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홍화의 성분과 이용
1. 성분
국화과(Compositae)에 속하는
잇꽃(Carthamus tincotorius L.)은 이집트 원산인 1m 내외
의 일년생 혹은 겨울을 나는 월년생 초본식물이다. 꽃잎은
紅花로 불리어 생약 및 색소로
이용되고 주성분은 carthamin, safflower yellow, carthamidin 및 지방유
등이다. 종실은 紅
花子로 불리고 기름용 및 약용으로 이용되며 주성분으로 지방유, linoleic acid, glyceride,
lignan의 tracheloside가 함유되어
있다.
지방은 리놀렌산이 60% 이상 함유되어 잇는 양질 기름이며 이것은 콜레스테롤 저하 등의
기능이 있어 고혈압, 동맥경화
치료 및 예방에 쓰인다. 또 관상화의 소화(홍화)는 식물성색
소인 Carthamin과 carthamidin이 함유되어 있어 색소 및
약용으로 쓰인다.
홍화의 약리작용은 활혈, 구치혈, 진통, 자궁수축, 해독, 혈압강하, 혈관확장 등이다. 주요
치료는
폐경, 월경곤란, 산후악로불하, 어혈복통, 혈행장애, 타손상, 중풍, 동맥경화증 등에
이용되고 있다. 최근 민간에서 홍화자는 파골,
혈골, 쇄골시 골절연접의 효과가 인정되어 수
요가 증가추세에 있다.
가.
종실의 주요성분
나. 기름의 성분별 조성
2. 용도와 이용
가. 주요용도
나. 각국의 약용 및 기타 이용
Ⅱ. 식물학상 특징
1. 형태와 성상
잇꽃(Safflower ; Carthamus
tinctorius L.)은 엉겅퀴와 형태가 비슷하며 국화과에 속하는
일년생 초본으로, 초장은 30∼150㎝로 다양하며, 일반적으로
노란꽃을 가지고, 종자는
35∼45%의 기름을 함유하고, 작은 해바라기 종자와 비슷하다.
잇꽃의 뿌리 형태는 윤곽이 뚜렷하며 종종 원뿌리가 단단한 육질이며 보통 가는 수평의
측근이 생긴다. 원뿌리는
일반적으로 2∼3m 깊이까지 신장하므로 토양으로부터 많은
수분과 양분을 흡수한다.
줄기는 직립하고 기부는 목질화되었으며
윗부분에서 분지가 많이 발생하면서 가늘어지고
아주 부드러우며 털이 없고 밝은 회색 또는 흰녹색으로 가느다란 세로의 홈이 있고
성숙했을 때 부러지기 쉽다.
잎은 어긋나며 단단하고 잎자루가 거의 없이 줄기를 싸고 있다. 잎모양은 달걀 모양이거나
달걀 모양 피침형으로서 길이는 3.5∼9cm, 너비는 1∼3.5cm이고 기부는 점차 좁아지며
선단은 점차 뾰족해지고 가장자리는
예리한 톱니 모양이다. 윗부분의 톱니는 점차 작아져
두상화를 에워싸고 있다. 줄기 아래 부분의 잎은 가시가 별로 없고 위쪽의 잎에는
가시가
많은 것, 가시가 없는 것에서부터 가시가 단단한 것까지 특성이 다양하다.
화서는 크고 정생하며 총포는 여러 줄로
배열되어 있는데 그중 외측의 2∼3열은 잎 모양을
이루고 있고 피침형으로서 가장자리에는 가시가 있다. 내측의 열은 달걀모양으로서
가장자리에 가시가 없으며 흰색의 막질로 되어있다. 수술은 5개, 암술은 1개이며 암술대는
가늘고 길며 약관(葯管)의 외측에 뻗어
나와 있고 암술머리는 2개로 갈라져 있는데 열편은
짧으며 설형(舌形)이다.
경기
1호
진선홍화
KC9629
꽃의
종단모양
열매의 모양
통꽃의 작은 꽃수는 20∼180개로 종에 따라 다양하며 환경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꽃턱(thalamus)은
몇층의 총포의 포엽에 의해 둘러싸여 있고 외부에는 단단한 가시가
있어서 화서의 발달을 보호한다. 각 각의 꽃은 자체적으로 조그만 수열의
형태로 포엽으로
공급된다. 총포는 원추형으로 꽃이 튀어나와 화관을 통하여 윗부분이 조그맣게 열려있다.
꽃색은 희끄므레한 노란색에서
붉은 오렌지색으로 매우 다양하며 진한 노란색이
대부분이다. 두상화의 꽃은 직경이 1.25∼4.00㎝로 다양하며 식물당 5∼50개
정도이다.
