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원생활/일반 농작물

옥수수의 일반 재배관리(펌)

예농 2006. 6. 2. 10:52
http://blog.naver.com/woovong/140022710086
출처 블로그 > 꿈꾸는 농부처럼....
원본 http://blog.naver.com/seoul213/140022323822
1. 씨앗 심기
  가. 심는 시기
  싹이 난 바로 뒤의 어린 옥수수는 생장점이 흙속에 있으며 늦서리의 피해를 받더라도 재생이 되어 생육에 별 영향이 없으므로 그 지역의 늦서리 내리는 시기를 계산하여 밭조건이 좋으면 되도록 일찍 심는 것이 좋다.
평야지에서는 4월 상순, 산간지(해발600m)에서는 5월 상순에 파종하는 것이 안전하고 수량성이 높으며 가능한한 이 시기에 파종을 시작하여 평야지에서는 4월 하순, 산간지에서는 5월 중순까지 파종을 마쳐야 한다.
   
  나. 심는 간격
  심는 본수는 이랑나비와 포기사이에 의해 결정되며 심는 간격은 종실만을 수확하는 곡실용 옥수수, 식물체 전체를 베어서 가축사료로 이용하는 사일리지용 옥수수, 풋옥수수로 수확하여 쪄서 먹는 식용 옥수수 등 옥수수의 종류와 이용 목적에 따라 다르다. 곡실용 옥수수의 경우 알곡수량은 10a당 5,500본(이랑나비 60㎝, 포기사이 30㎝)이 알맞으며 사일리지용 옥수수는 곡실용보다 20∼30% 더 많이 심지만 너무 배게 심으면 쓰러짐과 병해를 조장하므로 10a당 6,500∼7,000 개체가 되도록 한다.
옥수수의 식물체부위별(植物體部位別)로 보면 이삭 또는 알곡부분에 영양분이 많으므로 생체수량은 물론 건물수량이 비슷한 여건에서는 알곡비율이 높고, 소화율도 높은 쪽이 유리하다.
   
  표 1. 곡실용 옥수수의 심는 간격에 따른 수량 (작시 : 1979)
 
구 분
심는거리
(㎝)
포기당
이삭수
이삭당
알 수
100 알
무게(g)
알곡수량
(㎏/10a)
수량지수
심는본수
(본/10a)
4,000
5,500
6,700
8,300
10,000
60×42
60×30
60×25
60×20
60×17
0.93
0.88
0.85
0.83
0.79
655
489
410
347
308
31.1
30.7
30.1
29.2
29.2
746
739
719
625
616
101
100
97
85
83
   
  표 2.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심는 본수에 따른 수량과 사료가치 (작시 : 1979)
 
심는본수
(본/10a)
생체수량
(ton/10a)
건물률
(%)
건물수량
(ton/10a)
소화율
(%)
가소화양분총량
(ton/10a)
종실비율
(%)
4,000
5,000
6,700
8,300
10,000
4.67
5.16
5.68
5.82
5.70
30.2
30.0
29.7
28.8
29.9
1.41( 89)
1.57(100)
1.68(106)
1.67(106)
1.69(107)
67.3
64.5
63.0
62.0
61.3
9.43( 93)
10.19(100)
10.58(104)
10.42(102)
10.36(102)
43.0
38.8
39.3
34.6
30.0
  주) 공시품종 : 수원19호
   
  식용옥수수는 이랑나비 60㎝, 포기사이 25㎝인 6,600본/10a이 알맞다. 이보다 밀식하면 줄기가 약해져 도복이 우려되며 이삭길이가 작아져 상품화 비율이 떨어지고 결국은 이삭수량이 감소된다. 또한 이보다 소식하게 되면(60×35㎝) 이삭크기는 충실해지나 이삭수가 줄어들어 소득이 떨어진다. 따라서 도복과 이삭크기의 안정성을 고려해 볼 때 60×25㎝가 적당한 재식거리로 여겨진다.
그러나 기계화재배나 파종방법(휴립)에 따라 이랑나비를 70∼80㎝로 넓게 할 경우 포기사이를 다소 좁혀주어 심는 본수를 조절한다.
   
