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원생활/일반 농작물

[스크랩] 고구마의 파종및 관리

예농 2006. 3. 26. 22:04
파종 및 관리

씨고구마로 사용할 고구마 선택시 유의사항
씨고구마로 사용할 고구마를 선택할 때는 다음과 같은 점에 주의하여야 한다.

  1. 병들지 않은 건전한 고구마
    검은무늬병, 무름병 등의 피해를 입은 고구마를 제거하여야 한다. 따라서 밭에서 검은무늬병이 발생하였을 때나 저장중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며 씨고구마를 온상에 묻기 전에 종자소독제나 침투성 살균제 처리, 또는 온탕소독 등을 하여야 한다. 특히 바이러스병에 이병되지 않은 씨고구마를 골라야 한다.

  2. 품종고유의 특성을 가진 고구마
    고구마는 영양번식을 하기 때문에 유전적인 변화가 적으나 돌연변이에 의하여 색이나 모양이 다소 변하는 수가 있다. 따라서 품종 고유의 모양이나 색깔을 가진 고구마를 선택한다.

  3. 저장중 냉해를 입지 않은 고구마
    씨고구마의 저장온도는 12~13℃이나 이보다 낮은 9℃이하의 온도로 저장되었을 때에는 냉해를 받아 조직이 파괴된다. 저장중에 냉해를 입은 고구마를 온상에 묻으면 싹이 트지 않고 부패하기 쉽다. 냉해를 입은 고구마는 양끝이 갈색으로 썩은 것이 많고 광택이 적으며 잘라보면 살색에 광택이 없고 유액(乳液)도 적게 난다.


씨고구마의 소독고구마

씨고구마는 병들지 않고 냉해 등을 받지 않은 건전한 고구마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나, 그렇지 않고 씨고구마로 전염되는 검은무늬병(黑斑病), 건부병, 검은전박이병(흑지병), 덩굴쪼김병(蔓割病)등의 발생이 염려되는 씨고구마는 약제를 이용하여 살속에 이미 침입한 병균을 죽일 수 있는 침투성 살균제로 소독하고나 온탕소독을 하는 것이 좋다.

  1. 온탕소독법 : 47~48℃의 더운물에 씨고구마를 30~40분간 담그어 소독하는 방법이다. 온탕소독을 하면 살속에 침입한 균까지도 살균이 되며 삭이 트는 것도 촉진시켜 준다. 이때 침투성 살균제를 사용하면 소독효과가 더욱 좋다. 그러나 소독한 고구마는 바로 묘상에 묻어야 하며 묻은 다음 온도가 낮으면 부패하기 쉬우므로 묘상관리에 주의하여야 한다.

  2. 약제소독 : 시판되고 있는 종자소독제를 고구마에 간혹 사용하고 있으나 수화제를 사용했을 때는 그늘에서 물기를 말린 후 묘상에 묻어야 한다.


씨고구마 묻기 (파종)

  1. 묻는 시기 :씨고구마 묻는 시기는 재배시기, 재배방법, 육묘방법과 제1회 채묘(묘 자르기)를 하고자 하는 시기에 따라 다소 다르다. 씨고구마를 묻고 나서 제1회 채묘를 하기까지의 기간이 전열온상과 양열온상에서는 40일, 최아비닐냉상에서는 50일, 비닐냉상에서는 50~60일 그리고 비닐하우스내에 설치한 전열온상에서는 30일 정도이다. 이러한 기간을 기준하여 심고자 하는 시기로부터 역산한 때에 씨고구마를 묻는다.
    보통기재배 적기인 5월 상·중순에 싹을 심으려면 3월 하순~4월 상순에 양열온상에 씨 고구마를 묻어야 하며 전열온상의 경우는 4월 상·중순에 씨고구마를 묻어야 한다.
    그러나 맥후작 또는 이모작재배의 경우는 육묘 방법별로 적당한 시기를 계산하여 묻는다.
    조기재배
    적기재배
    만기재배
    1월 하순~2월 중순
    3월 하순~4월 상순
    4월 상순~4월 하순
    [ 씨고구마를 파종하는 적정 시기 ]

  2. 파종 방법 및 유의사항
    씨고구마를 묻을 때에는 싹이 고르게 나오도록 다음과 같은 점을 주의한다.