종실은 약간 직사각형의 열매로서 수과(瘦果)이며 타원형이거나 도란형이고 길이는 약
5mm이며 기부는 약간
비스듬하고 흰색을 띠며 4개의 줄이 있으며 섬유질로 된 껍질이
두껍다. 관모는 일반적으로 없지만, 일부 종자에서는 생기며 이들은 보통
두상화의 중심부에
있다. 관모는 일반적으로 크림색 또는 흰색이나 회색 또는 얼룩진 것도 생긴다.
종자는 외피가 약
15%를 구성하고 갈색의 2가지 피층으로 구성한다. 종피의 표피, 피하,
조직층과 내배유는 일반적으로 두꺼운 약간의 세포로 되어있다.
외피가 얇은 형태에서
성숙기에 외부 후막세포의 목질화의 정도는 일반적인 형태에서보다 훨씬 덜하다.
2. 재배환경
가.
기후
잇꽃은 기본적으로 따뜻한 기후 지역의 작물로 분포는 위도로 대략 20°S∼40°N 내에
분포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중일성식물이지만, 단일 조건에서는 총생(로젯트)기간이
지연된다. 생육기간은 대략 130∼160일로 품종에 따라 다르다.
유식물은
내냉성이 강하여 -7℃에서도 견딜 수 있으며, 품종에 따라 -12℃에서도 특수한
내성을 가지고 있는 품종이 있다. 그리고 총생 단계의
휴지기에 동해에 더욱 민감해지는
품종도 있다. 일반적으로 짧은 총생단계를 가진 품종은 총생 기간이 긴 품종보다 냉해에 더
민감하다. 특히 서리는 잇꽃의 줄기가 성숙할 때까지의 신장 기간에서는 서리 피해가
없는데, 성숙기 이후에는 서리가 종자의 수량과
기름함량에 영향을 미친다.
잇꽃은 내한성(drought resistant)이 강한데 대다수의 작물에서 이용할 수 없는 수준에서
수분을 얻을 수 있는 능력이 있으며 뿌리가 깊어 하층토의 수분까지 이용할 수 있다.
강우기에는 개화기를 피해야 하며, 강우가
드물고 생육기 동안 고온 건조한 지역에서는
빨리 성숙된다. 잇꽃이 생육하는데 필요한 최소 강우량은 개화되기 전에 약 600mm정도의
강우량이 필요하며, 바람이 부는 지역은 더 건조하고 병 발생율이 낮아서 강우량은
800∼1,900㎜ 정도가 적당하다. 만일 개화기
이전에 주로 덥지 않고, 건조한 바람이 불고,
300㎜정도의 강우가 내린다면 가장 적당한 수량을 생산할 것이다. 비가 많이 내리고 습기가
많을 경우에는 모든 생육 단계에서 곰팡이 병 피해를 증가시키고, 개화기에 안개가
발생하는 지역에서는 균핵병(head rots)이
심하게 발생한다. 개화기에 계속되는 강우는
수분(pollination)에 나쁜 영향을 주고 개화 후에 변색 종자와 소형 종자의 원인이
된다.
두상화가 성숙했을 때 계속되는 강우(persistent rain) 또는 과습은 두상화에서 종자를
발아시킨다. 싸락눈, 우박
등은 우선 개화 형성과 2차 분지에 즉시 큰 피해를 줄 수 있고
특히 재배 기간이 제한된 곳에 피해를 준다. 바람이 잇꽃에 미치는 영향은
품종에 따라
다르지만 성숙기에는 심한 바람에 저항성이 강한 편이다. 바람이 자주 부는 지역에서는
포기사이(in-row)를 넓히고
줄사이(row)는 좁히는 것이 좋다. 줄사이의 위치는 바람이 부는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하는 것이 줄 사이의 습도를 감소시켜 병 발생이
적어 생육에
유리하다.
나. 토양
잇꽃은 토양의 종류가 다양한 형태에서
소면적으로 재배되는데, pH 범위는 5∼8이며,
수량을 높이기 위해서는 토심이 깊고 배수가 잘되는 중성 반응의 미사질 양토가 좋다.
비옥하지 않은 척박한 토양은 수분이 충분하지 않아 수량을 높일 수 없다. 산성 토양은
Fusarium 같은 곰팡이 균의 발생이
심해 뿌리를 썩게 하고 잘록병을 유발하므로 가능한
피해야 한다.
잇꽃은 특히 내염성이 강한 작물로 염류토양(Saline
soil)에서 재배했을 때 수량을
증수시키는 능력이 목화와 비슷하고 우기재배시 알칼리에 대한 내성이 보리와 비슷하다.