  표 3. 심는 거리에 따른 단옥수수의 생육과 수량 (경기농진 : 1984∼1985)
 
심는거리
(㎝)
심는본수
(본/10a)
줄기길이
(㎝)
쓰러짐
(1∼5)*
이삭길이
(㎝)
이삭당
무게(g)
10a당 이삭
수(개)
무게(㎏)
60×30
60×25
60×22
60×20
5,555
6,666
7,757
8,333
110
113
115
117
1.0
1.5
2.2
3.2
18.5
17.9
17.8
17.5
180
169
165
163
5,381
5,933
6,807
6,414
907
942
1,045
974
  주 : 1) 품종 : 하니반탐9, 파종일 : 4월 30일, 수염나올 때 : 6월 30일
    2) * 쓰러짐 : 1→강, 5→약
   
  2. 거름주기(施肥量)
  옥수수를 재배할 때 권장하는 10a당 표준시비량은 곡실용의 경우 질소 17.4㎏, 인산 3㎏, 칼리 6.9㎏이며, 사일리지용으로 재배할 때는 곡실용으로 재배할 때보다 동일 면적에 심어지는 개체수가 많기 때문에 시용량을 늘려 질소 20㎏, 인산과 칼리는 각각 15㎏씩 준다. 식용옥수수는 생육기간이 짧고 생육량도 적기 때문에 10a당 질소 14.5㎏, 인산 3㎏, 칼리 6㎏를 준다.
비료 중에서 인산, 칼리, 석회, 퇴비 등은 밑거름으로 주지만 질소는 모두 밑거름으로 주면 토양에서 유실되기 쉬우므로 밑거름과 웃거름으로 두 번에 나누어준다.
웃거름 주는 시기는 7∼8엽기로 옥수수가 무릎 정도 자랐을 때이다. 이 시기는 옥수수의 뿌리가 사방으로 뻗고 비료를 흡수하는 부위가 뿌리 끝부분에 있기 때문에 옥수수 포기 바로 밑에 주는 것보다 옥수수 포기와 포기 사이에 주는 것이 효과적이다.
   
  3. 솎기
  너무 베게 심었을 때는 알맞은 거리에 1개만 남겨놓고 솎아주어야 옥수수가 정상적으로 자랄 수 있다. 솎음작업은 빠를수록 좋지만 해충이나 새의 피해 등을 고려할 때 2∼3엽기가 적당하다.
   
  4. 김매기
  잡초의 발생에 따라 옥수수의 수량이 10∼40% 감소하므로 옥수수를 심은 다음 3일 이내에 제초제를 뿌려야 한다. 옥수수에 사용할 수 있는 제초제는 라쏘, 들손 등 여러 종류가 있다.
옥수수 재배농가에서는 한 종류의 제초제를 사용하기도 하지만 잎이 넓은 광엽 잡초에 효과가 크고 화본과 잡초에는 효과가 적은 씨마진(씨마네)과 화본과 잡초에 효과가 큰 알라(라쏘)와 섞어 쓰는 경우가 많다. 씨마진을 사용할 경우 옥수수에는 약해가 없으나 잔효기간이 길어 단옥수수를 수확한 후 배추나 무와 같은 가을 채소를 심을 때에는 사용해서는 안된다.
   
  5. 물대주기 및 물빼기
  옥수수는 생육기간 중 특히 개화기 전후 1개월간의 물 부족은 수량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개화기 무렵에 가뭄이 들 때에는 가능하면 물을 대주어야 한다.
또한 토양수분의 증발을 억제하기 위하여 퇴비, 짚, 풀, 비닐 등으로 토양 표면을 덮어준다. 토양이 과습상태로 계속되면 토양 내부의 산소부족으로 뿌리가 호흡장해를 받으며 활력이 감퇴되고 심하면 뿌리가 썩게 되므로 장마철에 습해를 받지 않도록 배수관리에 힘써야 한다.
   