    (A)
    고구마 싹은 머리 쪽에서 많이 나오므로 머리가 한쪽 방향으로 향하도록 묻는다.
    그렇지 않으면 싹이 한곳에 몰려서 웃자라기 쉽다.
    가능하면 머리부분이 북쪽으로 향하도록 하면 햇볕을 많이 받아 좋다.
     
    (B) 고구마 싹은 배 부분 보다 등 부분에 많으며 배 부분은 약간 들어가 있으므로 씨고구마를 배열
    할 때 등 부분을 위로 배 부분을 아래쪽에 닿도록 한다.
    씨고구마 간격은 꼬리와 머리가 닿을 정도로 묻되 씨고구마 줄과 줄 사이는 5㎝간격을 두고
    묻는 것이 좋다.
     
    (C)
    묘상의 중앙부는 온도가 고르게 유지되고 외부조건의 영향이 적으므로 큰고구마를 묻고 양쪽
    측면에는 작은 고구마를 묻는다.
    씨고구마를 묻을 때 묘상에 들어가지 말고 온상 밖에서 작업을 해야 한다.
    만일 온상 안에 들어가서 작업을 하면 전열온상의 경우 전열선이 끊어질 우려가 있다.
     
    (D)
    묘상 안에 품종이 서로 다른 것을 묻으면 싹이 트는데 필요한 온도가 다소 다르므로 한 묘상
    내에서는 가급적 한가지 품종만을 묻는 것이 관리에 유리하다.
     
    (E)
    고구마를 덮는 상토의 높이는 씨고구마가 보이지 않을 정도로 하되 너무 두껍게 덮으면 고구마가 질식하여 부패하기 쉽고 너무 엷으면 건조하여 싹 나오는 것이 늦어진다.
    상토 위에 보온을 위하여 짚이나 왕겨를 덮으면 상토를 엷게 덮고 그렇지 않으면 다소 두텁게
    덮는다.

  3. 씨고구마의 양 및 소요되는 묘상 면적
    씨고구마의 양은 묘의 생산력과 단위면적당 필요한 묘의 수에 의하여 결정된다. 묘의 생산력은 품종, 묘상의 종류, 채묘 횟수에 따라서 차이가 있으며 재식밀도는 묘를 심는 시기, 토양의 조건, 재배방법에 의하여 달라지는 것이 보통이다. 일반적으로 10a당 필요한 묘의 수는 4,500~6,600본 정도인데 2~3회 채묘를 기준으로 본밭 10a당 필요한 양은 품종에 따라 60~100㎏ 정도이며, 보통크기의 씨고구마는 1㎡당 10~12㎏ 정도 묻을 수 있으나 육묘조건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어, 60~100㎏ 정도의 씨고구마를 파종하기 위하여 필요로되는 묘상면적은 10㎡ 정도이다. 크기가 큰 씨고구마는 작은 씨고구마에 비하여 싹이 튼튼하고 좋으나 같은 중량에서 생산되는 싹의 수가 작은 고구마에 비하여 적다. 반대로 작은 씨고구마는 같은 중량에서 생산되는 싹의 수가 많으며 육묘 환경만 좋으면 우수한 싹을 생산할 수 있으므로 유리하게 이용할 수 있으나, 단위면적당 싹의 수가 너무 많으면 통기가 되지 않아 묘가 연약해지기 쉬우므로 주의해야 한다.