그러나
내염성이 매우 강하지만 칼슘이나 마그네슘 또는 두가지 모두 함유한 토양에는
내염성이 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Ⅲ. 생산 및 수요
1. 세계적인 생산
잇꽃은 동속 약 25종의 식물이
스페인에서 북아프리카 와 서아시아를 걸쳐 인도지역까지
를 중심기원지로 간주되고 있고 현재는 열대 아시아 아프리카, 러시아, 중국 그리고
미국 호
주를 비롯한 여러지역에서 재배되고 있다.(표 1, 2)
2. 국내생산 및 수입 동향
국내 생산은 정확한 통계자료는 없으나 1990년 지리산
일대에서 소규모로 재배되다가 1998
년 약 200ha, 1999년 600ha, 2000년 약 650ha로 급증하고있으나
그러나 국내 생산량이 적
어 수입량이 90년에 비하여 61%가 증가하여 92년에는 145톤에 달하였고 99년에는 수입량이
종실689톤, 기름 205톤으로 급증하고 있다. 따라서 수입대체를 위한 재배확대가 요청되고 있
으나 재배기술의 보급이 미흡한
실정이다.(표 3)
식물의 기원지
표 1. 주요재배국 및 생육기간
표 2. 생산 및 무역
표 3. 국내수입실적
Ⅳ. 생산 및 수요
1. 무피복
재배
가.
파종적기
잇꽃은 옛날부터 우리 나라 전역에서 재배가 가능하고 봄과 가을파종이 가능하나 가을의
경우는 겨울을 나야 하기 때문에
일부 따뜻한 지역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지방에서는 봄파종
만 가능하다. 파종기에 대해서는 일본에서는 동북이북지방에서는 해빙직후인 4월하순,
우리
나라에서는 3월말부터 4월 하순까지로 알려져 있으나 분명하지 않다. 따라서 봄파종시 파종
적기를 알아보고자 해빙 직후로
파종작업이 가능하였던 3월 20일부터 10일간격으로 4시기를
검토한 결과 일찍 파종할수록 싹이 트는데 걸리는 시간은 길었으나
생육기간이 길어져 생
육이 왕성하였다.
또한 개화도 2∼6일 빨라 등숙기간이 많이 확보될 뿐만 아니라 장마로 인한 수정
및 등숙
장해 피해를 받지 않아 종실수량구성요소가 주당화두수, 화두당립수가 많고 백립중이 무겁
고 등숙비율이 높아 10a당 수량이
4월 20일 파종 61.9kg에 비하여 3월 20일 파종시 39%증
수되어 잇꽃 파종은 해빙후 되도록 빠른 3월 20일경으로 나타났다.
(표 1, 표 2).
<표 1> 파종기에 따른 생육 비교('90∼'91 경기)
<표 2> 파종기에 따른 수량구성요소 및 수량구성요소('90∼'91 경기)
나.
재식밀도
잇꽃에 대한 재식밀도를 구명하기 위하여 조간거리를 30cm로 하고 주간거리를 10, 15,
20cm로 하여
주당 4∼5립을 3월 20일에 파종한 후 4∼5엽기에 주당 2본을 남겨 시험했다
(그림 1, 표3, 표4). 생육을 보면 출아, 개화 및
성숙기는 주간거리간에 차이가 없었고 경직
경은 주간거리가 넓을수록 굵어지는 경향으로 10a당 수량은 주간거리 20cm에 170.3kg에
비
하여 주간거리 15cm 5%, 주간거리 10cm 8% 각각 증수되어 적정재식거리는 배수로를 30m
로 하고 70cm 파종상에
조간거리 30cm 주간거리 10cm로 파종하는 것이 가장 유리하였다.
<표 3> 주간거리에 따른 잇꽃의
생육비교('93.
경기)
<표 4> 주간거리에 따른 수량구성요소 및 수량('93.
경기)
다 . 질소시비량
잇꽃재배에 알맞는 질소시비량을 구명하기 위하여 질소를 무시용 5,
10, 15, 20kg/10a, 인
산-가리-퇴비는 10a당 7-7-1,000kg을 전량기비로 시용하여 시험한 결과 10a당 종실수량이
무시용 171.2kg에 비하여 질소 10kg 시비구에서 주당화두수, 등숙화두율, 화두당립수가 많아
10% 증수되었다(표
5).
<표 5> 질소시비량에 따른 생육 및 수량('94∼'95
경기)
라. 기계파종 기술
잇꽃 파종노력을 절감하기 위하여 인력점파기, 경운기 세조파기 부착,
트랙터부착세조파기
로 10a당 종자 800g을 파종하여 기계 파종방법을 관행 손파종과 비교한 결과(표 6) 10a당
파종노력은 관행
780분에 비하여 인력점파기 92, 경운기 94, 트랙터 95%의 노력 절감효과가
있었다. 또 입모본수와 출아기, 개화기, 경장 등의
생육도 큰 차이가 없었고 10a당 수량도
대차 없어 손파종보다 기계파종이 일손이 덜 드는 방법이었다.
<표 6> 기계파종에 따른 노력절감과 수량('95. 경기)
트랙터 이용
파종
시험포장 전경
마. 홍화와 홍화자 수확적기
잇꽃은 홍화와 홍화자 모두를 수확할 수 있다. 따라서 홍화를 수확한 후
종실을 수확하는
적기를 구명하고자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7> 수확기에 따른 홍화(꽃잎) 수량 및 품질과 종실수량('92.