  6. 곁가지 및 곁이삭 제거효과
  옥수수 곁가지와 곁이삭은 품종의 특성, 재배환경, 재배시기 및 재배년도에 따라 같은 품종, 같은 방법으로 재배하더라도 발생개수에 차이가 있다.
곁가지, 곁이삭 제거시 수량에 미치는 영향은 인위적으로 제거한 것과 제거하지 않은 것과의 차이는 거의 없다. 곁가지와 곁이삭을 늦게 제거하면 옥수수 식물체에 상처를 주어 오히려 수량이 감소된다. 따라서 곁가지와 곁이삭을 제거하기 위한 노력을 낭비할 필요가 없으며 만약 재배시 곁가지가 4∼5개 많이 발생할 경우 생육초기 1회에 걸쳐 최초에 나오는 것만 따주는 것이 식물체에 상처를 덜 주게되며 수량차이도 없어 유리하다.
   
  표 4. 곁가지와 곁이삭 제거시 수량차이 (작시 : 1988)
(단위 : ㎏/10a)
 
처 리
곁가지 (A)
곁이삭 (B)
A + B
제 거
무제거
787( 99)
796(100)
764( 96)
796(100)
740( 93)
796(100)
   
  표 5. 곁가지 제거시기의 영향
 
제거일
(월.일)
출사일수
(일)

(㎝)
착수고
(㎝)
분지수
(개)
10a당이삭무게
(㎏)
지수
(%)
6.31
7.10
7.20
7.30
8.10
무제거
89
89
89
89
89
89
172
173
173
173
176
176
61
59
61
63
63
62
2.0
1.2
0.3
0.0
0.0
2.7
1.080
1.020
1.000
1.060
1.020
1.150
94
89
87
92
89
100
  주) 품종 : GCB70
   
  7. 병충해 방제
  옥수수에 주로 발생하는 병해는 검은줄오갈병(흑조위축병), 깨씨무늬병(호마엽고병), 깜부기병(흑수병) 등이며 충해는 조명나방, 멸강충, 거세미 등이 있다.
   
  표 6. 옥수수 주요 병해충과 방제
 
구 분
피 해 증 상
발생지역
방제대책
검은줄오갈병
키가 작아지고 윗잎의
뒷면에 엽맥이 부풀어 줄이
나타남. 애멸구가 옮김
남부평야지
발병초기에
이병주 제거
깨씨무늬병
잎에 갈색의 작은 반점으로
시작하여 타원형으로 커짐
중부, 남부지역
고온다습조건
품종 선택
깜부기병
이병부위가 혹처럼 부풀어
오르며 흰색의 연한 막으로 싸임
전국
토양 및 종자전염
연작을 피하고
이병주 소각
살균제로 종자처리
조명나방
줄기 및 암이삭에 피해
전국
1화기(6월중순)
2화기(7월하순)
살충제
(카보입제 살포)
멸강충
집단발생
잎과 줄기에 피해
전국
5월상순∼8월상순
발생
살충제
(파프유제 살포)
거세미
생육초기 옥수수 줄기의
밑부분에 피해
전국
토양처리
(지오릭스 분제)
   
 

 
그림 1. 이병된 옥수수의 병징
   
  8. 수확시기
  옥수수 생육단계별 조사료 생산성을 보면 가소화양분수량은 황숙기까지 계속 증가하므로 사일리지용으로 이용시 옥수수의 수확적기는 건물수량이 높으면서 이삭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은 황숙기이다. 이 시기는 수염이 나오는 시기로부터 35∼42일 정도되는 때이며 옥수수 이삭껍질이 황색으로 변한 상태이다.
   
  표 7.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수확기별 수량 및 가소화양분총량 (축시 : 1979)
 
구 분
생초수량
(㎏/10a)
건물수량
(㎏/10a)
이삭비율
(%)
가소화양분수량
(㎏/10a)
유숙기
호숙기
황숙기
완숙기
8,319
8,332
7,686
5,875
1,534
1,875
2,137
2,020
20
38
40
49
1,019
1,156
1,383
1,152
   
  단옥수수와 초당옥수수는 수염이 나온후 20∼25일이면 이삭길이가 자라는 것이 완료되고 입중은 30일까지 증가된다. 총당함량은 수염이 나온후 15일경에 가장 높고, 단옥수수는 수염이 나온후 25일 이후에 급격히 낮아지며, 초당옥수수는 30일까지도 당함량이 단옥수수에 비하여 높이 유지된다. 따라서 당도와 맛, 이삭크기 등을 고려할 때 단옥수수는 수염이 나온후 20∼25일, 초당옥수수는 25일쯤에 수확하는 것이 좋다.
수확시기는 당도 감소를 적게하기 위하여 이삭 자체의 온도가 낮고 이슬이 마르지 않은 이른 아침에 수확하는 것이 좋으며, 수확된 이삭은 신속히 시장으로 출하하는 것이 좋다.

