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재배하우스 토마토 꺾꽂이 재배
토마토를 꺾꽂이 재배하면 육묘(育苗)시간을 25~35일 단축할 수 있고, 또 유묘(幼苗)가 건강하고 화아분화(花芽分化)가 양호하며 개화기나
착과기(着果期)나 시장에 내는 시기를 상대적으로 집중시킬 수 있다.
1. 꺾꽂이 육묘
① 묘상(苗床)설치 : 재배하우스
내 일조를 잘 선택하여 온도가 안정적인 곳에서 묘상을 만든다. 묘상의 길이 5m, 너비 1.2m, 흙두둑의 높이 25cm로 한다. 묘상의 흙은
밭의 흙과 잘 썩은 유기비료와 고운 유사(油沙)를 6:3:1의 비율로 섞어 고르게 체질하고, 1㎥당 따로 요소 2kg,
제일인산칼륨(potassium dihydrogen diphosphate) 1kg을 첨가하여 고르게 묘상 내에 두께 15cm로 펴 넣는다.
정식(定植) 667㎡당 묘상 60㎡가 필요하다.
② 꺾꽂이 : 10월초에서 3월 말까지 병 없고 건강하고 생장점이 완전한
토마토 식주의 주지(主枝) 또는 측지(側枝)를 골라 그 정단(頂端)으로부터 4~5마디 길이인 15cm 정도의 가지를 잘라낸다. 꺾꽂이할 가지
위에 이미 나타난 꽃망울을 따내버리고 하부(下部)의 큰 엽신도 잘라내고 하단의 자른 부위를 매끄럽게 깎는다. 그런 다음에 가지 하단을
50mg/kg naa용액 속에 10분 정도 담가두었다가 꺼내서 맑은 물로 씻어 꺾꽂이 할 준비를 한다. 처리를 끝낸 가지는 13cmx3cm의
밀도로 묘상에 깊이 5cm 정도로 꺾꽂이 한다. 가지를 꽂은 후에는 충분한 물을 준다. 작은 비닐 터널로 가려준다.
3. 꺾꽂이 후
관리: 묘상의 기온은 낮에는 28~30℃, 야간에는 17~18℃, 기온이 30℃가 넘으면 그늘지게 하여 온도를 내려주고 바람이 통하지 않게 하여
가지와 잎이 시드는 것을 방지한다. 공기상대습도는 95% 이상을 유지하고 토양의 습기를 유지한다. 온도가 낮을 때 묘상에 맑은 물을 뿌려주고 또
요소나 제일인산칼륨 ․ 흑설탕을 각각 0.1%의 혼합액을 1차례 분사한다.
꺾꽂이 한 지 5일 후에 가지에 부정근(不定根)이
자라나오기 시작한다. 이 시기에 묘상 기온은 낮에는 25~28℃, 야간에는 15~17℃, 지온(地溫)은 18~23℃을 유지한다. 적당하게
일조시간과 강도를 증가하고 적당량의 통풍을 시킨다. 약간 시들면 즉시 맑은 물을 분사하고 심하게 시들면 그늘로 가려주고 요소와 제일인산칼륨 각각
2%의 혼합액을 2차례 뿌려주어 병해를 예방한다.
꺾꽂이 한 지 15일 후에 가지 하단에 이미 자란 5cm 이상의 새로운
뿌리 5~7개와 많은 짧은 부정근을 정상적인 묘처럼 관리하면 된다. 이 시기의 기온은 낮에 20~28℃로 유지한다. 초저녁에서 자정까지는
14~16℃, 자정부터 새벽까지는 12~13℃로 유지한다. 비닐터널을 걷어내고 얕게 사이갈이를 한다. 요소와 제일인산칼륨 각각 0.2%의
혼합액을 3차례 뿌려주고 정식(定植) 전에 일주 정도 묘를 다듬는다. 묘상에 매번 667㎡당 비료액 50kg을 뿌려준다.
2.
정지(整地)와 정식(定植)
① 정지: 667㎡당 고르게 잘 썩은 농가비료 15000kg와 삼원(三元)복합비료 75kg을 밭에 뿌리고
30cm 정도로 깊이 갈아엎는다.
② 정식: 꺾꽂이 한 지 25~30일이 되었을 때 정식한다. 맑은 날 정식하는 것이 묘에 좋다.
정식밀도는 크게는 열간거리를 70cm로 하고 작게는 열간거리를 50cm로 하며 그루간 거리는 33cm, 667㎡당 3300그루 정도
정묘(定苗)한다. 평지 위에 대소 열간거리에 따라 10cm 정도 깊이의 고랑을 파고 물을 충분히 주고 667㎡당 고르게 아미노산엽비(葉肥)
2kg을 살포한다. 그루간 거리에 맞추어 묘를 이랑에 배치하고 흙으로 이랑을 덮은 다음에 그루마다 1.5kg의 물을 준다. 이랑의 높이는
10~13cm 정도로 하고 비닐막을 덮는다.
3. 재배관리
① 온도관리: 완묘기(緩苗期: 천천히 묘가 자라는 시기) 때 기온은 낮에
28~30℃, 야간에 17~18℃, 지온은 18~23℃를 유지하고 바람을 쏘이지 않는다. 공기상대습도는 95% 이상이다. 완묘기 이후의 기온은
낮에 25~28℃, 초저녁에서 자정까지 15~17℃, 자정부터 새벽까지는 10~13℃로 조절하고 동시에 통풍이나 배수에 주의해야 한다.
상대습도는 80%를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② 액비(液肥)관리: 꺾꽂이 묘를 정식한 후에는 비교적 많은 영양물질이 필요하다. 완묘기
이후에 물을 주고 각 묘마다 복합비료 30kg을 추비하여 토양의 습도를 유지한다. 이후에 매번 물을 줄 때 요소 20kg을 추비한다. 매일
상오에 이산화탄소가스비료를 시비하면 되고 아울러 정기적으로 엽면비(葉面肥)를 추비한다.
③ 정지(整枝): 가지 하나만 남기고
측지(側枝)를 일찍 쳐낸다. 순치기를 하는 시기는 다섯 번째 꽃차례(inflorescence)에서 꽃망울을 보인 이후가 가장 좋다. 제때에 늙고
병든 잎을 따낸다.
④ 잠화(蘸花): 각 꽃차례에서 3~4개의 꽃이 필 때 10~15mg/kg의 2.4-D 용액을 꽃에 바르고 각
꽃차례마다 5개의 과실을 남긴다.
4. 병충해 방치
① 병해: 정기적으로 1.5% triacontanol-copper
sulfate-dodecyl solium sulfote 1000배액, 75%의 chlorothalonil 500배액 등을 뿌려준다.
②
충해: 진디 또는 온실가루이(greenhouse whitefly)에는 80% 디클로르보스(dichlorvos)를 묘당 용량 0.4~0.6kg
살포하거나 40%의 디메소에이트(dimethoate) 1000배액 등을 살포하면 된다.
'전원생활 > 농사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추운 지역 무공해 미나리 재배기술(펌) (0) | 2006.04.26 |
---|---|
달걀 껍질 퇴비로 브로콜리 재배(펌) (0) | 2006.04.26 |
재생지 육묘 포트로 딸기 재배(펌) (0) | 2006.04.26 |
각종 액비 제조와 할용(펌) (0) | 2006.04.26 |
속성 발효퇴비 만들기(펌) (0) | 2006.04.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