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putso.com.ne.kr/crops/corn2.html

![]() ![]() ![]() |
1. 옥수수의 중요성 가. 옥수수 재배의 경제성 나. 옥수수 재배의 장단점 2. 옥수수 재배기술 가. 파종전 준비와 품종의 선택 나. 파 종 (1) 파종상 준비 (2) 파 종 시 기 (3) 파종밀도 및 파종량 (4) 시비 및 시비량 다. 진압 및 제초제 살포 라. 추비 및 해충방제 마. 습해, 연작장해 바. 종실불량 및 수량감소 원인 3. 수확 및 사일리지 제조 가. 수확시기의 결정 나. 옥수수 사일리지 제조기술 (1) 절단, 충진, 답압, 밀봉 (2) 수분조절과 첨가제 (3) 사일리지 급여 |
![]() ![]() ![]() |
- 옥수수의 중요성
가. 경제성이 높다
- 다른 어떤 사료작물보다 생산성이 높다(경제적이다).
즉, 단위면적당 생산단가가 가장 낮다(TDN ㎏/㏊)
<표 1> 사료작물의 생초, 건물 및 TDN 수량의 비교
구 분 생 초 량 건 물 률 건물 수량 TDN 함량 TDN 수량 옥 수 수 10t 35 % 3.5t 65.0% 2,275 kg 옥 수 수 10t 25 % 2.5t 66.0% 1,650 kg 수 단 10t 20 % 2.0t 57.0% 1,140 kg 호 밀 10t 18 % 1.8t 61.0% 1,098 kg
<표 2> 대표적인 조사료의 경제성 비교(서성, 축기연, 서울우유, 2000. 3>
조사료 종류 건물가격(원/kg) TDN 가격(원/kg) 대 비 알팔파 큐브 337 562 269 알팔파 건초 371 618 296 오차드 건초 371 640 306 라이그라스 짚 270 600 287 볏 짚 270 643 308 배합사료(한우용) 284 360 172 배합사료(비유초) 318 394 189 옥수수 사일리지 139 209 100) 옥수수 사일리지 129 193 92 수단그라스 123 236 113 호 밀 197 386 185
나. 단위면적당 TDN 생산량이 높고, 한꺼번에 Silage로 저장하기 쉬운 사료작물이다.
다. 양양가가 높고 기호성이 우수한 사료작물이다
라. 집약적 생산, 대량생산 및 기계화가 가능하여 규모화가 가능하다.
마. TMR 조제의 있어서 없어서는 안되는 기초사료이다.
바. 사료설계가 가능하고 소가 스트레스를 적게 받는다.
- 가. 파종전 준비
- 총 사일리지 요구량과 재배면적은 ?
- 올바른 품종선택과 종자의 확보는?
- 퇴비는 충분히 냈는가?
- 토양의 분석과 비료는 확보 됐는가?
- 장비 및 기계는 확보되었는가?
- 작업에 필요한 인력과 시기는?
- 수량(Yield, TDN 또는 DM)이 높을 것 : 반드시 건물수량 또는 가소화양분총량(TDN)으로 비교
- 숙기(Maturity)가 맞을 것 : 수확시 적정 건물함량(28~35%)에 도달할 수 있는 품종일 것.
※ 숙기에 대한 진실과 오해- 사일리지용 옥수수는 만숙종 일수록 초장이 크고 녹색도도 좋으며 건물수량이 높다.-----(○)
- 만숙종 일수록 생산성이 높아 경제성이 있다.-----(×)
아니다. 수확하였을 때 적정 건물함량인 28~35%에 도달하지 못하면 사일리지로 만들었을 때 누즙과 발효에 의한 건물손실이 너무 많고 과발효가 일어나며 2차발효도 커서 TDN 이나 가축의 생산성은 오히려 적기에 도달하여 수확한 조생종 품종보다 떨어진다. 그래서 옥수수는 파종시기에 관계 없이 수확예정일에 건물함량이 30%에 달할 수 있는 숙기의 품종을 선택하는 것이 옥수수 재배의 핵심이다.
