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원생활/약,특용 작물

[스크랩] Re: 뽕나무 묘목심기 (성규병/농촌진흥청자료)

예농 2005. 11. 28. 10:52
  묘목심기
 
기관 : 농업과학기술원 잠사곤충부
 
성명 : 남학우
 
전화 : 031-201-0416
           
 

뽕나무는 영년생 식물이므로 심기 전에 생산목표, 재배법, 사육법 및 농가의 경영조건을 충분히 고려하여 조성하여야 뽕밭생산성을 높이고 경영합리화를 도모할 수 있다.
  

특히 뽕나무는 심근성 작물이기 때문에 토양조건을 개선한 후에 식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농촌 노동력 부족과 임금상승으로 기계화 작업이 불가피하고 뽕밭생산성을 높이기 위하여 밀식으로 식재하며 일시에 무리한 뽕밭조성을 지양하고 연차적으로 단계별 계획을 수립하여 조성하도록 해야 한다.

   
  1. 뽕밭적지 선정
   

 

가. 표고

   

  

표고에 따라 기상조건이 뽕나무 생육에 직접 또는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데 일반적으로 표고가 100m 높아짐에 따라 온도가 약 0.6℃가 낮아진다. 따라서 뽕나무의 생육상 재배한계 표고는 1,000m 정도이지만 양잠 경영상의 뽕나무 재배한계 표고는 중북부지방은 500m, 남부지방은 600m정도이다.

           
    나. 경사도
   

  

경사가 높을수록 지력이 낮고 토양의 유실이 심할 뿐 아니라 남향은 기온이 높은 잇점이 있는 반면 토양수분의 증발산량이 많아 오히려 발육이 불량해지는 경우가 있으므로 유기물 피복 등 토양유실을 막을 수 있는 대책을 세워야 한다. 따라서 뽕밭관리에 기계를 이용하려면 경사도 15%미만의 곳에 등고선을 따라 관행방법에 준하여 식재하고 25%미만은 간이 계단식으로 한다.

           
    다. 기타 유의할 사항
   

  

천수답에 뽕밭을 조성할 경우 배수가 잘 되도록 뽕밭 주위에 배수로를 충분히 파주고 두둑식 재배법으로 심고 벼, 과수 또는 채소집단 재배지나 유독가스, 매연, 폐수 등 환경오염피해가 우려되는 지역은 피하도록 한다.

           
  2. 뽕밭조성전 토양개량
   

 

가. 토양의 물리성 개량

   

  

뽕밭토양은 토성이 양토 또는 사양토가 좋으며 식토는 45㎝ 식구를 파고 조성하며 유효토심이 50㎝이하의 밭은 유기물을 충분히 넣은 후 심경한 다음 심도록한다. 지하수위가 높은 밭은 배수로를 깊게 파주어 물빠짐을 좋게 한다.

           
    나. 토양의 화학성 개량
     

 

(1) 토양산도

        뽕밭 토양의 pH가 6.5이하로 산성인 경우 비료흡수율이 크게 낮아지고 미생물 활동이 감퇴되며, 유기물 분해가 저해되어 뽕수량 및 엽질이 떨어진다. 그러므로 농용석회를 10a당 200~300㎏을 주어 토양을 중화시켜서 개량토록 한다.
            
      (2) 유기물 함량
        뽕밭 토양의 유기물 함량이 3%이하인 경우 뽕나무 생장이 불량하게 되므로 완숙퇴비를 10a당 2톤이상 준다. 볏짚 또는 보리짚 등으로 토중퇴비를 할 때에는 일시적인 탈질현상을 막기 위하여 퇴비 1톤당 20㎏의 요소를 추가로 주어서 유기물의 부식을 촉진시켜 그 효과를 높이도록 한다.
            
      (3) 유효인산 함량
        개간지 토양은 일반적으로 인산함량이 부족하여 뽕나무 생장이 불량하게 되므로 용성인비를 10a당 100~150㎏을 주어 생산성을 높인다.
           
   

다. 뽕나무 식재

 

      (1) 뽕품종 선정
     

올뽕 품종을 전 뽕밭면적의 10%정도 식재하고 뽕밭면적이 1㏊미만인 때에는 2품종을, 그리고 1㏊이상인 때에는 2품종 이상을 선정하여 심는다.
  

청올뽕과 같은 올뽕은 봄 누에용 뽕으로 활용하고 개량뽕, 청일뽕, 수성뽕과 같은 중뽕은 봄, 가을 애누에 또는 큰누에용 뽕으로, 대륙뽕과 같은 늦은뽕은 늦가을 큰 누에용 뽕으로 활용하며 동해상습지에서는 내동성 품종인 수봉뽕 또는 용천뽕을 식재한다.