경기)
홍화는 명도가 그리 낮지 않고 황색보다는 등홍색이 품질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개화후 일수가 지남에 따라
명도는 낮아져 탁해지며 노란색은 감소하고 빨간색이 증가
하다가 채취하지 않으면 검붉은색으로 변하여 마르다가 썩어 없어져 적기에 수확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홍화수확시기를 개화성기 후 2일, 4일, 6일로 하여 홍화(마른 것)의
수량 및 품질을
조사했다.
건홍화 수량 및 명도, 황색도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하였으나 적색도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으로 나타나 10a당 건홍화 수량이 개화 후 2일(28.1kg/10a)에 비해 큰
차이가 없었고 품질도 개화
6일에 비하여 차이가 작았던 개화 후 4∼5일경으로 판단되었다.
또 홍화 채취 유무 및 시기에 따른 종실수량을 검토한 결과 홍화채취는
종실수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7).
<표 8> 수확시기에 따른 종실수량('92.
경기)
또한 종실수확시기에 따른 10a당 수량은 개화 후 10일(285kg)에 비하여 100립중의 증가로
개화 후 20일경이
15% 증가되어 적정수확시기였다.(표 8).
수확기의 식물체 모습(분지위치까지의 잎이 황변)
2. 비닐피복 재배
가. 피복재배
효과
잇꽃재배에서 비닐피복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무피복과 투명 비닐피복 재배로 나누어 비
교시험을 했다. 싹이 트는 시기 및
초기생육기간인 3월 25일부터 4월 15일까지의 지온 및
토양수분함량은 조사한 결과 지온은 비닐피복이 1.7∼3.9℃ 높은 경향이었고
토양수분은 무
피복은 강우에 의해 크게 달라져 변화폭이 13.5∼20.3%로 건조, 과습 조건으로 변화가 있었
으나 비닐피복시는
15.9∼17.8%로 변화폭이 적어 보습효과가 나타났다(표 9).
<표 9> 피복재료에 따른 지온 및 토양수분함량의 변화('93. 경기)
비닐피복재배시 파종상 작성
또한 비닐피복재배시 무피복에 비하여 싹은 3일 일찍 나오고 꽃은 2일 일찍 피었다. 생육
은 비닐피복에 의한 초기 보습
및 지온상승으로 줄기길이는 6.4cm 분지장은 4.5cm 분지수
는 1.1개 증가하여 생육이 왕성하여 10a당 수량도 주당 화두수가
1.5개 화두당립수 4.0개 백
립중이 0.15g, 등숙비율이 1% 증가하여 무피복 177.9kg 비하여 20% 증수되어
비닐피복재배
가 유리하였다(표 10, 11).
<표 10> 비닐피복 재배에 의한 생육촉진효과('93. 경기)
<표 11> 비닐피복과 무피복 재배에 따른 수량 비교('93. 경기)
나. 재식밀도
비닐피복 재배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무피복에 비하여 생육이 촉진되어 적정 재식밀도가
다르다. 따라서 적정재식밀도를 구명하기 위하여 배수로를 30cm, 70cm 파종상을 작성한 후
조간을 30cm로 고정하고
주간거리를 10, 15, 20cm로 하여 시험한 결과 표12, 13과 같았다.
<표 12> 비닐피복재배시 주간거리에 따른 생육 비교('93. 경기)
<표 13> 비닐피복재배시 주간거리에 따른 수량성 비교('93.
경기)
재식거리(주간거리)간에 출아기와 개화기는 차이가 없었으며 주간거리가 짧을수록 경장은
길고 분지장 및 분지수, 화두수,
립수, 백립중는 감소하였으나 수확주수는 많아지는 경향이
었다. 10a당 종실수량은 주간거리 15cm에서 220.7kg 으로 가장 증수되어
비닐피복재배시는
참깨 비닐피복재배와 유사하게 1m 이랑에 (배수로30+파종상70cm)에 줄간을 30cm 2열로 주
간거리를
15cm(13,300주/10a)로 파종하는 것이 유리하다.
다. 질소시비량
비닐피복재배시 10a당 질소를 0, 5, 10, 15, 20kg을 시용하고
1m이랑에(배수로30+파종상
70cm)에 30cm 2열로 주간거리는 15cm, 1주 2본으로 재배하여 인산-가리-퇴비는
7-7-1,000kg를 전량 기비로 시용하여 질소시비적량 시험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았다.
<표 14> 비닐피복시 질소시비량에 따른 생육 비교('94∼'95. 경기)
<표 15> 비닐피복시 질소시비량 따른 수량 비교('94∼'95. 경기)
각 시비량별 생육은 표 14과 같이 질소시비량은 개화에 큰 영향이 없었으나 질소시비량이
증가함에 따라 분지수는
0.2∼2..0개 많아지고 분지장은 1∼10cm 길고 지상부건물중은 20∼
104g/m2정도 증가하여 생육이 왕성해지는
경향이었다.