- 같은 품종에서는 파종시기에 관계없이 재배기간이 일정하다.-----(×)
아니다. 파종시기가 늦어지면 재배기간은 단축되며 수량과 품질은 낮아진다. - 수확시 건물함량이 30%내외에 도달할 수 있다면 만숙종 일수록 수량이 높다.-----(○)
- 상대숙도(RM; Relative Maturity)와 CRM은 같은 의미이고 파종에서 수확까지의 일수를 나타낸다.-----(×)
- 모든 추천품종은 내병성이나 생육특성이 비슷하여 어느지역에서나 비슷한 수량을 보인다.-----(×)
- 지역에 알맞는 숙기의 품종을 찾아내는 방법은 적산온도(GDU)를 계산하면 된다.-----(○)
- 숙기와 RM 및 CRM
- GDU계산에 의한 품종선택법
- 도복(Lodging)에 강할 것 : 바람이나 태풍에 넘어지지 않는 품종, 기계작업에는 필수
아무리 수량이 높은 품종이라도 도복이 되면 수량이 감소되고 포장손실이 크며,기계수확이 불가능하고 작업 능률이 떨어지며 사일리지도 이상발효가 예상된다. 따라서 연중 태풍이 한 두차례 상육하는 우리나라 기후조건을 고려한다면 반드시 내도복성이 강한 품종의 선택이 요구된다. 옥수수의 생육기간중 도복에 가장 약한 시기는 출현기부터 개화기 까지이다. 아무리 도복에 강한 품종이라도 이 시기에 조금 심한 바람을 만나면 도복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일찍 파종하여 장마기 전에 수분이 끝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 병(diseases)과 해충(Insects)에 강할 것 : 연도에 따라, 지역별로, 파종시기에 따라 엄청난 차이가
있다.
추천된 품종들은 대부분 내병성이 우수하지만 품종에 따라 지역적으로, 연차적으로 발병 비율이 다르게 나타나므로 문제가 되는 흑조위축병이나 위조병에 강한 품종의 선택이 중요하다.
- 종실(Ear)이 균일하게 달릴 것 : 포장 중앙에서 관찰했을 때 1주에 1개가 원칙, 파종량과 시비량 참고자료.
전체 TDN 수량의 2/3는 종실에서 온다. 파종밀도 및 토양조건에 따라 다르나 종실 비율이 높고 이삭이 고르게 달리는 품종이 좋다.
- 유식물 활력(Seelding vigor)이 높을 것 : 특기 조기파종, 산간지에서는 중요한 특성 중 하나다.
일찍 파종할수록, 산간지 일수록 낮은 온도에서 오랫동안 토양 속에 있어야 하므로 유식물의 활력이 높고 초기생육이 좋은 품종을 선택하고, 늦게 파종할 경우에 光感性이 둔하여 생육지연이 되지 않고 종실이 충실하게 결실될 수 있는 품종일수록 수량이 높다.
- 기타
- 재배지역과 작부체계 고려
옥수수의 품종선택은 재배하고자하는 지역의 기후 및 토양 특성과 개별농가의 작부체계에 따라 반드시 품종의 선택이 달라야한다. 적기에 파종하고 1 모작을 한다면 남부지방으로 갈수록 숙기가 길고 흑조위축병에 강한 품종이 선택되어야 하고, 옥수수 전후로 단경기 작물을 재배할 경우에는 재배기간과 적산온도를 기준으로 품종을 선택하여야 한다.
- 재배목적을 명확히 할 것 : 청예용과 사일리지용은 다르다
- 농장의 전체 조사료 수급계획과 작부체계에 부합할 것
- 기후와 토양 등 재배환경을 정확히 이해할 것
- 본인의 경작 능력(기계, 인력동원, 재배기술 등)을 알것
- 생산 목표를 세우고 확인하여 다음해에 고려할 것
- 재배지역과 작부체계 고려
- 토양분석과 재배이력에 의한 부족양분의 교정 : 2 ~ 3 년에 한번씩
- 충분한 퇴비 : 옥수수는 다비성 작물이다. 퇴비(3~5톤/㏊)나 액비를 충분히 낸다.
