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원생활/약,특용 작물
야콘재배(펌)
예농
2006. 5. 15. 18:06
1. 야콘 재배 | |
1번 주자 : kshkgs ( 2005-05-27 15:16:01 작성 ) | 신고하기 | 이의제기 |
평점 : +13 (19명 평가) 나도 평가하기 |
1.
야콘의 재배 상황 야콘의 재배는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것은 보통 고구마 재배의 방법과 비슷하다 재배 시기 역시 비슷하며 또한 생산량도 비슷하다..... 아울러 건강 식품으로 이제야 비로써 널리 알려지기 시작한 유기농산물이다 2. 재배 시기 5월 초에서 6월 초가 적기이며 4월 초에 온상에서 모를 키워서 밭에 이식을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3. 재배 방법 미리 퇴비를 살포하여 잘 섞어진 밭에 고구마 두둑 보다 다소 크게 높게 두둑을 만들고 30-40Cm 씩 간격으로 심으면 된다 수확시기는 서리가 내리면 고구마 처럼 생긴 구근을 수확하면 된다. 심은 뒤에 잡초를 한두번 제거해 주면 되며 그도 어려우면 고구마와 같이 멀칭을하여 심으면 된다. 일반적으로 병충해에 무척 강한 품종이라 농약 살포는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다만 빠른 시기에 수확을 하기 위하여 비닐 하우스에게 대규모로 재배를 할 경우에는 진딧물등 병충해 발생의 염려가 다소는 있다. 4. 섭취 방법 10-20일 이상 보관하여 섭취를 하여야 당부 함량이 높아 먹기가 좋으며 보관일이 길어질 수록 당분 농도가 많아져서 좋다 5. 판매 전망 앞으로 공해 오염이나 외국산 농산물의 대량 유입으로 인하여 그 생산 기반의 존립 자체가 어려운 농촌의 현실에서 대체 작물로 전망이 높다. 그 이유로는 우선 당분 함량이 높아서 어린이 간식용등으로 섭취가 용이하고 요즈음 어린이의 건강과 다이어트를 많이 생각하고 있으니 앞으로 계속 수요량은 늘것으로 판단된다. |
내용출처 : [직접 서술] 직접 서술 및 재배 경험 |
외국
자료중 야콘의 시비에 관한 연구에 의하면 10a(300평) 당 질소 5-10Kg, 인 20-30Kg, 칼륨20Kg가 표준량입니다. 이식한 야콘은
6월경까지는 천천히 자라지만 7월 전후부터는 왕성하게 뻗기 시작합니다. 8월말에서 9월초가 되면 성육상태를 보고 추가로 비료를 줍니다. 그러면
10월경까지 급속한 성육이 계속됩니다. 초장(草丈)은 재배조건과 기상조건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은 지상 1.5m전후 때로는 2m를 넘는 것이 있을
정도입니다. 지하부의 괴근은 9월부터 10월에 거쳐 비대해 집니다. 줄기의 기부(基部)에 붉은 기운을 띄고 작은 토란뿌리 같은 괴경을 맺는데 이것이 종자가 됩니다. 외관상으로는 고구마. 감자와 흡사한 야콘이지만 괴근에선 싹이 나지 않습니다. 가을이 되면 노란색의 작은 들국화 같은 꽃이 피는데 개화가 좀 늦으면 서리로 줄기가 말라 꽃을 볼 수 없을 때도 있습니다. 야콘은 벼와 같이 160일 정도는 노지에서 자라줘야 좋습니다. 토양에 오래 머물지 않는 비료보단 완숙된 퇴비를 권합니다. 반드시 가스가 없는 완전 발효된 퇴비가 좋습니다. 야콘도 연작 피해가 있으며 연작피해를 줄이 방법으로는 윤작이 제일 좋습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윤작을 하기 위한 여건이 좋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가능한한 야콘에서 괴근의 수확을 제외한 줄기 잎 잔뿌리등은 다시 밭으로 돌려 줘야 연작 피해를 줄일수 있습니다. 또한 겨울철에도 땅을 덮을 수 있는 호밀과 같은 작물을 심어 토양속의 양분을 겉으로 끌어올려 사용하면 좋습니다. |