또 수량구성요소 및 수량은 질소시비량이 증가함에 따라 주당화두수는
0.2∼2.0개 100립
중은 0.05∼0.15g 증가하였으나 유효화두율은 92∼95% 화두당립수는 37.3∼40.5개로 시비량
간에
대차 없었으나 20kg시용시 유효화두율 89%, 화두당 립수는 36.4개로 다소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종실수량은 질소 15kg/10a
시용시 10a당 194kg으로 가장 높았다(표 15).
재배전경
3. 요 약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재배기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표 16> 잇꽃(홍화)
재배법
Ⅴ. 병충해
잇꽃 재배시 비가 많이 내리고 습기가 많을 때 주로 병이 많이 발생되는데 주요 병해로는
탄저병(Gloeosporium carthami), 녹병(Puccinia carthami), 갈색무늬병(Alternaria carthami
chow)과 잿빛곰팡이병(Botrytis cinerea Pers)이 많이 발생된다.
1. 탄저병(Gloeosporium carthami)
탄저병은 병원균이 병든 부위에서 분생포자 혹은 균사의 형태로 월동하며 공기전염을 하는
데 비가 많이 내리고 바람이 불며 고온일 경우에
줄기와 잎 등에 발생되며 원형 내지 부정
형의 갈색 병반을 형성한다. 줄기에 발생이 되면 발병부위가 꼬부라지면서 생육이 정지되고
나중에는 변색되어 고사한다. 특히 줄기 부분에 발생이 심하며 병에 감염될 경우 수량의 심
각한 감소를 초래한다. 방제는 병에 걸린
이병주는 발견 즉시 뽑아 불에 태우고, 예방위주로
약제방제를 해야 하며 발생초기에 살포하여 병의 전염을 차단시켜야 한다. 방제약제는
품목
고시된 약제는 없으며 다른 작물에 적용되는 탄저병 방제 약제를 이용하는데 약해가 발생될
우려가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그리고
병에 걸리지 않은 종자를 소독하여 파종하고 윤작
을 하여야 한다.
그림 1. 탄저병에 이병된 잇꽃의 줄기
2. 녹병(Puccinia carthami Cda)
녹병은 모든 재배 지역에서 발생하는데 주로 종자와 토양전염을 하며, 건조한 때보다 습할
때 발병이 심하다. 주로 출아전부터
개화기까지 발생하며 특히 생육초기의 어린 식물에 가
장 심하게 피해를 준다. 증상은 종자의 배축에 감염되어 출아되기도 전에 고사하고
유묘기
때는 황색 반점이 생기며 시들고, 제 1본엽과 떡잎이 시든다. 성숙한 식물은 줄기에 골이 생
기며, 뿌리에도 영향을 주며 잎과
포엽에는 갈색의 돌기가 생긴다. 방제로는 비료의 과다 시
용을 피하고 발병지역에는 다른 작물에 이용하는 보르도액, 지네브제 등으로
방제하는데 약
해가 발생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3. 갈색무늬병(Alternaria carthami chow)
갈색무늬병은 잎에 발생하는 심각한 병으로 이슬이 맺히고 소나기가 많이 내리는 따뜻한 지
역에서 발생되며 습한 곳은 반드시 발생한다.
병원균은 곰팡이로 25∼30℃, pH 6.0에서 잘
자란다. 증상은 성숙한 잎에서 직경 1∼2mm정도의 작은 동심윤문이 갈색에서
암갈색으로
나타난다. 반점이 1cm 크기로 증가하여 커다란 형태로 되어 나중에는 구멍이 생긴다. 꽃에
감염되면 꽃받침 기부에
피해를 주며 꽃의 다른 부분으로 감염된다. 종자전염을 하며 이병
된 종자를 소독하지 않고 파종하면 거의 다 발병하므로 반드시 종자 소독을
한다. 병원균은
이병된 식물잔해에서 몇 년간 잠복해 있으므로 윤작을 해야 방제가 가능하다.
그림 2. 갈색무늬병에 이병된 잇꽃의 잎
4. 잿빛곰팡이병(Botrytis cinerea Pers)
잇꽃에 발생되는 잿빛곰팡이병은 두상화썩음병(Head rot)으로 개화기동안에 잇꽃의 두상화
에 발생된다. 이 병원균은 곰팡이로 바람을
통해 전염되며 습도가 높을 때 발생이 심하다.
