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blog.naver.com/sjyu123/50000913921 | ||||||||||
정원 만들기의 기본 요소
최근 여러 가지 요인으로 인해 늘어나고 있는 국·공·사립 식물원, 수목원, 공원들과 웰빙 열풍으로 다른 때 보다 전원주택이나 팬션 등이 급격하게 조성되면서 많은 정원들이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천편일륜적인 주제나 특색 없이 의욕만 앞서는 난(亂)개발을 우려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또 정원 미학에 대한 관심과 필요성 또한 증가되고 있어서 이에 따른 체계적인 연구가 있어야 하겠기에 정원을 만드는데 있어서 꼭 알았으면 하는 기본적인 요소를 소개합니다. 구름 속에 떠다니는 산들의 모습, 오랜 세월을 이기고 견딘 소나무의 펼쳐진 가지가 바위들과 조화된 모습, 그리고 그 밑에 있는 골짜기를 유유히 흘러가고 있는 강물의 모습들은 언제든지 신비감을 느끼게 하는 자연의 모습입니다. 인간은 원래 자연과 함께 살아왔기 때문에 자연은 인간의 감정을 지배하게 되었고, 미의 개념 역시 자연의 체험으로부터 생겨나기 시작했기 때문에 인간이 인식하고 있는 미의 원형은 여전히 자연 가운데 존재하고 있습니다. 자연 속에는 인간에게 아름다움을 경험하게 하는 많은 요소들이 있을 뿐만 아니라 전혀 아름답지 못한, 오히려 혐오감을 주는 정반대의 요소들도 함께 존재하기 때문에 아름다움을 추구하기 위해서는 자연 속에 존재하는 미의 요소들에 대한 예리한 관찰과 함께 아름다움을 방해하는 불필요한 요소들을 제거하는 훈련이 필요합니다. 그렇기에 정원을 만드는 것은 실제에 기초한 형상화와 관념화의 과정이라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무엇을 보느냐 뿐만 아니라 무엇을 느끼느냐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것입니다.
어떤 형태를 만들기 위해서는 반드시 선이 있어야 합니다. 선은 주로 물체의 가장자리나 경계를 표시함으로서 면을 만들고 면은 다시 형상을 만들기 때문에 선은 형상의 기본 요소입니다. 경관 구성에서 이용된 선에 따라 경관 전체의 분위기가 좌우되기 때문에 선에 대한 이해는 매우 중요하다 할 수 있습니다. 선은 그 굵기, 방향, 길이, 굴곡, 색 등에 따라서 그 느낌이 다양하게 변합니다. 선은 크게 직선과 곡선으로 분류되는 것이 보통인데, 디자인에서는 자연적인 선과 인공적인 선으로 나누기도 합니다. 자연적인 선은 자연에 의해 만들어진 선을 가리키는데 사람에 의해 비교적 자유롭게 그려진 선도 여기에 속합니다. 인공적인 선은 수학 공식에 의해 표현될 수 있는 선으로서 모든 직선은 엄밀한 의미에서 인공적인 선입니다. 삼각형, 사각형 등을 표현하는 직선이나 원이나 타원 등을 나타내는 곡선 역시 인공적인 선에 포함됩니다. 자연적인 선은 끊임없이 변화하는 다양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생명감과 편안함을 주고 있는데 반해 인공적인 선은 획일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단순하고 인공적인 느낌이 들어서 쉽게 실증이 날 수 있습니다. 자연에서의 선은 대체로 통로의 주변이나 건물 벽면의 가장자리에서 나타나는 선만큼 선명하지 못한데 인간의 시야는 주로 선을 따라 이동해서 가까운 곳에서 먼 곳으로, 먼 곳에서 가까운 곳으로, 그리고 좌우로 쉽게 이동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선의 표현은 매우 중요합니다. 노목이나 분재 식물, 그리고 낙엽이 진 후의 나뭇가지에서 볼 수 있는 자연적인 선들은 생명감을 가진 아름다운 선입니다. ● 직 선 엄밀한 의미에서 자연에는 직선이 없기 때문에 직선은 인공적인 선의 가장 대표되는 선이라 할 수 있습니다. 직선은 대체로 단호하고 긴장되고 딱딱한 느낌을 주며 직접적인 이동을 암시하기도 하는 데 두 지점을 연결하는 직선은 망설임, 정지, 안정, 시선의 변화, 시작점의 회고 등의 느낌을 주기도 합니다. 