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원생활/약,특용 작물

야콘에 대하여(펌)

예농 2006. 5. 15. 18:01


야콘은 중남미 안데스의 고지(해발 900~3,300m)가 원산인 국화과 다년초로서 학명은 Samallanthus sonchifolius입니다.
세계적으로도 여러 장수촌이 있는 안데스 지방에서, 그 옛날 잉카제국시대부터 과일과 같은 야채로서 애용되었다고 합니다.

우리나라에는 농촌진흥청에서 일본으로부터 들여와 1986년부터 2년간 시험재배를 한 적이 있습니다.
그 후 몇몇 농가에서 재배하여 왔고 그 영양성분과 식용법도 알려지지 않아 부진했으나, 최근 일본 등 해외에서 효능.효과 및 조리법, 가공식품 등이 다양하게 개발되어 웰빙시대의 건강야채로서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야콘은 Aricoma, aricuma(볼리비아,페루) Laqon,Llacum,yacon(페루,볼리비아,아르헨티나) Jicama,Jiquima,Jiquimilla(에콰도르) Arboloco(콜롬비아) Poire de terre(프랑스) Yacon straberry(영국) Yacon(일본,한국,페루 등) 등과같이 다양한 이름이 있습니다만 현재는 Yacon으로 불리는 것이 대부분입니다.



야콘의 잎과 줄기
야콘의 잎은 화살촉 모양으로 해바라기 잎과 비슷하게 크게 자라며 줄기는 국화과라고 하더라도 성장하면 초장(草丈)이 1.5-2m에 달합니다.
원산지에서는 고대잉카(일설에는 그 이전이라고도 함)제국시대부터 민간요법적으로 차로써 음용되었다고 합니다.

야콘의 잎과 줄기는 아주 써서 요리나 가공식품으로 사용하기가 어려웠는데 일본의 한 제약회사가 원산지로부터 수입한 허브티의 강한 활성원인이 야콘잎에 함유되어 있는 점에 착안해 본격적인 연구가 시작되었고 여러 대학과 연구기관 등에서 야콘잎의 우수한 효능,효과를 증명해 주목을 끌게 되었습니다.
*야콘잎에는 카테킨, 배당체(후라보노이드, 다당류), 테르펜류, 미네랄류(칼륨,칼슘,마그네슘,아연,철 등)가 많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야콘괴근 (뿌리)
야콘의 괴근은 성장하면서 고구마와 흡사한 괴근을 한 주당 1-6kg정도 형성합니다. 고구마와 흡사하지만 배처럼 아삭아삭하며 단맛이 있어 과일과 같습니다. 전분을 거의 함유하고 있지 않으며 수분을 제외한 나머지 성분은 대부분 당질입니다. 특히 수확직후의 야콘괴근은 단맛이 거의 없으며 이때 당질의 대부분이 프락토올리고당입니다. 수확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 프럭트올리고당은 자당 및 과당, 포도당으로 가수분해되면서 더욱 단맛이 생겨나게 됩니다.

야콘괴근은 주로 생식을 하지만 과일과 같이 주스나 샐러드를 만들어도 좋으며 볶거나 데쳐도 아삭아삭한 맛이 살아 있어 볶음요리에도 제격입니다.
현재 조사된 야채 중, 가장 많은 올리고당을 함유한 야채이며 식물섬유도 풍부해 현대의 식생활에 꼭 필요한 건강야채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야콘의성분

성분
야콘괴근
야콘잎
일본 식품
분석센터 조사
에히메현
공업기술센터 조사 
일본 식품
분석센터 조사
수분
86.4g   
83.1g
 
단백질
0.8g
1.0g
12.8g
지방질
0.6g
0.1g
2.9g
섬유
0.5g
0.9g
18.3g
회분
0.6g
1.1g
 
당질
11.1g
 
13.8g
 
36.8g
(주요한 성분이
프럭트 올리고당)
(주요한 성분이
프럭트 올리고당)
(주요한 성분이
프럭트 올리고당)
에너지
54kcal
   
22.2mg
34mg
416mg
0.26mg
0.2mg
24.5mg
아연
   
30.7ppm
망간
   
66.3ppm
마그네슘
   
551mg
칼슘
14.1mg
12mg
905mg
나트륨
0.36mg
0.4mg
10.7mg
칼륨
271mg
344mg
4970mg
카로틴
0.04mg
130ug
 