- 경운 : 깊게 갈수록 토양의 물리성이 향상되고 뿌리가 뻗을 수 공간이 넓어져 좋다
- 쇄토 : 디스크로 덩어리가 큰 흙덩이를 부순 후에 로터리로 부드럽게 한다
- 기타 : 가을에 땅이 얼기 직전에 깊게 갈아주면 좋다. 또, 급하더라도 비온 뒤 땅이 충분히 마른 후에 로타리를 해야 흙이 잘 부숴진다.
- 파종방법 : 반드시 1점씩 점파(點播)하되 밀파는 금물 - 옥수수 파종기계 사용
수확기계의 수확폭을 감안하여 이랑폭을 조절하고, 밭의 구조에 따른 트랙터 운용방법을 고려하여 이랑의 배치를 만들어야 한다. - 파 종 량 : 66,000 ~ 77,000 주/㏊
<표 3> 이랑너비 및 포기사이에 따른 재식밀도
포기사이
(주간, cm)이랑너비(휴 폭, cm) 65 68 70 72 75 78 80 17 - - - 8,170 7,843 7,541 7,353 18 - 8,170 7,937 7,716 7,407 7,123 6,944 19 8,097 7,740 7,519 7,310 7,018 6,748 6,579 20 7,692 7,353 7,143 6,944 6,667 6,410 - 21 7,326 7,003 6,803 6,614 6,349 - - 22 6,993 6,684 6,494 6,313 - - -
* 모든 품종은 적정 파종밀도에서 최고의 수량을 보인다. 파종량이 높을수록 수량이 높아지나 최적엽면적지수(LAI) 를 넘게되면 오히려 수량이 떨어진다. 따라서 수확기계를 고려하여 밀파를 피하고 적정량을 파종하는 것이 비료의 이용효율을 높이고 도복이 방지되며, 종실이 충실히 달려 생산성이 높아지게 된다.
※ 밀파의 문제점
(1) 빛, 수분 및 양분에 대한 경합이 심하여 대가 가늘고 이삭이 작으며
(2) 웃자람이 심하여 도복되기 쉽고, 기계 수확작업이 곤란하다.
(3) 병충해 발생 및 잡초 발생이 쉽고 방제가 어렵다.
(4) 가뭄의 피해가 심하다.
(5) 암이삭이 없는 경우가 많으며 건물수량이 적고 사일리지 품질도 떨어진다.
(6) 종자비가 많이 들어간다.
<표 4> 종자의 형태와 크기(수치)에 따른 포당 종자갯수개 / 포 50,000 60,000 70,000 80,000 90,000 100,000 형 태 CD 1 2 3 4 5 F 11 12 13 14 15 16 17 R 21 22 23 24 25 26 - (1) 수확시기의 결정
- (2) 옥수수 사일리지 제조기술
(가) 절단, 충진, 답압, 밀봉
(나) 수분조절과 첨가제
(다) 사일리지 급여
Further Study(National Corn Handbook)Corn Silage Harvest Techniques
Silage Preservatives and Additives for Corn
Weather Stress in the Corn Crop
Assessing Hail Damage to Corn
Developing Systems for Optimum Corn Yield
Preventing Insect Problems in Farm-Stored Corn
Perennial Weeds of Corn: Their Biology, Importance and Control
Soil Salinity and Corn Production
Origin, Adaptation, and Types of Corn
Phosphorus Sources for Corn Fertilization
Seed Corn Quality and Size
Annual Broadleaf Weeds in Corn
Hybrid Corn--History, Development and Selection Considerations
Potassium for Corn Production
Maximizing the Advantages of Early Corn Planting
Effects of Uneven Seedling Emergence in Corn
Growing Season Characteristics and Requirements in the Corn Belt
Plant Analysis: a Diagnostic Tool
Economics of Conservation Tillage for Corn Production
간단한 옥수수 재배법(연농찰옥수수)
1. 시비량(300평 기준)
가. 기 비
유기물(퇴비, 두엄)사용 3.0 ~ 5.0톤/10a (토질에 따라다소
차이남)
질소30kg, 복합비료(21-17-17) 3 ~ 4포
나.