           
      (2) 식재시기
     

  

뽕나무 식재는 뽕나무의 휴면기에 심게 되는데, 늦가을 낙엽 후에 심는 가을심기와 봄 발아하기 전에 심는 봄심기로 구별한다. 가을심기는 중부이남 따뜻한 지역에서 늦가을 낙엽 후 노동력이 여유가 있을 때 식재하고 동해발생이 우려되는 중북부 지역에서는 이른 봄 식재하는 것이 유리하다.

           
      (3) 식재양식
     

  

경운기로 할 수 있는 작업은 경운, 로터리 작업 운반 등이 있으며, 경운과 로터리 작업을 위해서는 끝의 너비가 최소한 1.8m가 되어야 하기 때문에 두줄식 밀식뽕밭(큰골너비 1.8m, 좁은골너비 0.6m, 그루사이 0.5m)으로 10a당 1,667주를 식재할 수 있으며 좁은 이랑사이의 그루를 지그재그 모양으로 하여 입지공간을 활용토록 한다.
  

뽕밭의 구획이 크고 7° 미만으로 평지이며 토지의 생산성보다 더 노동절약적 기계화가 필요한 1㏊이상의 대규모 농가는 트랙터를 이용하기 위하여 골의 너비가 최소한 2.4m가 되어야 한다. 이 때 한줄식으로 심을 경우 뽕밭생산성이 떨어지므로 뽕밭의 조건에 맞도록 두줄식으로 심는 것이 유리하다.

           
      (4) 식구파기 및 식재
     

  

골의 깊이와 너비가 각각 45㎝정도 되게 식구를 파거나 트랙터 또는 경운기로 20~30㎝깊이의 간이식구를 판 후 두둑식재를 하는데 청수부가 지표면으로 10㎝들어가도록 얕게 식재한 다음 흙으로 북돋우어주고 적당히 밟아주어야 하며 조대유기물, 퇴비, 3요소를 기비로 넣고 흙과 석회를 섞어 넣은 후 식재하고 흙을 채워 넣은 후 밟아둔다.

           
    라. 식재 후 관리
     

 

(1) 시비

     

식재 당년에는 10a당 질소, 인산, 칼리 : 25-11-15㎏을 봄, 여름에 나누에 골에 시비한다. 실중량으로는 춘기에 요소 17㎏, 용과린 17㎏, 염화가리 8㎏을 주고, 추기에는 요소 38㎏, 용과린 38㎏, 염화가리 17㎏을 주어야 하며, 퇴비 2톤이상을 시용한다.

           
      (2) 제초제 살포
      시마네 수화제, 알라 유제 또는 펜디 유제를 표1과 같이 비닐피복 이랑에 고루 살포한 후 피복한 다음 이랑사이에 제초제를 살포한다.
           
     
표 1. 식재당년 비닐피복 뽕밭의 제초제 사용방법

 

구 분

제초제명
사용량
살포량
살포시기
피복이랑
씨마네 수화제
알라 유제
펜디 유제
75g
150㎖
75㎖
62~70ℓ

4월 상순
피복직전
피복하지 않는 이랑
위 제초제의 배량

피복직후
           
      (3) 비닐피복
      비닐은 두께 0.02㎜인 것으로 두줄 밀식의 경우 폭 150㎝가 필요하며 10a당 550m가 소요된다. 시기는 식재 후 4월 상순에 뽕나무 골에 밀착피복하면 토양온도를 2~3℃, 토양수분은 4~5% 높아져 생육을 촉진시킨다.
           
      (4) 순지르기
      식재당년 그루당 가지수 증가에 의한 조기다수확을 위하여 순지르기를 하는데 5월 하순부터 6월 상순에 지상에서 30㎝자랐을 때 20㎝부위에서 순을 자른다. 그러나 발육불량한 뽕밭에서는 순지르기를 하지 않는 것이 좋다.
           
      (5) 식재당년 가을수확
      가지길이가 지상에서 평균 1.5m이상 자란 뽕밭에서는 지상 1m높이에서 중간가지 길이가 지상에서 평균 1.5m이상 자란 뽕밭에서는 지상 1m 높이에서 중간벌채 수확하고 1.5m뽕밭에서는 0.8m에서 중벌수확한다.
           
  참 고 문 헌
   
  김문협. 1982. 재상학. 향문사.
농촌진흥청. 1991. 생력양잠기술.
대한잠사회. 1990. 새 잠업기술과 경영.
           
출처 : 오두막 마을
글쓴이 : 오두막지기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