    [ 고구마의 여러가지 살색(속색깔) ]

묘상관리

  1. 싹이 트기까지의 관리
    씨고구마를 묻은 다음에는 적당한 온도유지와 물주기에 주의를 하여야 한다. 상토의 온도가 38℃이상이면 고구마가 썩을 위험이 있고 상토위에 피복물을 덮는 경우 35℃이상은 좋지 않다.
    씨고구마를 묻은 후 싹이 트기까지의 기간은 묘상에서는 가급적 고온인 30~33℃를 유지시키면 싹이 고르게 빨리 나온다. 온도관리는 온도계를 묘상의 씨고구마가 묻힌 가까이에 설치하여, 온도가 낮으면 피복물을 더해주어 보온하여야 하고, 양열온상의 경우 온도가 너무 높으면 물을 부어 넣어서 온도를 낮추도록 한다.
    물은 씨고구마를 묻은 후 충분히 주어 씨고구마가 마르지 않도록 하고 이후에도 상토 표면이 마르지 않도록 한다.
    싹이 트기까지 걸리는 기간은 묘상의 종류나 상태에 따라서 다르나 온상에서는 7~10일간, 비닐냉상에서는 2~3주일정도 걸린다. 싹이 늦게 트는 것은 온도가 낮거나 상토가 건조하기 때문이며 씨고구마가 부패한 때에는 상토 표면에 흰색의 곰팡이가 보이므로 파서 내버리고 다른 고구마로 다시 심도록 한다. 또한 온상 위에 덮은 보온덮개는 싹틔우는 동안 덮어두는 것이 좋으므로 싹틔우는 동안 상토가 마르지 않도록 충분히 관수하여야 하며 싹이 트기까지는 물주는 것을 가급적 삼가야 온상의 일정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

  2. 싹이 튼 후의 관리
    싹이 튼 후의 묘상관리는 상토가 마르지 않도록 하되 너무 습하여 웃자라지 않고 잎이 크며, 싹이 굵고 튼튼한 묘를 기르도록 온도 및 수분관리를 하고, 외기나 햇볕을 적당히 접촉시키는데 그 요점이 있다. 싹이 튼 후의 묘상온도는 25℃로 낮추는 것이 묘를 튼튼하게 기르는 방법이며 항상 마르지 않도록 물을 주어야 하는데 육묘 후기에는 매일 물을 주되 너무 습하지 않도록 한다. 다습하면 묘가 연약하고 웃자란다. 상토의 수분은 70%내외가 좋은데 건조하면 잎이 작고 고구마의 형성이 나쁜 굳은 묘가 되기 쉽다. 또한 묘상에서 고구마 싹을 균일하게 기르는 것이 고구마 농사의 첫째요건이라 할 수 있다. 고구마 싹트는 것이 늦은 부분은 짚을 썰어서 덮었다가 싹이 튼 후에 제거하는 것도 좋은방법이며, 너무 빨리 자라는 싹은 초기에 순을 쳐주어 곁가지가 자라도록 유도해 준다.
    묘상에서 바이러스에 걸려 잎이 오그라드는 증세를 보이는 고구마는 뽑아 버린다.
    썩은 고구마와 검은무늬병 등에 걸려서 밑 부분이 검게 변한 것도 씨고구마째 주위의 상토를 함께 파내어 버리고 벤레이트 수화제 500~800배액을 3.3㎡당 1.8ℓ정도 뿌려 주어서 상토와 씨고구마에 묻은 병균을 방제해야 한다.
    싹이 5~10㎝정도 자라면 따뜻한 날 한낮에 2~3시간 정도 비닐피복물을 열어서 묘가 튼튼하게 자라도록 한다. 이때에 묘가 갑자기 찬바람에 닿으면 어린잎이 누렇게 되며 덩이뿌리의 형성이 나빠지므로 주의하여야 한다. 싹이 20~25㎝정도 자라면 밤에는 피복물을 덮지 않고 비닐하우스의 창을 열어서 묘가 웃자라지 않도록 한다.
    묘 자르기 10~15일전부터는 온상 창을 완전히 제거하여 튼튼한 묘를 기를 수 있도록 한다.
    상토가 좋지 않아 잎이 연한 녹색을 띠는 등 비료 부족 증세가 보이면 3.3㎡당 요소 1%액을 4~6ℓ의 비율로 뿌려준다.
 
 
 
전라남도 무안군 청계면 청천리 293-5 (우:534-833)
Tel : 061)453-2592, Fax : 061)453-0085
All Contents Copyright.ⓒ 2003 by 작물과학원 목포시험장 All Rights Reserved.
E-mail: 관리자에게 이메일로 문의하세요.
출처 : 팔봉산목장
글쓴이 : 솔메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