추 비
질소30kg/10a(300평)과 가리20kg을 혼합하여
시용
추비시기 : 잎이 7 ~ 8매시 (무릎높이
생장시)
모래땅에 재배는 2회 추비 (1차 6~7매, 2차 9~10매시)
2. 파 종
(중부지방 기준)
가. 파종시기 : 노지재배 : 4월 중순경 ~
6월말
멀칭재배 : 4월
초순
하우스재배 : 3월말 ~
4월초
가을재배 : 6월 하순 ~ 7월 상순
나. 종자소독 : 연농1호는 종자를 소독
하였습니다.
조류피해를 경감키 위해서는 새총(기피제)을 묻혀서 파종
다. 파 종 량 : 5,000립 내외(900그람)이며,
발아율 95%
이상임
주당 1립씩 파종, 결주 된 곳 - 보식(프러그 육묘 후 )
라. 파종기계 : 소규모 재배 → 콘자버(Corn Jabber) -
수동
파종기구
(기술센터, 작목반, 개별 등 자체제작
가능합니다)
대규모 재배 → 트랙터 파종(진공압축식)
라. 포트파종 : 프러그 육묘 이용 - 15일 정도
소요
직 파 : 온수에 12시간 침종 후 직파
마. 파종시기별 수확일수
(중부기준)
- 3월 25일 파종 : (120일 수확),
- 4월 20일 파종 : ( 90일 수확),
- 5월 10일 파종 : ( 85일 수확)
(파종일이 빠를수록
수확일수가 길다 : 기온 및 지온때문 )
3. 재식거리(심는거리)
가. 재배방법 : 노지직파, 멀칭재배, 터널재배,
하우스재배
비닐(멀칭용)종류 : (검정비닐 사용금지)
나.
재식거리(연농1호) : 80cm x 30cm 1립 파종 4,100주(립)
소요
100cm x 40cm 2립 파종 5,000주(립) 소요
4. 재배 및 관리요령
가. 구멍 뚫기 작업 : 발아 후 15일경 실시(조기재배시)
나. 북주기 작업 :
구멍 뚫기 작업과 동시 실시
다. 가지제거 : 발아 후 20 ~ 30일경 2회 실시
라. 관수작업 : 이랑관수,
스프링클러 이용 (토양습도 유지)
5. 병충해 방제
가. 경운전(밭 갈기전) : 코니도와 카보입제 살포 후 로타리 작업
나. 키가 1m 정도
자랐을 경우 카보 입제 등을 생장점 부위에 소량 투여
재배면적이 클 경우 비료살포기로 약제
살포를 하면 생력화 가능
※ 다량 투여 시 약해발생 우려 (불임우려)
6. 수확시기
가. 수확시기는 기온이 높고 낮음에 따라 차이가 있는데 수염이 나온 후 30일 정도가 수확 적기임 (옥수수
수염의 고사로 판단할 수 있으며, 수확이 빠르면 상품 가치가 떨어짐)
나. 적기에 수확을 못하면 상품가치가 떨어짐
7. 냉동보관
가. 수확된 옥수수는 그늘에서 작업해 저온창고 및 냉동고에 보관해야 장기간 보관이 가능함.
나. 수확 직 후 출하 할 것도 그늘에서 작업 요함.
가정에서 장기간 보관시
: 삶아서 낟알을 따서 비닐팩에 넣어 냉동보관
8. 기타
가. 농사에 궁금한 점이 있으신 농민께서는 진흥청, 기술원, 또한 가까운 농업기술센터 밭작물 담당자들에게
문의하면 자세한 재배법을 알 수 있습니다.