내용출처 : [기타] 일본 야콘책자 번역 + 본인 재배 경험 및 지식 |
3. 야콘이 완전 무농약으로 재배가 가능한 이유 | |
3번 주자 : pappapi ( 2005-08-23 16:37:15 작성, 2005-08-23 16:53:03 수정 ) | 신고하기 | 이의제기 |
평점 : +2 (2명 평가) 나도 평가하기 |
완전
무 농약재배가 가능한 이유 야콘은 생명력이 왕성해 완전 무 농약재배가 가능한 불가사의한 야채입니다. 이러한 작물은 아주 드물며 이런 점에 있어서 야콘 재배자에게 매력이 있습니다. 왜 무농약으로 재배할 수 있는 것일까요? 예를 들어 마늘은 아무리 코에 가까이 가져가도 마늘 자체의 냄새를 발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칼로 상처를 내거나 동물과 곤충이 씹거나 하면 유황을 함유한 화합물이 갑자기 강렬하게 냄새만들어 외부의 적으로부터 몸을 지킵니다. 그런데 야콘에는 이 것보다 더욱 훌륭한 성분이 있는 것을 알았습니다. 야콘이 독특한 성분을 분비해서 병원균과 곤충 등으로부터 몸을 보호하는 구조를 일본에서 세 곳의 연구가 설명하고 있습니다. 첫번째 연구는 사단법인 식물정보물질연구센터(홋카이도 에니와시) 츠노다 전무이사의 그룹입니다. 연구결과 야콘잎은 곤충 등에게 갉아 먹히면 하이드록시신나믹산(hydroxycinnamicacid)이라고 하는 물질을 분비합니다. 잎에 살고 있는 미생물이 이 물질을 먹고 분비물을 내면 그 분비물이 곰팡이 등 병원균의 발생을 억제합니다. 곧 야콘은 먹이를 대량으로 내어 이것으로 미생물을 길러서 자기 몸을 곤충으로부터 지키는 겁니다. 두번째 연구는 홋카이도대학 농학부 하시유카교수의 그룹으로 일본경제신문(1997,11,10)에 연구결과가 소개되었습니다. 이 그룹은 야콘잎이 곤충 등에게 상처를 입어 분비하는 물질 \'카페산(caffeic acid)\'을 확인했습니다. 이것을 원료로 해서 미생물이 새로운 항균물질을 만들어 낸다고 합니다. 미생물에 의해 합성된 항균물질 덕분에 식물도 미생물도 함께 곰팡이와 병원균의 침입을 막을 수 있는 것입니다. 세번째 연구는 이바라키대학 농학부 코타마교수의 그룹입니다. 이 그룹은 원래 야콘잎에 존재하고 있는 3종류의 항균물질을 밝히고 게다가 이들 물질이 잡초의 성장도 억제하는 것을 밝혀내 앞으로 야콘잎을 이용한 환경에 친숙한 잡초 방제법의 개발이 기대됩니다. 야콘외에는 해당화 잎에도 같은 현상이 있으며 잎의 표면에 사는 특정의 세균이 있어 카페산과 다른 물질을 분비하여 항균물질을 만들게 합니다. 야콘이 미생물에게 생활환경을 제공하는 한편, 미생물도 야콘을 지키고 있다고 하는 공생관계가 성립됩니다. |
내용출처 : [기타] 일본 책자(기적의 건강 야채 야콘)번역 |
1. | 제 초 | |||
제초제 대신에 볏집을 골고루 덮어준다. 그후 사람이 직접 3~4회 잡포를 뽑는다. | ||||
2. | 해충제거 | |||
야콘 효소를 통한 유비 흡착식 해충제거 | ||||
3. | 퇴 비 | |||
식물성 퇴비인 볏짚, 콩깍지, 깻묵 등을 발효시켜 이른봄 야콘 밭에 골고루 뿌려준다. | ||||
4. | 야콘재배 노하우 | |||
참숯 목초액과 야콘 효소를 200~300배액으로 3회 이상 엽면 살포해준다. | ||||
5. | 수 확 | |||
친환경 농법으로 재배한 무농약 야콘을 농부의 정성으로 수확한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