직선이 지나치게 강조된 정원은 분리감과 단순감을 느끼게 될 수 있기 때문에 지나친 사용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직선의 응용인 지그재그나 뾰족하게 꺾어진 선들은 신경질적이고 자극적인 느낌을 줍니다. 사선은 방향성과 움직임이 특별히 강조되는 직선이기 때문에 수평선이나 수직선과 부딪히면 조화를 흐트러뜨리는 힘이 큽니다. 그러나 사선이 갖는 동적인 느낌을 잘 이용하면 좋은 효과를 볼 수도 있습니다. 정원에서 직선의 이용은 진입로를 따라 한 줄, 또는 여러 줄로 심는 나무, 울타리 식으로 심은 회양목, 정원 사이의 통로, 건물 앞에 평행하게 심은 식물 등에서 쉽게 찾아 볼 수 있습니다. ● 곡 선 자연에 존재하는 대부분의 형상은 곡선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곡선은 조화성이 큽니다. 곡선은 편안함, 개방성, 방향성을 가지고 있는데 곡선의 종류에 따라서 나타나는 느낌도 다양해집니다. 완만한 곡선은 천천히 이동하는 느낌을 주는데 유유히 흐르는 강물이나 오솔길 같이 유동적인 연속성과 자연성을 나타내는데 유용합니다. 완만한 곡선은 온화함, 편안함, 느린 이동의 느낌을 주는데 반하여 급하게 휜 곡선은 빠른 이동과 약동하는 느낌을 줍니다. 곡선은 직선에 비하여 자연성이 크고 비교적 조화된 느낌을 주기 때문에 잘 설계된 정원에서 주로 많이 사용되었는데 지나치게 많이 사용하면 오히려 산만한 느낌을 줄 수도 있습니다. 특히, 정원 사이에 있는 통로를 완만한 곡선으로 처리하는 경우에는 그 정원에서의 느낌은 통로를 직선으로 하는 경우와는 아주 대조적으로 나타나서 자연성을 더하고 편안함을 줄 뿐 아니라 통로의 길이와 방향을 연장시킴으로서 걷는 이로 하여금 정원이 보다 넓고 다양하게 느끼도록 할 수 있습니다. 지형도 곡선 또는 직선으로 하느냐에 따라서 전체적인 느낌이 달라지는데, 사각형의 화단이나 평지는 주로 정적인 느낌을 주고 완만한 곡선의 굴곡이 있는 지형은 동적인 느낌을 줄 수 있습니다. 달이나 과일 모양 등에서 나타나는 기하학적 곡선은 직선보다는 부드러우면서도 인공적인 질서감과 명료함을 주지만 오솔길, 바위, 강줄기 등에서 볼 수 있는 자유 곡선은 낭만적이고 사색적인 느낌을 주는데 이것도 잘못 사용하면 무질서하고 조잡한 느낌을 줄 수 있습니다.
형태는 선이나 면이 복합되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모든 식물의 잎, 꽃, 가지, 열매 등은 고유의 형을 가지고 있는데 그것을 이루는 구성요소가 무수히 많기 때문에 그 성질을 검토하는 것은 매우 어렵습니다. 형태는 인공적인 선에 의해 이루어진 인공형과 자연적인 선에 의해 이루어진 자연형으로 크게 나눌 수 있습니다. 이탈리아, 프랑스 등 유럽의 정원의 경관조성에서는 주로 원형, 구형, 정방형, 원통형, 원추형, 반원형, 삼각형, 피라미드형, 장방형, 사다리꼴 등의 인공형이 주로 이용되고 있는 편입니다. 그러나 영국의 자연주의 정원과 동양 정원에서는 자연적인 선에 의해 이루어진 자연형이 주로 이용되고 있습니다. 원이나 구는 하나의 중심점을 가지고 주위를 향해 움직이거나 반대로 주위에서 중심을 향해 움직이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강조점을 형성하여 시선을 집중시키는데 효과적입니다. 정원중심에 배치하는 원형의 분수대는 유럽의 정원식 화단에 설치되는 원형의 중심부분은 그 대표적인 예라 할 수 있고 색채효과를 더하는 경우 그 현상은 더욱 강렬하게 나타납니다. 그런 이유로 별로 중요하지 않은 부분을 원형으로 처리하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원형은 정원형과 타원형이 있는데, 이들 정원형과 타원형의 원형은 비교적 주위의 다른 형태와 조화되는 편입니다. 