연농찰옥수수연구소 (href="http://www.yeonnong.com/" target=_blank>color=#333333>http://www.yeonnong.com)
href="javascript:realImgView('https://t1.daumcdn.net/blogfile/fs1/34_4_4_4_07zGC_IMAGE_0_13.jpg?original&filename=13.jpg')">
hspace=0
src="https://img1.daumcdn.net/thumb/R46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logfile%2Ffs1%2F34_4_4_4_07zGC_IMAGE_0_13.jpg%3Fthumb&filename=13.jpg"
border=0>
수확한 옥수수
href="javascript:realImgView('https://t1.daumcdn.net/blogfile/fs5/34_4_4_4_07zGC_IMAGE_0_14.jpg?original&filename=14.jpg')">
hspace=0
src="https://img1.daumcdn.net/thumb/R46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logfile%2Ffs5%2F34_4_4_4_07zGC_IMAGE_0_14.jpg%3Fthumb&filename=14.jpg"
border=0>
재배중인 옥수수 밭
src="http://yeonnong.com/corn/data/file/gallery/990758074_725cf8ac_%25C1%25F6%25BF%25AA%25C0%25FB%25C0%25C0%25BD%25C3%25C7%25E8%25C7%25B0%25C1%25BE.jpg"
width=546 name=target_resize_image[] tmp_height="1536" tmp_width="2048"
[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xxonclick="image_window(this);">
품종별 시범재배 단지
옥수수의 재배관리 및 병충해 방제
1. 관리 및 제초
옥수수밭의 관리작업으로서는 솎기, 제초, 관배수 등을 들 수 있지만, 특별히
밀식한 경우외에는 솎아줄 필요가 없고, 관수는 가뭄이 심한 때를 제외하고는 우리나라의 기상여건으로 볼때 큰 효과가 없으며 경사지에 주로 있는
옥수수밭에 관수시설을 한다는 것은 타산이 맞지도 않는다.
옥수수는 습해에 약하므로 장마철의 배수관리에 힘써야 한다. 제초제를 잡초가
발생하기 전에 뿌리는 제초제로 씨마진과 라쏘(알라)가 많이 이용된다. 씨마진은 광엽잡초에 효과가 크고 화본과 잡초에는 효과가 적으므로 라쏘와
같이 화본과 잡초에 효과가 큰 제초제와 혼용하는 것이 살초효과가 크다. 두가지 제초제를 혼용하여 사용할때에는 한가지 약제만 사용할때의 약
70%을 각각 섞어서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뿌리는 시기는 보통 잡초가 발생하기 전인 파종후 3-4일 이내에 뿌린다.
2. 곁가지 제거
단옥수수는 일반옥수수보다 곁가지가 많이 달리는 특성이 있는데 이 곁가지를 따주는
것이 좋은 가에 대한 논란이 있고 일반농가에서는 곁가지가 양분을 빨아들이고 원줄기의 자람이 나빠질 것이라는 막연한 생각으로 따주는 일이 많다.
그러나 곁가지는 그 자체에서 뻗은 잎이 탄소동화작용을 하여 원줄기의 양분을 뺏는
일이 없으며 곁가지를 그대로 둔 것이 곁가지를 따준 것보다 뿌리가 더 왕성하고 원줄기가 더 굵게 자라 이삭수량이 많다. 강원도 농촌진흥원에서
시험한 결과에서도 제일 처음에 나오는 곁가지를 빨리 따준 것은 안 따주고 방치해 둔 것과 비슷한 결과를 보였으나 둘째 곁가지가 나온후 그뒤에
따준 것은 약10% 정도의 이삭무게가 떨어졌으며 15cm 이상의 상품가치가 있는 이삭수도 감소하였다.
또한 일본에서 시험한 결과 (표1)에서도 곁가지를 따주지 않은 것이 생이삭 무게가
많고 곁가지를 따준 경우에도 빨리 따준 것이 좋은 결과를 보여 강원도 농촌진흥원에서 시험한 결과와 비슷하였다. 요컨대 단옥수수의 곁가지는 이삭의
품질 및 수량에 나쁜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므로 따줄 필요가 없으며 따주는 경우 많은 노력이 들고 따준 부위에 상처를 주게 되어 오히려
해롭다. 일반적으로 곁가지가 특별히 많은 품종은 되도록 빨리 따주고 그외에는 따줄 필요가 없다.
