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원생활/작물별 재배 요령

메주콩, 서리태 재배 요령

예농 2008. 12. 23. 22:55

 

1. 파종시기 : 음력 보름전에 심는 것이 좋다.

     * 2010년은 5/28일(음력 보름)을 기준으로 할 것

  - 메주콩: 5월 25일 경

   * 대원콩을 주종자로 삼는다.- 내년에는 선유콩을 추진한다.

   ( 제2 농업연구소 이은섭 박사 연락하여 3/15일경 종자확보)

    tel: (031)229-6101, (018-206-3930)

 

   * 조류 피해를 막기 위해 석유를 묻히기도 한다.

      또는 콩을 재에 굴려 묻힌 후 파종하거나 포트 파종 후 밭에 정식할 수도 있다.

 

  - 서리태: 5월 25일 이전<음력 망종이 지난 후에 심는 것이 상례이다>

  * 직파할 때는 콩을 3개 정도 함께 넣는다.

    싹이 난 후에는 1개만 남기고 솎아주는 것이 좋다.

    (직파의 깊이는 콩 크기의 3배 정도인 2cm정도 깊이로 심는다.)

 

  - 재식거리

    주간 거리는 메주콩 : 20cm, 서리태 : 35 cm 로 한다.

    이랑 너비를 80cm 정도로 하고 2열로 파종한다.

    * 가급적이면 열간 거리는 넓히는(60~80cm) 것이 좋다.

   

 

2. 밭 만들기

  * 콩은 알카리성 토양이 좋다.

     석회를 넉넉히 넣어 주어야 한다.

 

3.  비료 관리

  - 처음에는 석회(2,3월에 미리 생석회 살포)와 농협 퇴비 만 적당량 뿌린다.

 

  - 꽃 핀 이후(7월)에는 질소 성분이 더 필요하므로

     성장이 부실하면 깻묵 액비를 추비한다.(콩 모종 바로 밑에 조금씩)

 

    * 이 때(개화기) NK 비료를 가운데 찢은 비닐 사이에 뿌려준다.

 

     또는 생선 아미노산 1,000배 희석하여 7월 꼬투리가 맺힐 때와

     9월초 꼬투리가 여무는 시기에 액비를 살포한다.

 

  - 비닐 멀칭을 하되 1차 순지르기 할 때 가운데 비닐을 찢어 통기와 수분이 들어가도록 한다.

    깻묵 액비를 줄 때 비닐 구멍에 나 있는 잡초를 뽑고 액비를 준다.

 

  - 콩꼬투리가 맺힐 때 칼슘제를 엽면시비하면 좋다.

 

<참고 : 모종으로 이식할 경우

        1) 모판 만들기

  - 이랑 하나를 모판용으로 쓴다.

  - 깊이 5cm 정도로 파고 바닥에 헌 멀칭 비닐을 편다.

  - 2cm 깊이로 모래를 깔고 퇴비와 재가 섞인 흙을 3cm 두께로 덮는다.

  - 흙을 판판하게 고른 다음 사방 5cm 간격으로 2cm 깊이의 구멍을 뚫고

    1립씩 파종한 후 알맞게 관수한다.

  - 차광망을 덮어 준다.

 

        2)정식하기

  - 파종 후 약 20일 전후면 본잎이 1~2장 정도 나온다.

  - 1차 북주기 하는 시기인 파종 후 25일 쯤 밭에 정식한다.

     북주기를 겸하기 위함이며 따라서 심을 때는 본잎 바로 밑에 까지 깊이 심는다.

     (깊이 심는 것은 도복을 예방하려는 것임)

  - 이랑에 두줄로 약 30cm 간격으로 1주씩만 심는다.

     즉, 두둑의 경사지에 심는 것이 된다.

 

       3) 북주기

  - 1차 북주기는 파종후 약 25일 후에 실시하므로 직파한 곳의 콩은 북주기를 한다.

  - 2차 북주기는 그 후 10일 후에 실시한다.

     이 때 차제에 인산, 칼리 성분인 재를 한 주먹씩 넣어 준다.>

 

4. 순지르기

  - 1차 순지르기: 본엽이 5~7개 일 때 생장점을 제거한다.

     * 순지르기 할 때 콩대 밑의 흙을 긁어 북을 준다.

       (비닐 멀칭한 경우 구멍 주위의 흙을 사용)

 

  - 2차 순지르기: 개화기 이전인 약 7월 중순 전에 낫이나 에취기로 25cm 정도 남기고

     잘라 준다. (대개 콩잎이 18장 정도 될 때이다.)- 중요한 포인트는 줄기가 4개 정도 나왔을 때다.