비타민 A
20TU
   
비타민 B1
0.06mg
0.07mg
 
비타민 B2
0.01mg
0.31mg
 
비타민 C
 
5mg
 
식물 섬유
 
2.6g
 
아스코르빈산
7mg
   
폴리페놀
 
203mg
 
타닌
   
2.99g


쾌적한 장의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하루 5~10g의 올리고당을 섭취해야 한다고 합니다. 예를 들어 올리고당이 많이 함유된 것으로 알려진 우엉이라면 280g(약2개)을 섭취해야 하지만 야콘은 100g이면 충분합니다. 일상 식생활에서 효율적으로 올리고당을 섭취하여 편안한 장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1. 야콘의 용도
  야콘은 국화과에 속하는 쌍자엽 다년생 괴근식물로 남미 안데스지역인 볼리비아와 페루가 원산지이고 약 20여종이 열대성 기후인 남아메리카 지역를 중심으로 분포하며 현지에서는 '땅속의 배'라고 부른다. 덩이뿌리의 형태는 다알리아나 고구마와 비슷하고 지상부는 돼지감자와 흡사하며, 키는 1.5~3m 정도이다. 줄기는 녹색~자색을 띄며 털이 많고, 원통이거나 다소 각이 지고 성숙기에는 속이 빈다. 마디는 15~20개이고 원줄기에서 가지가 발생하며 지표면의 뿌리줄기의 눈에서 많은 부정근이 생긴다.
  우리나라에 1985년 도입되어 괴산, 상주, 강화 등 일부지역에서 연간 1,000톤 정도 생산되며 70%가 일본으로 수출된다. 식용부위는 주로 덩이뿌리로 괴근의 맛은 고구마처럼 단맛이 있고 수분이 많으며 배 맛처럼 시원함을 느낀다. 따라서 생식이 가능하고 디저트용, 착즙용으로 이용되며 야콘냉면, 야콘국수, 야콘호떡 등은 독특한 맛이 있다. 어린 식물체는 나물용으로도 가능하며 상품성이 떨어지는 작은 덩이뿌리와 잎은 가축사료로 이용할 수 있다. 덩이뿌리에는 포도당, 과당과 같은 단당류, 설탕과 같은 2당류 그리고 3~10탄당의 올리고당 등 몇 가지 형태의 탄수화물을 저장하며 약간의 전분과 이눌린을 함유한다. 그리고 감미성분은 프락토올리고당이 주성분이다.
           
  2. 영양성분
  덩이뿌리의 가식부 100g당 열량 51Kcal, 수분 86%, 단백질 0.4%, 지질 0.5%, 섬유소 0.5%, 당질 11.3%, 회분 0.8%, 칼슘 13㎎, 인 15㎎, 비타민 A 84IU, 비타민 B1 0.05㎎, 비타민 B2 0.01㎎, 나이아신 0.1㎎, 비타민 C 5㎎이 함유되어 있다.
           