<표1> 단옥수수 곁가지 제거의 영향
src="http://www.cheju.rda.go.kr/agrinfo/htm/agro21/ATIDB/A/03/06/01.gif"
width=513 border=0>
3. 옥수수 병충해 방제
1) 병해
가) 그을음무늬병(煤紋病:매문병): 생육중기에 잎에
푸르죽죽한 작은 반점이 생겼다가 커져서 방추형의 큰 병반이 되는데, 병반 둘레는 갈색이고, 내부는 암색이다. 병반의 표면에는 비로드모양의
곰팡이가 밀생한다. 이병은 7~8월의 고온 다습시(18~27℃)에 발생하지만 깨씨무늬병보다 서늘한 조건인 산간지대에서 많이 발생하고, 또한
질소와 칼리가 부족할 경우에도 많이 발생한다. 포자형태로 이병엽에서 월동하여 다음해에 전염된다. 내병성 품종을 심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고,
비료를 충분히 시용하며, 약제로서는 다이센엠45 등을 발생초기에 1주일 간격으로 2~3회 살포한다.
src="http://www.cheju.rda.go.kr/agrinfo/htm/agro21/atidb/A/03/06/a030602a.jpg"
border=0>
그을음무늬병(매문병)에 이병된 옥수수
나) 깨씨무늬병(胡麻葉枯病): 잎에 갈색의 작은
반점이 생겼다가 커져서 둘레가 자색 또는 홍색이고 내부는방추형 또는 타원형의 병반으로 된다. 그을음무늬병보다 병반이 작지만 병반이 합쳐져서
온잎이 말라버리기도 한다. 7~8월의 고온 다습조건(20~30℃)에서 많이 발생하고, 산간지보다는 평야지에서 많이 발생한다. 포자형태로
이병엽에서 월동하여 다음해에 전염된다. 그을음무늬병에 준하여 방제한다.
다) 검은줄오갈병(黑條萎縮病): 식물체 전체의
마디사이가 짧아져 키가 작아지고 잎이 농녹색으로 변하며, 잎의 길이가 짧아져서 늘어지지 않고 뻗힌다. 상위엽 뒷면의 엽맥이 돌출하여 줄을
나타내는데, 심할 경우에는 엽초에도 나타난다. 애멸구에 의하여 매개되며, 기주식물은 벼, 보리, 밀, 호밀, 둑새풀, 바랭이 등 대부분의
화본과식물이다. 완전한 내병성 품종은 없지만 현재 재배되고 있는 품종중에서는 광안옥이 다소 저항성을 지니고 있으며, 일찍 파종하여 애멸구,
2화기의 피해를 회피하거나 큐라텔과 같은 살충제를 뿌려 애멸구를 죽인다.
src="http://www.cheju.rda.go.kr/agrinfo/htm/agro21/atidb/A/03/06/a030602c.jpg"
border=0>
검은줄오갈병(흑조위축병)에 이병된 옥수수
라) 깜부기병(黑穗病): 암이삭, 수이삭, 잎,
줄기 등의 지상부에 광택이 있는 흰 껍질로 싸인 혹같은 것이 생기는데, 혹이 커지면 흰껍질이 터지면서 검은 가루가 날으게 된다. 검은 가루는
후막포자인데, 이것이 토양중에서 월동하고(약 7년간 생존) 먼지와 함께 날아다니다가 식물체에 옮겨져 조건이 좋아지면 전염하게 된다. 건전한
종자를 살균제로 처리하여 심고 깜부기병에 많이 걸리는 밭은 연작을 피하며 병이 발생한 개체는 일찍 발견하여 태운다. 일반적으로 마치종은 이 병에
강하다.