정방형은 중립적이어서 원과 비슷한 성질을 갖고 있으나 사다리꼴은 사선과 같은 성질을 가지고 있어서 방향을 가지고 움직이는 성질을 갖고 있습니다. ● 식물의 자연형 모든 나무는 윤곽을 이루는 고유의 자연형을 가지고 있는데 그것을 잘 이해하는 것은 경관조성의 윤곽을 결정하는데 매우 중요합니다. 나무의 형태를 결정짓는 가장 큰 요소는 주간과 주지의 생장 습성으로서 직립성이고 분지각도가 좁은 가지를 가진 나무는 대체로 키(樹高)가 비교적 큰 모양을 나타내게 되지만 분지각도가 넓은 가지를 착생하는 나무는 넓은 수관의 모양을 하게 됩니다. 같은 나무의 모양이라도 수령에 따라 차이가 있어서 일반적으로 유목기에는 직립적인 경향이 크고 성목기에는 난형내지 원추형을 나타내다가 노목기에는 보다 옆으로 퍼진 형태(개장형, 개심형)를 나타내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나무는 일부분을 제외하고는 수직적인 형태보다는 둥글거나 보다 옆으로 퍼진 형태를 나타내고 있는데 이것은 일반적인 지형이나 야산의 둥그런 모습과 잘 조화되는 자연스런 모습입니다. 이것은 곡선에서 나타나는 온화함과 평안한 느낌을 줍니다. 이와 대조적으로 수직적인 모양은 지형이나 다른 나무들의 모양과 대조적이고 직선이 나타내는 자극적 느낌과 급한 굴곡이 이루고 있는 약동감 때문에 강렬함을 나타내거나 시선을 집중시키는데 매우 효과적입니다. 지형과 식물형은 서로 밀접한 관계에 있는데 대체로 수목이 자생하는 지역의 형태와 수목의 형태는 조화를 이루고 있는 편입니다.평지에는 평평한 식물이 지표면을 덮고 있고, 구릉지나 야산에는 둥그스레한 나무가, 그리고 경사 급한 고지대에는 직립형의 침엽수가 자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대체적으로 나무의 수형은 원형(round), 또는 난형(oval), 원주형(columnar), 능수형(weeping), 피라미드형(pyramidal), 포복형(prostrate) 등을 들 수 있는데 인공적으로 정지하여 만든 수형을 합치면 상당히 많은 모양이 있습니다. 수목의 고유한 형태는 옆에 있는 나무와 충분한 간격을 가지고 심겨져 있을 때는 그 특성이 잘 나타나게 되지만 밀식되는 경우에는 비교적 직립적이거나 불규칙한 형태를 나타내게 됩니다. 관목을 여러 그루 집단적으로 밀식하는 경우에는 대개 인공적인 수형으로 관리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수목의 형태를 효율적으로 나타내기 위해서는 공간에 대한 이해가 잘 이루어져야 하는데 소정원에 너무 큰 교목성의 나무를 심거나 지나치게 많은 나무를 밀식하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여러 종류의 나무가 심겨진 곳에서 나무의 형태에 의해서 만들어진 윤곽선(silhouette)을 비교하여 단순성, 변화성, 강조 등이 경관설계에 미치는 미적 효과를 연구하는 것은 매우 도움이 될 것입니다. 동일 수종이나 같은 형태의 수종만 사용하는 경우에는 단순성이 강조되어 좀 지루한 감이 들게 되지만 수평 또는 원형의 식재군에 수직성 또는 피라미드형의 형태를 배치함으로서 변화를 추구 할 수 있습니다. 낙엽수 가운데 상록수를 배치하는 경우에는 계절에 따른 조화를 잘 고려하기만 한다면 더욱 흥미로운 변화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 색 채 모든 물체는 색깔을 나타내고 있지만 그것은 그 물체 자체의 색이 아니고 그 물체 표면의 반사광에 의하여 나타나는 색입니다. 그런데 물체의 색은 색의 밝기, 농도, 물체의 재질감 등에 따라 달라지게 됨으로 색의 종류는 대단히 많이 존재합니다. 물체의 색깔은 크게 무채색과 유채색으로 나누는데 무채색은 백색, 회색, 검은색과 같이 채색되지 않은 색을 가리키고 유채색은 적색, 황색, 녹색, 청색, 자주색 등과 같이 채색이 된 색을 말하는데 이런 색깔의 기본적인 종류를 색상이라고 합니다. 색의 밝기 정도를 명도라고 하고 착색 정도를 채도라고 하는데 무채색은 명도를 가지고 있으나 채도는 없습니다. 색상, 명도, 채도 이 세 가지를 색의 삼속성(三屬性)이라고 하는데 색상과 채도를 합친 색의 성질을 색도(色度, chromaticity)라고 합니다. 