 
표 1. 야콘의 주요 성분함량
(100g당)
 
에너지
(Kcal)
단백질
(g)
지방
(g)
당질
(g
섬유소
(g)
Ca
(㎎)
P
(㎎)
Fe
(㎎)
V.A
(IU)
V.B1
(㎎)
V.B2
(㎎)
나이아신
(㎎)
V.C
(㎎)
51
0.4
0.5
11.3
0.5
13
15
0.2
84
0.05
0.01
0.1
5
  주) 아프리카 가나에서 도입
           
  3. 재배기술
  야콘은 토양이 비옥하고 토심이 깊으며 물리성과 배수가 양호한 사질양토 또는 사질토에서 잘 자라지만 중점토에서는 불량하다. 우리나라 어디에서나 재배가 가능하고 서리에 약한 관계로 고냉지에서는 수확량이 떨어진다. 충분한 수분을 필요로 하므로 건조기에는 관수가 필수적이다. 그러나 과다하면 뿌리에 금이 생겨 외관품질과 상품성에 영향을 주며 저장기간 동안 뿌리썩음병을 유발시킨다. 토양수분이 충분하여도 햇볕이 강한 여름날에는 일시적인 시들음 현상이 오지만 반그늘에 잘 적응하므로 장점으로 이용될 수 있으며 오랜 가뭄에 견디는 힘이 강하다. 아열대로부터 온대지방에서 분화된 야콘은 광범위한 고도에서 생장하고 덩이뿌리를 생산할 수 있는 광지역 적응성 식물이다.
           
    가. 번식
  번식은 주로 덩이뿌리와 줄기 연결 부위에 있는 관아를 이용한다. 관아채취는 야콘 수확시기인 10월 이후 고구마처럼 생긴 덩이뿌리를 수확한 후 덩이뿌리 정단에 형성된 관아를 따로 떼어낸 후 보관한다. 떼어낸 관아는 보온 월동시킨다. 관아를 이용한 번식방법은 육묘 이식법과 직파재배법이 있다. 육묘이식은 평야지에서 3월 하순경 육묘상에 파종하여 4월 하순경 본포에 이식하며 직파는 4월 중순경에 파종한다. 관아에서 나온 어린줄기를 이용한 삽목법도 있다. 싹이 트는 온도는 25~30℃가 적당하며 25~30일정도가 되면 90% 이상 싹이 올라온다. 야콘은 곁눈에서 뿌리와 뿌리줄기가 발생하며 일부 뿌리는 양분 저장기관인 덩이뿌리로 분화한다. 뿌리줄기는 붉은 빛이며 길이 8~12㎝, 직경 1~2㎝, 무게 10~15g 정도이고, 여러 개로 쉽게 나누어지며, 새로운 싹과 뿌리가 나오므로 영양번식 기관으로 이용할 수 있다.
           
 

그림 1. 야콘의 식용부위

그림 2. 야콘의 관아
           
    나. 본포 준비
  4월 상순에 포장을 경운하고 시비량은 300평당 성분량으로 질소, 인산, 칼리를 각각 6㎏, 6㎏, 12㎏을 전량 기비로 하고 퇴비는 3,000㎏을 시용한다. 과도한 질소 시비는 괴근의 부패와 도복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재식거리는 70 ×50㎝로 하고 휴립재배하지만 휴립 비닐피복재배도 가능하다.
           
    다. 본포 생육 및 수확
  이식후 줄기 기부와 지하부 덩이뿌리 사이의 정부로부터 맹아가 발생하면서 유근과 유아가 출현하게 되는데 지하부가 형성되기 시작하면 분지생성이 많아진다. 이식후 30일까지는 신장이 늦어 초장이 16㎝ 정도로 자라며, 45일 이후에 급속히 신장하여 105일 경에는 140㎝가 되어 거의 최대 초장에 달하며, 30~105일의 75일 동안 전체의 85%가 신장한다. 야콘의 줄기와 덩이뿌리 형성은 중일 또는 단일반응을 보이며 생육 최적온도는 18℃~25℃이다. 이식후 활착이 이루어지면 어린뿌리가 발달하여 60일후에는 뿌리줄기가 형성되고, 약 90일후에 덩이뿌리가 비대하며 120~150일까지 비대가 왕성해진다.
           