  표 8. 수확시기에 따른 단옥수수와 초당옥수수의 이삭특성과 당함량
 
구 분
품종명
이삭나온후
일수

(㎝)
이삭무게
(g)
이삭길이
(㎝)
100알무게
(g)
당함량
(%)
단옥수수
골든크로스
반탐70
15
20
25
30
119
120
126
129
96
136
175
225
13.7
16.9
17.2
17.2
4.73
11.28
12.80
14.72
17.0
11.2
8.9
3.1
초당옥수수
칵테일86
15
20
25
30
114
119
128
131
142
184
212
223
19.2
19.7
19.5
19.7
5.10
9.55
10.56
13.33
44.4
30.8
29.3
19.4
자료 : 작물시험장  종자 신청하실 분은아래 계좌로 입금 후 주소 휴대전화 꼬리글을 달아 주세요^^

 종자대금을 다음 계좌나 귀농사모로 연락하시면
         임급 확인후 택배로 보내 드립니다.


    - 계좌번호 : 농협 125-12-376728 (대표 최 봉호 박사)
   송금 후 이 원구박사님께 018-265-6680로 입금 전화요망.

    - 문 의 처  E-mail :
corn209@yahoo.co.kr
                 여주군농업기술센터 031-887-3723~4

                 이 원구박사  H.P 018-265-6680 


    - 종자가격 : 25,000원/1봉지/300평용
                 ( 4봉지 이상 구입시 택배비 무료 )

 

 [간단한 옥수수 재배법]

1. 기비량 및 추비시기 (300평 기준)
 가. 기  비
     유기물(퇴비, 두엄)사용 3.0 ~ 5.0톤/10a (토성에 따라 다소 차이)
     질소25 ~ 30kg, 복합비료(21-17-17) 2 ~ 4포
 나. 추  비
     질소의 30kg/10a과 가리20kg을 혼합하여 시용 또는 NK비료
     - 추비시기 : 잎이 7 ~ 8매시 (무릎높이 생장시) 
     - 모래땅에 재배시 2회 추비 (1차 6~7매(잎), 2차 9~10매시)
        