감염증상은 두상화가 완전히 표백되어 엷은 황색을 나타낸다. 심하게 감염된 두상화는
줄기
로부터 쉽게 떨어지고 포엽부분의 조직이 파괴된다. 그리고 종실의 무게가 가볍거나 완전히
없어지기도 한다. 방제는 발생초기에
약제방제를 해야 하는데 품목고시된 약제는 없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5. 시들음병(Verticillium spp)
시들음병의 일반적인 증상은 줄기 아래쪽의 잎에 간간히 황색을 나타내고 점차 얼룩무늬로
변한다. 초기에는 식물체의 한쪽에서 영향을
받지만 결국에는 식물체 전체로 퍼진다. 피해를
받은 이병주는 건전한 식물체보다 더 빨리 성숙한다. 피해양상은 다양하게 나타나는데
개화
전에 고사하거나, 불임이되기도 하고, 종실이 가볍고 작아진다. 방제는 종자소독을 하고,토양
소독이나 윤작을 해야 하는데 목화,
수수, 땅콩 등의 작물과는 윤작, 간작, 혼작을 해서는 안
된다.
그 외 다른 병으로는 균핵병, 역병, 점무늬병, 잘록병, 바이러스병 등이 발생하는데 특히 바
이러스병은 진딧물에 의해 감염되기도
하는데, 생육초기에 심하게 발병되면 사멸하고 성숙
기에 정단부의 줄기와 잎의 일부분에 감염되면 종실수량이 심각하게 감소된다. 이들 병에
대한 근본적인 방제 대책으로는 병에 걸리지 않은 종자를 파종하고 윤작을 해야 한다. 해바
라기, 두류, 겨자, 아마, 유채 등의
작물과 윤작하는 것은 피해야 한다.
특히 장마기에는 탄저병 등 곰팡이 병이 많이 발생하므로 발생 초기에 이병주는 제거하고
배수가 잘 되도록 해야 하며 장마기를 피해서
개화결실이 되도록 재배하는 것이 바람직하
다.
6. 충해
충해로는 생육초기에 굼벵이가 뿌리를 잘라 피해를 주며, 굴파리가 어린잎을 가해한다. 또
전 생육 기간을 통해 진딧물이 발생하여
바이러스병을 전염하므로 사전에 철저히 방제를 해
주어야 하며 가을 파종시는 파밤나방 종류가 발생 가해하기도 하므로 방제가
필요하다.
홍화는 아열대지방 원산으로 자라는데 알맞은 온도가 24℃ ∼ 32℃로 알려져 있어 우리나라 어느 지방이나 재배할 수 있으나 재배시기는 파종시기에 따라 달라집니다.
따라서 파종시기를 먼저 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파종시기는 다음과 같은 두가지를 충분히 고려하여야 합니다. 우선 저온에서 발아 및 어린 식물체가 피해를 입지 않는 범위에서 되도록 일찍 파종하여 충분히 자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홍화는 4℃ ∼ 25℃까지 비교적 넓은 범위에서 싹이 나올 수 있으나 4℃에서는 30일 정도, 8℃에서는 21일 정도, 12℃에서는 12일 정도가 필요하여 적어도 평균기온이 10℃이상은 되어야 안전합니다.
또 여름철 장마를 고려하여야 합니다. 보통 7월부터 장마가 시작됩니다. 꽃이 필 때나 봉오리에 열매가 익을 무렵에 온도가 높고 습도가 높으면 열매가 생기지 않거나 식물이 낙엽이 되고 열매의 색이 검게 변하고 혹은 심한 경우에는 썩기도 하여 손해를 보는 경우가 있습니다. 따라서 장마이전에 수확할 수 있도록 되도록 빨리 파종하여야 합니다.
이것을 고려하여 경기도 화성군에서 3월 20일, 3월 30일, 4월10일 3시기에 파종하여 생육 및 수량을 비교하여 본 결과 3월 20일 파종이 식물도 많이 자라고 꽃도 일찍 피고 열매도 빨리 익어 장마를 피할 수 있어서 4월 10일에 비하여 50%정도 더 수확할 수 있어 봄이 되면 가능한 한 빨리 파종하여야 됩니다.
귀하가 질문하신 군산지방은 경기도 화성보다는 봄철기온이 비교적 높으므로 3월 중순에 빨리 파종하여 6월말이나 7월초순에 수확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토질은 물빠짐이 좋고 햇빛이 잘 드는 사질양토가 좋으며 질소, 인산 , 가리 비료에
민감하게 반응하무로 비옥도에 따라 다르나 보통밭에서는 밭을 되도록 깊게 갈고 300평당 질소-인산-가리-퇴비를 10-7-7-2,000kg을
시비하고 토양에 균일하게 섞이게 한 다음 파종하는 것이 생육에 좋습니다. 일부농가는 화학비료를 쓰지 않고 퇴비만 1,000∼3,000kg을
뿌리고 재배하는 곳도 있으며 유황비료를 시비하는 곳도 있으나 유황비료는 양이 많거나 한 곳으로 몰려 뿌릴 경우 식물이 늦게 자라거나 피해를 입힐
수 있다는 연구가 있으므로 주의하여야 합니다. 이러한 시비방법은 밭의 특성과 상품판매를 고려하여 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기타관리는 잎이
5매 전개하였을 때 솎아 주고 5월 말쯤 잘 쓰러지는 밭에는 도복지주를 해줍니다. 그리고 병충해는 진딧물과 탄저병이 발생하는데 적기에 방제를
합니다.