    표 2. 지역별 이식기에 따른 생육 및 지하부수량
   
지역
이식기
(월일)
초장
(cm)
분지수
(개/주)
엽 수
(개/주)
엽 장 (cm)
엽 폭
(cm)
지하부 덩이뿌리

(개/주)
평균무게
(g/개)
수량
(kg/10a)
수원
4.20
4.30
5.10
174
174
178

  8.4
  7.6
  8.1

77
70
70
16.8
18.4
17.6
21.0
22.6
20.8
18.1
20.6
19.5
  66.9
  73.7
  78.7
3,458
4,335
4,384
평창*
4.30
5.10
5.20
노지
(5.20)
282
261
231
76
11.2
  9.4
  8.9
  3.2
131
127
119
39
43.2
43.1
46.4
32.5
30.0
34.5
33.5
21.3
21.2
18.5
19.3
15.7
126.1
  98.7
  76.5
  70.8
5,423
3,659
2,889
2,243
    주) * 늦서리에 대비하기 위하여 비닐하우스 비가림 재배
           
      너무 일찍 이식하면 생장점의 발육정지 현상으로 생육이 부진할 우려가 있으며 괴근 부패가 늘어난다. 지상부 생육이 평야지보다 고랭지에서 월등하고 수량이 증가한 것은 늦서리 피해를 피하기 위하여 비닐하우스 비가림재배로 조기에 생육 확보 및 생육 기간이 연장되었기 때문이다.
  본포 생육초기에는 진딧물, 응애 방제에 유의하여야 하고, 9월 하순경이 되면 노란 꽃이 피는데 지하부 덩이뿌리는 이때부터 급격히 비대하기 시작한다.
           
 

그림 3. 초기생육상태

그림 4. 개화모습
           
      야콘은 꽃은 피지만 결실이 극히 빈약하다. 원줄기의 기부에는 마디가 촘촘히 나며 생육중기에 4~8개의 마디에서 분지가 발생하여 수확시기에는 원줄기와 가지가 구분이 되지 않을 정도로 왕성하게 신장을 하게 된다. 덩이뿌리는 뿌리줄기의 눈으로부터 나온 세근이 비대하여 형성되는데 도관부의 유조직에서 기원한다.
  수확은 서리가 내리기 전에 한다. 땅속의 괴근은 연하고 포기당 20개 내외가 들므로 조심스럽게 수확한다. 상품성이 없는 50g 이하의 괴근과 잎, 줄기 등은 젖소의 사료로 이용이 가능하다고 한다. 겨울철 저장은 12~15℃를 유지하여 움저장 또는 통기가 가능한 박스에 넣어 저장하는 것이 좋다. 수확 직후 식용하면 단맛이 적으나 저장기간이 경과할수록 당도가 높아진다. 수확일수에 따른 괴근 내부의 당도 변화는 수확직후에는 8%이던 것이 30일후에는 11.5%, 60일후에는 14.9%로 높아져 간식용으로도 알맞다.
           
 

참 고 문 헌

김재철 외. 1995. 지역에 따른 재배시기 이동이 야콘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지.
농촌진흥청. 1991. 식품성분표.
박철호. 1993. 야콘의 재배기술. 농경과 원예.


야콘 요리

 

      어린잎: 쌈, 샐러드로.. 수확기잎:  말려서 茶로 달여 마신다.

 

    야콘을 그냥 생식으로 과일처럼 깍아서 드시면 제일 좋다.

            후     식: 식사를 하고 난 뒤 야콘을 깎아서 50g 정도 먹으면 입안이 개운하다

            술 안주 : 술상에 안주로 올리면 간단하면서도 효과적인 술안주가 된다.

                         야콘색이 변하지 않게 하려면 냉수나 설탕물에 담갔다가 바로 꺼내면 된다.

 

    각종찌개: 각종 생선 찌개에 무, 연근, 감자, 당근 대신 넣어서 조리하면 비린내가 없어지고 개운한 맛을 내며 오랜 시간               이 지나도 야콘 형태와 향을 그대로 지닌다.

    물김치 : 깍두기, 채나물, 김치 속 등에 무와 같은 방법으로 만들면 더욱 감칠맛을 낸다.

