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밭만들기
- 참외와 같은 시기에 미리 퇴비, 유박, 재를 넣고 쌀뜨물을 흠뻑 준다.
- 그러나 참외와 달리 호박은 연작 피해가 거의 없다.
비록 다비성이지만 같은 장소에 심어도 된다.
2. 포트작업
- 종자를 포트에 파종하고 관리한다(4월 중순 경 파종?)
* 농업기술센터에서 교육받을 것임
3. 추비
- 정식 1개월 후 : 1차 웃거름으로 요소와 염화카리를 각각 반숟갈씩
포기에서 40~50 cm 정도 떨어진 곳에 고루 넣어준다.
- 정식 2개월 후 : 2차 웃거름으로 요소와 염화카리를 한숟갈씩 고루 넣는다.
* 요소비료 대신 천연요소와 복합비료를 넣고 유황을 한숟갈 넣으면 어떨지?
- 호박 종류를 재배할 때는 한달에 한번은 반드시 화학비료를 주는 것이 좋은 과일을 얻는 요령이라 한다.
4. 적심과 착과
- 어미덩굴 4~5마디에서 나오는 아들 덩굴 2개만 기르고 나머지 곁가지는 제거한다.
- 그리고 어미덩굴은 6마디에서 적심한다.
- 첫 암꽃은 8결에서 두번째 암꽃은 13결에서 나오는데 모두 제거한다.
* 18~20 마디에서 세번째 암꽃이 필 때 수꽃 가루를 잘 묻혀 수정시킨다.
* 한그루에서 1~2개의 호박만 키운다.
5. 기타
- 호박이 흙에 닿지 않도록 똬리나 짚을 두툼하게 받쳐준다.
- 영국의 어느 어린이는 맥주를 매일 뿌렸더니 초대형 호박(317kg)이 나왔다고 한다.
<수퍼 호박 키우기>
***대형종 호박(맘모스)***
수퍼 호박은 최고 110~120 kg(보통 80~110kg 수준이다) 의 대과로 주로 사료용으로 쓰인다.
처음에는 노란 색으로 착과가 되나 연분홍, 이어서 붉은 색을 띄게 된다.
1개의 과를 위해서는 잎이 18개 필요하며 식용할 수는 있으나 맛이 없다.
종자는 1개 당 1천원의 고가이다.
1. 파종과 포트 작업
- 파종시기: 만상인 5/5~10일에서 역산하여 30~40일 전에 파종한다.(3/25~4/5~10)
- 침종 : 2시간 이내로 한다.(박은 12~24시간)
- 포트 : 직경 14cm 이상인 것을 사용한다.
- 파종 방법 : 종자는 꼭 뉘어서 파종한다.(세우지 말 것)
* 발아 온도: 25~28도 (야간 10~15도, 주간 18~22도)
2. 밭 만들기(정식 1개월 전 미리 판다.)
- 배수가 잘 되고 햋빛이 잘 드는 곳에 구덩이를 판다.
- 구덩이 파기 : 직경 1m, 깊이 80cm 이상 파고
- 퇴비를 리어카 한 대 분량을 두 구덩이에 넣을 만큼 많이 넣고
복합 비료도 1~2 kg 정도 함께 넣은 다음
흙과 50:50으로 구덩이를 수북히 지상으로 쌓는다.
***퇴비와 함께 유박과 재를 섞어 넣어주자.***
- 수북히 쌓은 두둑을 멀칭해둔다.
3. 정식
- 식재간격은 사방 15 * 15m이다.
- 본잎이 3~6매 나왔을 때 옮겨 심는다.(대략 파종 후 30일 경과)
4. 착과 관리
- 원 줄기에서 1과만 착과하여 수확한다.
- 착과일은 3월 말 파종~4월말 정식을 전제하면 5월 중순에서 말 경에 이루어진다.
- 착과 절위는 15~20절에 맺히는 암꽃으로 정한다.(그 이전 암꽃은 모두 제거한다.)
- 굳이 순지르기는 할 필요가 없다.
- 대형 호박은 비대해지면서 원줄기 부분과 착과된 부위의 덩굴이 팽팽해지므로
과를 50~100cm 뿌리쪽으로 당겨놓고 과를 키워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과가 뒤집어 지는 경우가 있다.
- 착과 후 과가 3~4kg정도 크면 호박 밑에 볏짚으로 똬리를 만들어 받침을 깔아 주어야 한다.
(새끼를 꼬지 말고 짚을 두툼하게 묶어 똬리를 만들어 호박이 더 커도 땅에 닿지 않도록 한다)
- 착과 후에는 과만 따로 비가림을 해주는 것이 좋다.(활대를 이용하고 그 위에 투명 비닐을 덮어 주자)
5. 수분과 추비
- 착과 후 과가 3~4kg 될 때까지 요소 비료를 꾸준히 주어야 한다.
- 수분은 매일 주다시피 해야 한다.(비료 성분을 함께 주는 것이 좋다.- 단 질소 과잉은 피할 것)
- 착과 후 30~35일 기간은 과의 몸을 키우는 기간이고 그 후 30~35일은 과가 익는 기간이다.
( 단호박은 20일 , 20일 기간으로 짧다)
그러므로 전 기간에는 질소 성분을 많이 주고 후 기간에는 인산과 카리 성분을 많이 주어야 한다.
*** 요소 비료 대신 천연 요소를 주고
1) 착과 후에는 맥주를 뿌려주기도 하고
2) 효소 우린 물을 관주하기도 하며
3) 유황을 뿌리 주변에 고루 뿌려 놓는다. ***
6. 병충해 관리
- 육질이 연하여 꼭지 부분이 잘 썩으므로 <네아소진(벼문고병약)> 원액을 착과 후 수확 전까지
7~10일 간격으로 붓으로 꼭지 부분에 발라주어야 한다.
- 고온 장마시에는 뿌리 역뱡이 올 수 있으므로 역시 <네아소진>을 1000배 희석하여 뿌리에 관주한다.
- 수확 3~5일 전 필히 역병+ 응애약을 희석하여 살포하여야 수확 후 썩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7. 수확과 저장
- 수확시기는 8월 초 중순 경이 된다.
- 수박처럼 꼭지를 20cm 이상 길게 자른다.
- 수확 전이나 후에 측지 부위에 역시 <네오소진>을 발라서 수확한다.
- 꼭지가 완전히 마르면 3~5cm 정도 남겨두고 자른다.
- 바닥에 빠레트를 깔고 창고와 같이 통풍이 잘 되고 서늘한 곳에서 후숙과 건조를 시키면 장기 보관이 된다.
(부패 방지를 위해 선풍기를 켤 때는 한 방향으로 고저의 2~4대의 선풍기가 필요하다)
- 보관할 때 다른 작물과 함께 보관하면 썩기 쉽다.(필히 따로 보관할 것)
*** 3월 17일 농업기술센터 강의
강사 : 허강석 (아시아종묘 생산관리자) - <017-212-4303>으로 의문사항 문의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