홍화씨를 심는 시기는 3월중순에 파종 8월초쯤에 수확을 합니다. 둘째 유황뿌리고 밑거름 주기 여기서 주의할 것은 유황을 너무 과다하게 뿌리면 홍화싹이 말라죽는 현상이 일어날 수도
있습니다 지금부터는 홍화씨의 성장과정에서는 별 신경쓸게 없습니다. 꽃이 처음에는 노랗게 피었다가 차츰 붉은 빛으로 바뀌어진 뒤 까맣게 말라붙고 줄기가 누렇게 변했을 때가 수확할 알맞은 때입니다. (보통
7월말이나 8월초). 낫으로 줄기 밑둥을 깻단 묶듯이 묶어 비가 맞지 않도록 하여 말린후에 탈곡합니다. 탈곡은 콤바인이 제일 좋지만 여의치 않을
경우에는 재래식 벼탈곡기나 발로 밟아서 쓰는 수동 탈곡기를 이용합니다. 홍화씨는 잘 말려서 보관해야 오랫동안 두어도 벌레가 생기지 않습니다. 햇볕이 좋을 때 하루쯤 잘 말려서 바람이 잘 통하는 서늘한 곳에
보관을 합니다. 특히 홍화씨는 쥐가 좋아 하기 때문에 쥐피해를 입지 않도록
조심합니다.
◎ 재배방법
첫째 좋은 땅 고르기
먼저 홍화가 잘 자랄 수 있는 물빠짐이 좋은 논이나 밭을 고릅니다.
물빠짐이 좋지 않으면 싹 튀우기가 힘이 듭니다.홍화씨는 너무 기름진 땅 보다는 오히려 척박하고 거름기가 없는 땅에서 나는 것이 수확량은 적지만
약성은 더욱더 좋습니다.
좋습니다)를 먼저 뿌려줍니다. 이떄
유황을
100평당 10-20kg 정도를 뿌립니다.
유황을 뿌리는 이유는 토양을 소독함과 동시에
유황을 뿌린 홍화는 병해충에도
강하고 씨앗의
약성이 더욱더 강해집니다.
셋째 씨앗 뿌리기
유황이 골고루 잘 섞이도록 밭을 곱게
갈아
두둑을 지어서 비닐로 덮어 줍니다, 비닐위
에 구멍을 뚫어 한구멍에 홍화씨를 4-5개
을 3-4cm정도로 손가락으로 눌러
넣고 그
위에는 되도록 부드러운 흙으로 덮습니다
20일정도 있으면 20cm정도의 싹이나오는
데 여기에서 쏙아주기를
해야됩니다.
이유는 한구멍에서 많은 포기가 나올 경우 나머지 포기에 나오는 씨앗이 건실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솎아주기 갯수는 2-3개정도를 두고 나머지는 뽑아 줍니다.
넷째 병충해 막기
성장기에는 홍화의 병해충은 진딧물이 제일 많이 피해를 많이
받습니다.
진딧물은 홍화의 영양분을 다 빨아먹기 때문에 이때에는 목초액에 식초를 섞어서 뿌려줍니다.
다섯째 수확과 탈곡
여섯째 보관방법
홍화씨는
우리나라에서 재배 되고 있습니다.
두 곳의 농장에서 가져 온 내용입니다.
* 가시홍화씨
*
http://www.tghonghwa.net/
심는시기- 3월중순에 파종 8월초쯤에 수확합니다.
● 물빠짐이 좋은
논이나 밭을 고릅니다.
● 물빠짐이 좋지 않으면 싹 튀우기가 힘이 듭니다.
● 너무 기름진 땅 보다는 오히려 척박하고 거름 기가
없는 땅에서 나는 것이 수확량은 적지만 약성은 좋습니다.
● 준비된 땅에 유황과 유기질 퇴비 특히 인분이 좋습니다
● 유황을
100평당 10-20kg 정도를 뿌립니다.
● 유황을 뿌리는 이유는 토양을 소독함과 동시에 유황을 뿌린 홍화는 병해충에도 강하고 씨앗의
약성이 더욱더 강해집니다.
● 유황을 너무 과다하게 뿌리면 홍화싹이 말라죽는 현상이 일어날 수도 있습니다
● 유황이 골고루 잘
섞이도록 밭을 곱게 갑니다.
● 두둑을 지어서 비닐로 덮어 줍니다
● 비닐위에 구멍을 뚫어 한구멍에 홍화씨를 4-5 개을
3-4cm정도로 손가락으로 눌러 넣고 그 위에는 되도록 부드러운 흙으로 덮습니다.