정원구성에 있어서 색채는 정원이라는 얼굴에 미소와 같아서 형태에 따뜻함과 생명감을 불어 넣어줍니다. 그러나 색의 표현은 개인적이고 주관적인 요소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음악의 기호가 사람에 따라 다른 것처럼 색채의 기호도 사람에 따라 차이가 있기 때문에 일반적 원칙을 이해하고 그것을 기초로 해서 응용하면 좋습니다. 정원구성에 있어서 이용되는 색채는 기본색(또는 바탕색)과 강조색 두 가지인데 전자는 경관 전체를 지배하며 조화를 이루는 바탕색을 가리키고 후자는 경관구성에서 어떤 특질을 강조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색입니다. 대부분의 정원에서의 기본색은 잔디밭이나 나무 잎의 색깔인 녹색인 경우가 많고 강조색은 꽃의 화려한 색이나 열매의 색, 또는 붉은 잎의 단풍이나 무색이나 노란색의 사철나무 등의 잎색이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경관 구성에 있어서 색채이용은 한 가지 색채만 이용하는 단색, 보조적인 색을 이용하여 대조와 조화를 적절하게 구사하는 대비, 그리고 다채로운 색을 전면적으로 사용하는 잡색의 세 가지 방법으로 구분될 수 있습니다. 경관구성에 있어서 색채의 효과는 무척 강렬해서 다른 구성요소보다 지배적 효과가 크기 때문에 경관에서의 색의 우세요소와 종속요소를 결정 할 필요가 있습니다. 동시에 여러 요소가 중요 시 되는 경우에는 화려한 느낌을 줄 수 있으나 산만감과 혼란감을 줄 수 있고 우세요소 없이 모든 요소가 종속요소인 경우에는 단순한 느낌을 주게 됩니다. 정원의 색채는 계절에 따라 끊임없이 변화합니다. 잎의 색깔도 처음에는 연한 녹색을 나타내다가 점점 짙어지게 되고 가을에는 다시 또 중색으로 변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바탕색에 꽃이나 열매 , 그리고 수피의 색이 계절적으로 잘 조화되어 강조되도록 배치할 필요가 있는데 일반적으로 색의 변화는 시·공간적으로 연속성을 파괴하지 않는 점진적 변화가 되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선, 형태, 질감, 그리고 색채의 구성요소를 이용하여 원예 미를 표현하여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것이 경관원예의 목적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러한 원예 미를 표현하여 아름다움을 추구하기 위해서는 염두해 두어야 할 것이 있습니다. 통일성, 단순, 변화, 경이, 균형, 강조가 그것입니다. 정원을 꾸밈에 있어 어느 한 부분에 치우치지 않고 전체적인 분위기가 어느 정도 일관성을 유지하는가, 그러면서도 편안하고 우아한 멋을 느낄 수 있는가, 획일적인 단조로움은 없는가 등을 고려하였을 때라야만 정원은 아름다울 수 있습니다. 아름다움을 표현할 수 있는 기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통일성은 경관 조성에 있어서의 전체적인 흐름이나 분위기의 일관성을 말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면 정원조성에서의 집과 정원과의 관계를 먼저 생각하되 둘을 각각 분리된 것이 아니라 하나로 생각하는 것입니다. 다시 말하면 집의 경우는 정원 속에 하나의 요소로서 포함되어 들어오도록 해야 하는 것입니다. 이런 원칙은 담장이나 보도, 그리고 테라스(terrace)등과도 함께 고려되어야 하므로 색깔이나 형태 그리고 질감을 선택하는데 있어서의 미적 통일성을 항상 염두 해 두어야 합니다. 형(形)은 근처에 있는 것끼리는 한 조로 통합되어 보이는 성질이 있는 반면 유사성을 가진 것은 서로 떨어져있어도 하나로 통합되어 보입니다. 또한 윤곽선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은 도형을 나타내는데 굴곡의 정도가 급격하게 변하는 경우는 부자연스럽게 보이는데 동일한 움직임을 갖고 있는 것은 한 조로 통합되어 보입니다. 