src="http://www.cheju.rda.go.kr/agrinfo/htm/agro21/atidb/A/03/06/a030602d.jpg"
border=0>
깜부병(흑수병에 이병된 옥수수)
2) 충해
가) 조명나방(栗螟蛾): 극히 잡식성이어서 거의
모든 밭작물의 잎, 줄기, 종실 등을 가해한다. 유충은 잎 뒷면의 연한 엽육을 갉아 먹으며 점차 커지면 줄기나 종실속으로 파고 들어가 속을 갉아
먹는다. 먹어 들어간 부분에서 갈색의 똥이 배출되어 쉽게 식별할 수 있다. 유충은 길이 25㎜ 정도까지 자라며, 머리는 흑갈색이고 몸은
담갈색이며 각 관절에 담갈색의 작은 반점이 있고, 1년에 2∼3회 발생한다. 6월중하순에 제1회, 7월중하순에 제2회, 8월중하순에 제3회
성충이 발생한다. 성충은 잎 뒷면에 알을 낳고, 산란수는 300∼1,000개이며 산란기간은 4∼7일, 난기간은 4∼6일, 유충기간은
20∼30일, 번데기기간은 6∼10일, 성충기간은 5∼12일이다. 유충은 4∼6회 탈피한 후 번데기가 된다. 조명나방은 줄기나 이삭속에서
월동하기 때문에 수확후 피해주를 태워 발생량을 줄이고 피해가 나타나지 시작할 때 1주일 간격으로 2-3회 침투성살충제(세빈, 쎄다
등)를 살포한다.
나) 멸강나방(栗夜盜蛾): 유충이 떼를 지어
다니며, 주로 밤에 옥수수, 조, 벼, 보리 등의 화본과식물을 포식하여 큰 피해를 끼친다. 유충은 길이 45㎜까지 자라며 흑갈색이지만 흰 배선이
있고, 1년에 2~3회 발생하는데 제1회 성충은 5월하순에 나타나며 6월중순에 피해가 심하고 특히 보리를 수확한후 옥수수로 이동하여 큰 피해를
준다. 또한 7월의 우기에 알이 물에 떠 내려와 모인곳에서 돌발적으로 많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번데기로 흙속에서 월동한다. 방제법으로는
발생초기에 침투성살충제를 뿌린다.
다) 거세미 : 거세미는 잡식성으로 어린 옥수수의
지면 가까운 부분을 잘라 피해를 주며 어린 애벌레는 낮에도 피해를 주지면 성장하면 야행성이 되어 밤과 구름이 끼어 흐린날에만 활동한다. 파종할
때 옥수수가 심어지는 밭고랑에 지오릭스나 마릭스분제를 뿌리면 효과가 있다.
표 6. 옥수수 주요 병해충과 방제
구 분
피 해 증 상
발생지역
방제대책
검은줄오갈병
키가 작아지고 윗잎의
뒷면에 엽맥이 부풀어 줄이
나타남.
애멸구가 옮김
남부평야지
발병초기에
이병주 제거
깨씨무늬병
잎에 갈색의 작은 반점으로
시작하여 타원형으로
커짐
중부, 남부지역
고온다습조건
품종 선택
깜부기병
이병부위가 혹처럼 부풀어
오르며 흰색의 연한 막으로
싸임
전국
토양 및 종자전염
연작을 피하고
이병주 소각
살균제로
종자처리
조명나방
줄기 및 암이삭에 피해
size=2>전국
1화기(6월중순)
2화기(7월하순)
살충제
(카보입제 살포)
멸강충
집단발생
잎과 줄기에 피해
전국
5월상순∼8월상순
발생
살충제
(파프유제 살포)
거세미
생육초기 옥수수 줄기의
밑부분에 피해
전국
토양처리
(지오릭스
분제)
<참고문헌>
가. 박래경, 박근용, 박승의. 1988. 작물재배의 신기술(식량작물편).
명륜당.
288-290, 306-307
나. 박승의, 박근용. 1991. 단.찰옥수수 재배의 이론과 기술. 농진회.
97-104
다. 홍정기, 민황기. 1983. 측지제거가 단옥수수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농시보고서 25(작물) 195-199
**출처 : 네이버 블로그
(빗방울님)
- (2) 옥수수 사일리지 제조기술
모든 일이 그렇듯이 농사를 잘 지으려면 목적과 목표가 뚜렷하여야 한다. 왜 옥수수를 재배하여야 하는지, 어느 정도의 수확을 올리고 어떻게 이용하면 어느 정도의 돈을 벌 것인지에 대한 명쾌한 답이 있어야 한다. 처음 재배하는 사람은 다음 물음을 잘 음미하여 왜 옥수수를 재배하여야 하는지를 상기하고, 한번 이상 재배해본 경험이 있는 농가는 지난해의 작황을 중심으로 품종의 선택에서부터 수확, 사일리지의 발효상태 및 우유생산에 이르기까지 작업상 모든 잘잘못을 보완하여 세밀한 작업계획을 세우는 것이 옥수수 수량을 증대시키고 생산성을 향상시켜 낙농경영을 효과적으로 하는 첫걸음이다.