     이 때 낫이나 예취기로 자르지 않으려면 네 줄기 마다 생장점을 제거하면 된다.

 

     * 순지르기 전 성장이 부진하면 순지르기를 생략하거나 순지르기 1주일 전 액비를 살포한다.

       특히 꽃이 핀 후에는 절대 순지르기를 하지 말아야 한다.

     * 줄을 매거나 콩대가 쓰러질 위험이 없다면 굳이 2차 순지르기를 하지 않아도 된다.

 

5. 물주기

  - 파종 후 일기 예보를 보고 너무 가믈 듯 하면 자주 물을 준다.

     (콩의 수분 요구량은 다른 작물에 비해 높은 편이다.)

  - 평소에는 그리 걱정을 하지 않아도 되나 종실 비대기인 9월 상~중순 기간에는

    비가 오지 않으면 물을 최소한 1~3회 주어야 한다.

    가을 숙기에 비가 많이 오면 풍년이 드는 이유이다.

    즉 꼬투리가 열릴 때 수분 공급이 충분해야 한다.

  

6. 병충해 예방

  - 노린재를 예방하려면 1)비교적 늦게 심고

                                  2) 녹두를 가까이 심어 노린재를 유인하여 부비트랩으로 잡는다.

                                  3) 나무재를 포기 마다 뿌려준다.

                                  4)생선 대가리에 토양살충제(후라단)를 뿌려 하루 정도 숙성시킨 후

                                     양파망에 씌워 콩밭 5미터 간격으로 설치하면 노린재 대부분이 달려들어 죽는다.

 

 - 흰가루병에 대한 예방 대책

   : 과산화수소 100~200ml를 20L 물에 희석하여 분무한다.

    (고추 호박과 같은 과채류에는 같은 비율로 하되 엽채소류에는 절반의 비율로 희석한다.)

 

 - 고라니 피해를 막기 위해 밭 둘레에 그물 펜스를 친다.

 

 - 진딧물과 응애는 마요네스로 방제한다.

 

7. 수확

  - 10월 하순 상강 이후에 한다.

  - 도리깨를 준비한다.

 

*** 콩 재배의 노하우는

  1) 순지르기 시기와 정도

  2) 꽃 피기 시작할 때 깻묵액비를 조금씩 추비하는 것(복합비료 대신)

  3) 9월 콩깍지가 익어갈 무렵 가물면 필히 관수하여 수분 부족을 해갈할 것

    등을 잊지 말 것.

  4). 콩은 1년 휴작이 필요한 작물이다.

   따라서 전년에 콩을 심었던 곳은 피하는 것이 좋다.

   (1년 휴작이 필요한 작물은 그 이외에 쪽파, 시금치,파, 생강 등이 있다.)

 

*** 서리태 재배 비법

1. 하우스나 노지에 이중 터널로 육묘장을 만든다.

2. 2월 부터 모종을 붓는다.

3. 50일이 경과하면 밭에 정식한다.

4. 한구멍에 하나씩만 심는다.(*)

5. 거름은 농협 퇴비만 준다. - 화학비료는 일체 주지 않는다.

6. 순지르기는 해도 그만 않해도 된다. - 수확량에 별 차이가 없다.

7. 그 결과 한달 반 정도 일찍 수확할 수 있다.

   - 그러나 바쁘면 남들처럼 늦게 수확해도 된다.

 

8. 도복 방지를 위한 줄 묶기

  - 120cm 말뚝을 6~7개 포기 간격으로 박는다.

  - 1차 줄 묶기는 2차 적심 전인 6월 하순~7월초에 한다.( 파종일에 따라 유동적)

  - 2차 줄묶기는 그 후 생육 상태를 보아 너무 키가 클 경우 하면 된다.

 

*** 서리태의 종류

  - 둥근 것과 납작한 것 2 종류가 있는데 납작한 것이 늦서리태이다.

    서리거 온 후에도 자란다고 해서 서리태인데 늦서리태가 늦게 수확한다.


 


'전원생활 > 작물별 재배 요령'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옥수수 재배 요령  (0) 2008.12.25
참깨 재배 요령  (0) 2008.12.24
생강 재배 요령  (0) 2008.12.22
고추 재배 요령  (0) 2008.12.21
감자 재배 요령  (0) 2008.1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