성분 함량을 분석한 결과(표9), 유기물 시용에 따른 성분함량의 큰 변화는 유의성있게 나타나지 않았으나 계분시용시 가시오갈피의 근피내 함량은 약간 증가하고, 경피에서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고, 계분 시용량별로는 시용량이 증가할수록 Eleutheroside B, E 모두 근피내 함량이 증가하고 경피내 함량은 감소되는 경향을 보여(표10), 약리성분의 근부위 집적이 계분에 의해 유도될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되었는데 이는 앞으로 계속 검토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표9. 유기물 종류별 지표성분 함량 비교
                                                            ('98 강원북부)


 표10. 계분 시용량별 지표성분 함량 비교
                                                           ('98 강원북부)

 

성    명 : 한 종 수
기관명 및 소속 : 강원도농업기술원 북부농업시험장
                 원예연구계
기관주소 : (269-830)강원도 철원군 김화읍 청양6리 276-4
전화(FAX) : 033-458-4783(FAX:033-458-4858)
E-mail : han-chil@hanmail.net

'전원생활 > 약,특용 작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시오갈피(연구-3)  (0) 2006.01.15
가시오갈피(연구-2)  (0) 2006.01.15
오가피(속)  (0) 2006.01.15
오갈피  (0) 2006.01.15
복분자 딸기-5  (0) 2005.1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