2. 파종(중부지방 기준)
가. 경  운
    ▷ 경운전 : 유기물 + 기비 + 코니도(살충제) + 카보입제(살충제) 살포 후
가. 파종시기 
     ▷ 노지재배 : 4월 중순경
     ▷ 멀칭재배 : 4월 초순
     ▷ 하우스재배 : 3월말 ~ 4월초
     ▷ 가을재배 : 6월 하순 ~ 7월 상순
     ▷ 냉해(상해) 및 동해의 피해가 우려되지 않는 한 가급적 일찍 파종하는 것이
        유리하나 너무 빠를 경우 기상 이변으로 동해의 우려가 염려됨
 나. 종자소독
     ▷ 연농1호(대학찰) 종자는 소독 하였습니다.
     ▷ 그러나 노지재배시 조류피해를 막기 위해서는 새총(기피제)을 묻혀서 파종   
        하면 더욱 효과적이다
 다. 파 종 량
     ▷ 정부 보급종 찰옥수수 : 2kg/300평기준/대립종
     ▷ 연농1호(대학찰) : 900그람/2005년 기준/5,000립 내외/300평/소립종
     ▷ 연농1호 발아율 97% 이상임
     ▷ 조류피해, 거세미 피해가 우려되는 곳에서는 같은날 프러판에 육묘후 이식
 라. 파종기계 
     ▷ 소규모 재배 → 수동식 파종기계 ( 콘자버:Corn Jabber)
                       (기술센터, 작목반, 개별 등 자체제작 가능)
     ▷ 대규모 재배 → 황금파종기 및 트랙터 부착용 진공압축식 파종
     ▷ 포트파종 : 조식(기)재배 및 2기작 재배시 프러그 육묘판 모를 길러 이식
        이때 모를 너무 키워(15cm 이상) 이식 하면 활착하는데 많은 시간 소요
        따라서 ① 조기재배시 2주(15일 이내)내    ② 2기작 재배시 1주내
                  본밭에 이식을 해야 함 (묘 크기 10cm 미만에 이식완료)
     ▷ 파종시기별 수확일수 (중부지방기준)
        3월 25일 파종(120수확),  4월 20일(90일 수확), 5월 10일(85일 수확)
        (파종이 빠를수록 수확일수가 길다 : 이유는 기상(적산온도) 때문)
3. 재식거리(심는거리)
   가. 재배방법 : 노지직파, 멀칭재배, 터널재배, 하우스재배
       비닐(멀칭용) 종류 :투명비닐 또는 배색비닐사용(검정비닐 사용금지)
   나. 재식거리(연농1호) : 80cm x 30cm  1립 파종 4,100주(립) 소요
                          100cm x 40cm  2립 파종 5,000주(립) 소요
4. 재배 및 관리요령
   가. 구멍 뚫기 작업(멀칭 재배시) : 발아 후 20일경 실시
   나. 북주기 작업 : 구멍 뚫기 작업과 동시 실시
   다. 가지제거 : 발아 후 20 ~ 30일경 1 ~ 2회 실시
   라. 관수작업 : 이랑관수, 스프링클러 이용 (토양습도 유지)
5. 곁가지 제거와 제거시기
   가. 곁가지는 생육초 1회 정도 제거하고 너무 늦게 곁가지를 제거하면 식물체에         상처(스트레스)를 주게 되어 대가 약하게 된다.
   나. 곁이삭 제거시기 : 무릎높이 이전에 가지제거 완료
  ☞ 이삭수나 이삭무게는 1차 곁가지를 제거하면 방치했을 때 보다 약간 높으나 2차 이상       제거 하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남 (제거해야 상품성 있는 것이 많다)

6. 병충해 방제
 가. 경운전(밭갈기 전) : 코니도와 카보입제 + 비료 살포 후 로타리 작업
 나. 키가 1m 정도 자랐을 경우 카보입제 등을 생장점 부위에 소량 투여 재배면적이       클 경우 비료살포기로 약제 살포 : 생력화 가능(노동력 절약)  
     ※ 다량 투여시 약해발생 우려 (불임우려)
7. 수확시기
 가. 수확시기는 기온이 높고 낮음에 따라 차이가 있는데 수염이 나온 후 28일에서       33일 전후가 수확 적기임.
    (옥수수 수염의 고사로 판단할 수 있으며, 수확이 빠르면 상품 가치가 떨어짐)
 나. 수확방법 :
     - 옥수수 수확은 아침일찍 해야 당도가 높고 싱싱한 하며, 작업장에서도 신속         하게 선별작업을 거쳐 그늘에 보관 및 판매장 운송이 빠르게 이루어                져야 고객에게 신선한 옥수수가 공급될 수 있다.
     - 또한 저장될 옥수수도 산지에서 냉동탑 차 혹은 그늘로 신속하게 옮겨              선별작업을 완료하여 냉동 및 저장을 해야 찰옥수수 제 맛을 낼 수 있다.
     - 신선한 옥수수는 잎이 녹색을 띠며, 옥수수껍질(포엽) 또한 신선하다
      (옥수수 껍질이 흰색으로 변했거나 신선치 못하면 맛이 변한 옥수수임)   
8. 보관요령
 가. 수확된 옥수수는 그늘에서 작업해 저온창고(3일이내 보관) 및 냉동고(장기간         보관시 비닐에 넣어)에 보관해야 장기간 보관이 가능함.
 나. 수확 직 후 출하 할 것도 그늘에서 작업을 해야 신선도가 유지되며, 냉동설치        가 되어있는 작목반은 껍질을 벗긴 후 비닐에 넣어 -40℃에서 예냉을 거쳐          -20℃에 보관하면 장기간 저장이 가능함 (장기간 보관시 : 비닐로 싸보 보관)
      (가정에서는 : 냉장고 냉동칸에 낟알을 따서 보관)
9. 기타
 가. 궁금한 점이 있으신 농민께서는 농촌진흥청, 각도기술원, 또한 가까운 농업기     술센터 밭작물 담당자들에게 문의하면 자세한 재배법을 알 수 있습니다.