    부침개 : 야콘을 잘 씻은 다음 믹서기나 강판에 갈아서 밀가루나 녹두가루에 물 대신 야콘 간 것을  넣고 갖은 양념을 한

                     다음 부침개를 만든다.

     샐러드 : 야콘을 물에 씻어 껍질을 깍은 후 모양 있게 썰어 즉시 소금물에 담갔다가  바로 꺼내어  마요내즈에 버무려 사라               다를 만든다.

    국   수 : 야콘을 물에 씻어 믹서기로 간 다음 밀가루를 야콘즙으로 반죽해서 국수를 만들면 생밀가루가 없어지고 맛이 더             욱 쫄깃해진다.

    수제비 : 야콘을 믹서기로 갈아서 미가루 반죽을 묽게 하여 수제비국을 만들면 쫄깃하고 달아  색다른 맛을 낸다.

    튀   김 : 야콘을 모양있게 썰은 다음 계란, 밀가루, 빵가루 등을 입힌 후 식용유 (200℃)에 튀긴다.

    야콘술 : 야콘을 깨끗이 씻은 다음, 물기를 없애고 유리 항아리에 넣고 소주를 채워부은 다음 5일 후면 색깔과 향기가

                    좋으며 알콜 농도가 낮아진다.

    돼지고기 볶음 : 돼지 고기(삼겹살 )를 볶을 때 불판위에 얇게 썬 야콘을 놓은 다음, 가열시킨 후 고기를 넣고 뒤집어 주면             서 구우면 기름이 흡수되면서 고기가 고들고들해지며 비린내가  없어져 진미를 느낄 수 있다. 또한 육류를 사용하              는 각종 찌개에 야콘을 넣으면 기름기가  적어진다.(삶거나 구어먹는다)

    야콘즙을 요쿠르트 또는 우유와 섞어 먹는다(1:1).

야콘의 전망

야콘이 국내에 도입된 것이 1986년이며 강화, 괴산, 영주, 경주, 홍천, 당진, 옥천, 금산, 순천, 제주, 상주등 전국적으로 재배 되고 있다. 재배 농가의 가장 큰 애로사항은 홍보문제와 판로문제가 가장 크다.

야콘은 기능성면에서 현대 생활습관병에 좋은 기능을 가지고 있어 홍보가 제대로 되면 전망은 밝다고 본다. 야콘이 널리 재배되고 판매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선행되어야 한다.

첫째 : 재배 기술의 보급이다.
각 농가마다 자신의 노하우를 공개하기를 꺼려하는 것이 현실이다. 정부기관에서 재배에 관련된 자료를 올려놓기는 하나 깊이있게 다룬것이 드물고 1,2년 실험 재배한것과 외국자료를 일부분 번역해놓은 것이 전부다. 재배관련 지침서나 책자가 전무한 실정이다.

둘째 : 야콘의 홍보
야콘이 영양학적으로는 별로 가치가 없으나 기능적인 면에 있어서 당뇨나 다이어트 변비등에 좋다고 알려져 있다. 이런 것들이 일반인들에게 홍보가 선행되어야 한다

셋째 : 야콘의 연구
국내 야콘은 재래종 한종류만 재배되고 있는 실정으로 품종의 개량이나 최적 시비 효능의 실험이나 성분 분석등의 데이터가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체계적이고 학문적인 연구가 태동되어야한다.

넷째 : 가공품 개발
현재 국내에서 야콘관련 가공되는 식품의 가지수나 수량은 많지 않다. 야콘효소, 야콘냉면 야콘잎차등이 대표적인 가공품인 실정이다. 더 많은 다양한 가공품 개발이 진행되어야 된다고 본다.

이상의 4가지 선행조건이 해결되어야 야콘의 전망이 밝다고 본다. 개인적으로 야콘의 전망은 밝게 보고있지만 시기는 선행조건의 해결여부에 따라 차이가 날수가 있다고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