나. 품종의 선택
다. 파 종
- (1) 파종상 준비
파종상은 종자의 발아와 유식물의 생장을 좌우한다. 파종상의 기본은 부드러우면서도 단단하여 종자가 발아에 필요한 수분과 생장에 필요한 영양분을 잘 공급하고 뿌리를 단단히 고정시킬 수 있어야 한다.
(2) 파 종 시 기
그 지역의 벗꽃 필무렵이 파종적기이다. 냉해를 입지 않는 범위내에서 파종시기가 빠를수록 옥수수 수량은 높다. 평균기온 10℃(평균 지온 8℃) 도달시기나 일찍 파종할 경우에는 유식물의 활력이 높고 초기생육이 좋은 품종을 선택하고, 늦게 파종할 경우에 光感性이 둔한 품종이 종실이 충실하게 달린다.
일찍 파종할 때에는 적기에 파종할 때보다 약간 깊게 파종하는 것이 좋다. 같은 지역이라 할지라도 표고, 사면의 방향에 따라 파종시기가 달라져야 한다
(3) 파종방법 및 파종량
播種床을 잘 만들어야 균일한 발아가 가능하고 제초제의 약해를 줄이기 위해 3-4cm 깊이가 좋다. 토양이 건조하거나 사질토양에서는 5-6cm 깊이로 파종한다.
(6) 시비 및 시비량
<표 5> 기비와 추비의 예(kg/㏊, 1㏊=3000평=10,000㎡, 180-150-150 ㎏/㏊인 경우)
구 분 | 기 비 | 추 비 | ||
성분량 | 실 량 | 성분량 | 실 량 | |
질 소 | 90 | 요 소 200 | 90 | 요 소 200 |
인 산 | 150 | 용선인비 750 | - | - |
카 리 | 150 | 염화카리 260 | - | - |
- (1) 진압
반드시 진압하여야 균일한 발아, 제초제를 균일하고 살포할 수 있고 제초효과와 높은 수량을 기대할 수 있다. 특히 가뭄이들 때는 진압이 필수적이며, 파종작업 중 가장 중요하다
(2) 제초제 살포
- (가) 발아전 처리
수화제(씨마진)와 유제(라쏘)를 섞을 경우에는, 먼저 수화제(씨마진)를 소량의 물에 잘 푼 다음 100-200l 의 물에 유제(라쏘)와 섞어 살포한다. 파종 복토 직후 살포하는 것이 가장 좋으며, 늦어도 파종후 2-3일 이내에 살포하여야 한다(일반적으로 제초제의 유효기간은 25-50일 이다).
토양이 건조하면 약효가 떨어지고 중복살포를 피하기 위해 희석액을 많이하여 충분히 살포하는 것이 좋다. 사질토는 물의 량을 줄이고 신속히 살포하며, 살포 직후 비가 예상되면 약 량을 줄인다.
(나) 발아후 처리
- 점살포법 : 디캄바(반벨), 파라코, 광엽선택성(반벨, 2,4-D, 벤다존 등)
- 경 운 법 : 옥수수가 다차지 않도록하며 이랑 사이를 가볍게 갈아준다.
- 인력 및 제초제에 의한 방제 : 어저귀, 쑥, 메꽃 등 숙근성 잡초
바. 습해, 연작장해
사. 종실불량 및 수량감소 원인
아. 수확 및 사일리지 제조
'전원생활 > 일반 농작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옥수수 재배법(펌) (0) | 2006.04.17 |
---|---|
김장 배추 재배(펌) (0) | 2006.04.17 |
상추 재배기술(펌) (0) | 2006.04.17 |
방울토마토 재배(펌) (0) | 2006.04.17 |
오이 재배(펌) (0) | 2006.04.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