 - 농촌진흥청 싸이드(
http://www.rda.go.kr)
   종자신청 방법 및 공급시기 
 - 개별신청 : 마을 단위로 작목반장을 통하여 신청,
 - 기술센터 : 전작(종자)담당가 취합 후 신청
 - 농    협 : 지도과를 통하여 일괄신청
 - 공급시기 : 2005. 3월 현재 공급중 
 - 신청자와 송금인이 동일인 이어야 합니다
 - 확인전화 및 방법 : 018-265-6680, 
corn209@yahoo.co.kr

 

***귀농본부 메일을 복사한 것임.***


 

 

*발아적온 : 32~34℃
*생육적온 : 25~30℃
*토양 : 부식이 많고 배수가 잘되는 토양이 적합하지만 산성에서도 강함
*토양산도 : 산도적응성이 높다(산도 5.5~8)

 

 *육묘를 하여 재배할 경우 3월 중순에 파종하고 5월중순에 정식하여 6월말부터 수확이 가능하며 직파할 경우에는 4월말에 파종하고 7월 하순부터 수확이 가능하다.

 

 *거름주는 총량 (g/3.3㎡)
 -요소 : 90~100
 -용과린 : 200~230
 -염화가리 : 70
 -퇴비 : 5,000
 -석회 : 800~850
-밑거름으로 복합비료를 주어도 상관없다.

*이랑사이를 60cm정도 되게하며 이랑을 점뿌림을 한다.
*옥수수 종자를 3~4일씩 30cm 간격으로 점뿌리를 한다음 4cm 정도 복토를 한다.

 

*수확까지 직파후 90일에서 110일 정도 걸린다.
*키가 15cm정도 자랐을 때 한 그루만 남기고 솎아낸다.
*키가 50cm 정도 자라면 곁눈이 생기는데 곁눈은 되도록 모두 제거하는 것이 좋다.
*70cm 정도 자랐을때 넘어지지 않도록 흙을 돋아주고 잡초도 제거하여 준다.

 

*자가수분이 되어 결실하게 되는데 단옥수수는 다른 포기의 꽃가루를 받는 것이 결실이 잘 된다.
두줄 정도 심으면 타가수분이 일어나 결실이 잘된다.
*몇 포기 심지 않았거나 장마철인 경우 인공수분을 시켜주는 것이 좋다.
*이후 줄기가 무성해지면 복잡한 줄기는 제거하고 줄기 아래에 붙은 오래된 잎은 따준다.

 

 *옥수수 알이 단단해지기 전에 수확한다.
*수염이 나오고 3주후에 수확한다. 이때는 수염이 마르고 나면 껍질을 까서 손톱으로 눌러 보았을 때 자국이 약간 생길때이다.
*수확 후 5시간 정도 후부터 당분이 감소하기 시작하여 24시간이 지나면 반으로 줄어들기 때문에 수확 후 바로 쪄 먹는 것이 맛이 좋다.
*수확후 저장할 때에는 비닐랩으로 옥수수를 잘 싸서 5℃에서 보관하면 다함량의 변화가 적어진다.

 

*옥수수 재배지에 주로 발생하는 병으로는 흑조위축병, 깜부기병, 그을음무늬병이 있고, 충해는 주로 멸강충과 조명나방의 피해가 나타남
*1차적 방제법은 적기에 파종하여 충실하게 키우고 연작을 피하며 내병성 품종을 선택한다. 2차적으로는 포장을 사전 관찰하고 병이나 충이 발생시 조기에 적정약제를 살포하여 더 이상 발병의 진전을 막아야 한다.

 

*거름주기 포인트
-질소를 300평당 15kg이상주면 바람에 쓰러지기 쉬워 수량이 감소하고 5kg정도로 줄이면 30%이상의 수량이 감소하고 품질도 떨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