이것을 형의 통합이라고 합니다. 정원은 서로 어색하거나 어울리지 않는 것 없이 전체적으로 혼연일체가 되도록 통일될 필요가 있는데 그것은 정원을 이루는 장소의 특성과 잘 연관되도록 해야 합니다. 가장 흔한 예를 들면 완만한 굴곡이 있는 땅에 잔디를 덮고 자연석을 적당히 배치하고 자연석 주변에 철쭉류를 심고 다시 몇 그루의 소나무와 향나무, 단풍나무를 적당히 심는 경우는 쉽게 통일성을 이룰 수 있으나, 다시 그 곳에다 뚜렷이 구별되는 색채나 형태 또는 질감이 전혀 다른 식물, 예를 들면 팬지나 페튜니아(색채), 또는 칸나(형태), 장미를 그곳에 다시 어울려 심는 경우에는 통일성이 파괴 될 수 있습니다. 특히 적은 면적의 땅에 다양한 멋을 내려고 할 때는 통일성을 추구하는 것이 아주 힘들기 때문에 잘못하면 여러 가지 식물의 수집장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여러 식물을 수집해 놓은 수목원에서 통일성이 결여되는 것은 흔한 예입니다. 특히 소정원 구성에서는 서로의 조화를 고려하여 여러 가지가 뒤범벅이 되는 일이 없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지형에 따라 관목이나 수목을 식재하여 골격의 통일성을 이룬 후에 정해진 골격에 따라 조화되도록 배치하면 됩니다. 그렇다고 통일성을 고려한다는 것이 특정식물은 결코 함께 심어서는 안 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닙니다. 자연석이 여러 개 배치된 소나무 옆에 칸나나 다알리아를 심는 경우에는 반드시 구획을 정해서 변화나 대조 속에서의 또 다른 형태의 통일감을 추구할 수도 있는데 이를 위해서는 많은 연구가 필요합니다. 도회지의 주택 정원의 뒷 배경은 흔히 담장이나 벽이 되기 쉬운데 이런 경우에 담쟁이 등과 같은 덩굴식물을 올려 주거나 벽면의 모퉁이의 수직선이 어느 정도 가려지도록 수목을 식재하여 통일성을 추구 할 수 있습니다. 동양식 경관에서는 주로 선과 형태 그리고 정신을 중요시 하는데 비해 서양식 정원에서는 화려한 색채를 강조하는 경우가 많은 점도 식물 선택 및 배식에 있어서 고려해야 할 점입니다
단순은 편안함과 우아함을 줍니다. 단순한 선, 단순한 형태, 단순한 색채, 단순한 질감은 항상 복잡하게 섞여있는 것보다 쉽게 매력을 끌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수평선이나 지평선만 보고도 아름다움을 느끼는 것이나 온통 흰 눈으로 덮힌 세상을 아름답다고 하는 것이나 보리밭이나 잔디밭을 보고 아름답다고 하는 것, 그리고 산 밑을 유유히 흐르는 강물을 바라보고 그 친숙함에서 편안함을 느끼는 것도 단순 속에서 느끼는 감정입니다. 단순은 말 그대로 원예 미 표현에서 다양성 있는 요소나 변화성 있는 요소의 사용을 가급적 억제하고 이용하는 방법인데 단순을 표현하는 가장 쉬운 방법은 반복입니다. 물론 반복은 선의 반복, 형태의 반복, 질감의 반복, 색채의 반복 등을 의미하는데 곡선의 형태를 지형이나 보도의 모양, 수형을 통해 반복함으로써 단순미를 표현 할 수도 있고 페튜니아, 맨드라미, 튤립, 칸나, 베고니아 등의 초화류를 넓은 면적 한가지로만 군색함으로써 단순미를 표현하는 것도 흔히 볼 수 있습니다. 반복의 형태는 식물 개체의 반복만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와 개체들이 모여 있는 식물군의 반복과 같이 어떤 단위의 반복이 있습니다. 개체의 반복이 식물군의 단위를 반복하는 경우보다 단순성이 크게 나타나는데 같은 종류의 가로수에서 느끼는 느낌이나 일정간격으로 보도주변에 심어놓은 회양목에서 느끼는 단순성은 이런 표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변화가 억제 될수록 단순성은 크게 나타나는데 지나친 단순은 쉽게 실증이 나서 지루하게 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어느 정도 자제 될 필요가 있는데 선, 형, 질감, 그리고 색채의 소소한 변화는 단순성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면서도 흥미를 끌 수 있는 좋은 방법입니다