● 20일정도 있으면 20cm정도의 싹이나오면
쏙아냅니다.
● 한구멍에서 많은 포기가 나올 경우 나머지 포기에 나오는 씨앗이 알차지 않습니다.
● 솎아주기 갯수는 2-3개정 두고
나머지는 뽑아 줍니다.
● 해충은 진딧물이 제일 많이 피해를 많이 받습니다.
● 진딧물은 홍화의 영양분을 다 빨아먹기 때문에
이때에는 목초액에 식초를 섞어서 뿌려줍니다.
● 꽃이 처음에는 노란색 꽃이 피어납니다.
● 차츰 붉은 빛으로 바뀌어진 뒤 까맣게
말라붙습니다.
● 줄기가 누렇게 변했을 때가 수확할 알맞은 때입니다.
(보통 7월말이나 8월초).
● 낫으로 줄기 밑둥을
묶어 비가 맞지 않도록 하여 말린후에 탈곡합니다.
● 탈곡은 콤바인이 제일 좋습니다.
● 아니면 발로 밟아서 쓰는 수동 탈곡기를
이용합니다.
● 홍화씨는 잘말려야 장기간두어도 벌레가 생기지 않습니다.
● 햇볕이 좋을 때 하루쯤 잘 말려서 바람이 잘 통하는
서늘한 곳에 보관을 합니다.
● 홍화씨는 쥐가 좋아 하기 때문에 쥐피해를 입지 않도록 조심합니다.
* 유황홍화씨
재배법 *
http://www.hongwha21.net/
첫째 좋은 땅 고르기
홍화씨를 심는 시기는 3월중순에 파종
8월초쯤에 수확을 합니다.
먼저 홍화가 잘 자랄 수 있는 물빠짐이 좋은 논이나 밭을 고릅니다. 물빠짐이 좋지 않으면 싹 튀우기가 힘이
듭니다.홍화씨는 너무 기름진 땅 보다는 오히려 척박하고 거름기가 없는 땅에서 나는 것이 수확량은 적지만 약성은 더욱더
좋습니다.
둘째 유황뿌리고 밑거름 주기
준비된 땅에 유황과 유기질 퇴비(특히 인분이
좋습니다)를 먼저 뿌려줍니다. 이떄
유황을
100평당 10-20kg 정도를 뿌립니다.
유황을 뿌리는 이유는 토양을 소독함과 동시에
유황을 뿌린 홍화는 병해충에도
강하고 씨앗의
약성이 더욱더 강해집니다.
여기서 주의할 것은 유황을 너무 과다하게 뿌리면 홍화싹이 말라죽는 현상이 일어날 수도
있습니다
셋째 씨앗 뿌리기
유황이 골고루 잘 섞이도록 밭을 곱게 갈아
두둑을 지어서 비닐로 덮어 줍니다, 비닐위
에
구멍을 뚫어 한구멍에 홍화씨를 4-5개
을 3-4cm정도로 손가락으로 눌러 넣고 그
위에는 되도록 부드러운 흙으로
덮습니다
20일정도 있으면 20cm정도의 싹이나오는
데 여기에서 쏙아주기를 해야됩니다.
이유는 한구멍에서 많은 포기가 나올
경우 나머지 포기에 나오는 씨앗이 건실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솎아주기 갯수는 2-3개정도를 두고 나머지는 뽑아 줍니다.
넷째 병충해 막기
지금부터는 홍화씨의 성장과정에서는 별 신경쓸게 없습니다.
성장기에는 홍화의 병해충은 진딧물이 제일
많이 피해를 많이 받습니다.
진딧물은 홍화의 영양분을 다 빨아먹기 때문에 이때에는 목초액에 식초를 섞어서 뿌려줍니다.
다섯째
수확과 탈곡
꽃이 처음에는 노랗게 피었다가 차츰 붉은 빛으로 바뀌어진 뒤 까맣게 말라붙고 줄기가 누렇게 변했을 때가 수확할 알맞은
때입니다. (보통 7월말이나 8월초). 낫으로 줄기 밑둥을 깻단 묶듯이 묶어 비가 맞지 않도록 하여 말린후에 탈곡합니다. 탈곡은 콤바인이 제일
좋지만 여의치 않을 경우에는 재래식 벼탈곡기나 발로 밟아서 쓰는 수동 탈곡기를 이용합니다.
여섯째 보관방법
홍화씨는 잘 말려서
보관해야 오랫동안 두어도 벌레가 생기지 않습니다. 햇볕이 좋을 때 하루쯤 잘 말려서 바람이 잘 통하는 서늘한 곳에 보관을 합니다. 특히 홍화씨는
쥐가 좋아 하기 때문에 쥐피해를 입지 않도록 조심합니다.
내용출처
: 네이버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