단조로움은 전문적인 원예사에 의해 만들어진 경관에서도 나타나는 가장 큰 위험요소입니다. 변화는 경관에서 선, 형태, 색채, 그리고 질감의 단순성이나 획일성에서 초래 될 수 있는 지루함을 없앨 수 있는 필수적인 시도입니다. 음악에서 단순하고 아름다운 멜로디를 이용하여 오케스트라를 연주하듯이, 변화는 보다 수준 높은 묘미를 갖는 경관 미의 추구를 위해서는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지나친 반복은 단조로움의 원인이 되고 지나친 변화의 사용은 미의 기본요소인 통일성을 상실하게 될 우려가 있으므로 반복과 변화는 균형지게 사용되어야 합니다. 통일성의 상실은 음악에서의 주체가 되는 멜로디를 상실한 전혀 다른 어색한 음악을 연주하는 것 같은 느낌을 줄 수 있기 때문에 변화를 시도하는 데 있어서 “통일성 안에서의 변화”라는 개념을 기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변화의 방법은 크게 나누어서 조화(harmony)와 대비(contrast)를 들 수 있는데 조화는 이미 존재하는 재료의 선, 형태, 색채, 그리고 질감과 아주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진 재료를 차례로 이용함으로써 비교적 점진적인 변화를 추구하는 것으로 평온하고, 친숙하고, 그리고 고상한 느낌을 주고자 할 때 이용하는 방법입니다. 대비는 비교적 상대적인 성질의 구성요소를 가진 재료를 함께 사용하여 급격한 변화를 추구하는 방법으로써 화려한 느낌이나 경이감, 또는 강조를 나타낼 때 주로 이용되는 방법입니다.
인간은 무의식적으로 안정성과 균형이 유지된 모습을 통해서 아름다움을 느끼는 경향이 있습니다. 가장 대표적인 균형의 예는 대칭균형(symmetrical balance)입니다. 이것은 축을 중심으로 양쪽의 형태가 똑같은 것을 말합니다. 이에 비해서 축을 중심으로 한 양쪽의 요소가 형태적으로는 다른 모양을 하고 있지만 양적인 면과 질적인 면에서의 느낌이 서로 균형을 이루어 안정감을 주는 경우를 비대칭균형(asymmetrical balance)이라고 합니다. 경관조성에서 주로 응용하는 것은 비대칭 균형인데 한 그루의 큰 나무는 3그루의 작은 나무와 균형을 이룰 수 있고 진한 색의 한 그루 나무는 연한 색의 몇 그루 나무와 균형을 이룰 수 있습니다. 거친 질감의 것은 더 무게를 느끼게 되므로 고운 질감의 나무는 거친 질감의 나무와 균형을 이루려면 더 많은 수효를 사용해야 합니다.
강조는 덜 중요한 것들은 부수적인 역할을 하게하고 중요한 요소들은 주의를 끌게 하는 수단입니다. 그런 면에서 볼 때 강조는 항상 변화(variety)를 전제조건으로 하고 있는데 강조는 급격한 변화를 말하는 셈입니다. 인간의 눈은 목적 없이 방황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강조점을 이용함으로써 시선을 집중시킬 수 있습니다. 강조의 대상은 어떤 나무나 경관, 또는 조형물이나 특정기능을 위한 장소를 나타낼 때도 사용됩니다. 강조는 변화에서와 같이 선, 형태, 색채, 질감 중 어느 것을 이용해도 표현 할 수 있는데 평평한 관목들 사이에 수직으로 서있는 침엽수를 배치하는 것은 흔히 볼 수 있는 강조의 예입니다. 강조의 표현은 때때로 공간배치를 통해서 나타내기도 합니다. 강조는 항상 특별한 목적을 가지고 제한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은데 지나치게 강조를 많이 하는 경우에는 통일성을 상실하여 혼란감만 줄 수 있습니다. 넓은 경관에 여러 곳에 강조점을 두어야 할 경우에도 적어도 보는 사람이 고개를 돌리지 않고 볼 수 있는 조망범위 내에는 한 개의 강조점을 두는 원칙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글 · 이병철 (아침고요수목원 식물연구부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