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원생활/농사정보

[스크랩] 지력의 조성과 무농약 재배법

예농 2009. 8. 9. 23:02

http://organic.niast.go.kr/organic_info/organic_farm_01_view.asp?NU_BBSNUM=69&INFODAECD=BB&INFOJUNGCD=BB&INFOSOCD=05&CH_HEADLINECD=BB&intPageSize=10&Sort1=

지력의 조성과 무농약 재배법 2006-11-10 오후 1:26:
분류형태 : 참고자료(교육자료)
자료출처 : 한국농림수산정보센터
발행년도 : 2002
저자 : 김운여
키워드 : 지력, 무농약
관련카테고리 :  작목별기술>과채류
:  작목별기술>과수
:  생산경영기술>토양
:  생산경영기술>유기비료
:  생산경영기술>병해충

[아피스지식농업 친환경농업반 교재]

1. 자정능력의 토양 조성을 위한
       종합기능의 생리활성 밑거름편


가.  자정능력의 토양을 조성하는 기본과 원칙
 (1) 자정능력 토양의 기능과 작용
      영양의 순환작용 - 뿌리의 발달촉진, 생장촉진 - 고품질재배
      토양병균의 억제작용 - 호기성토양조성, 발병억제 - 무농약재배

<이후계속>   

첨부파일1 :   지력의 조성과 무농약재배법.hwp   download(660)

 


지력의 조성과 무농약재배법

유기농업의 기본과 원칙



환경농업인  김운여


1. 자정능력의 토양 조성을 위한

       종합기능의 생리활성 밑거름편



가.  자정능력의 토양을 조성하는 기본과 원칙

(1) 자정능력 토양의 기능과 작용

      영양의 순환작용 - 뿌리의 발달촉진, 생장촉진 - 고품질재배

      토양병균의 억제작용 - 호기성토양조성, 발병억제 - 무농약재배   


(2) 자정능력 토양을 조성하는 핵심물질

식물의 영양보전 - 기본영양 - 질소, 인산, 칼리

 

균형의 토양

 

토양의 지력보전 - 생장력 - 생리활성물질

 

 


(3) 자정능력 토양을 조성하는 생리활성물질의 구성 성분

◦ 식물홀몬 오옥신 - 생장과 발육의 기본인 세포분열을 촉진

                     뿌리가 실하고 곁뿌리의 발생을 촉진

 비 타 민 - 뿌리의 발달을 촉진, 근권미생물의 먹이 길항균의 먹이가 되어 토양병 방제 강화

 부 식 산 - 생장점의 분화촉진, 당류의 축적촉진, 영양흡수 촉진

◦ 항생물진 - 미생물의 분비물 길항작용, 토양병방제


나.  종합기능의 밑거름 생리활성비료 만들기

(1) 생리활성 밑거름의 특징

      뿌리의 발달을 촉진하는 식물홀몬의 강화

      토양병해를 막는 길항균의 증대를 위한 비타민의 강화


(2) 생리활성 밑거름을 만드는 유기물의 종류

  (가) 생 볏 짚

     생볏짚은 토양 유용미생물이 가장 선호하는 유기물이다.

   특히 생리활성 물질을 조성하는 발효합성균도 선호하므로 생리활성 밑거름을 만들때에는 반드시 사용할 기본 재료이다.  뿐만아니라 생볏짚은 토양병방제 기능이 높고 밑거름으로 이용되는 유기물중 칼리성분이 가장높다.


  (나) 발효첨가제 발효합성균

       발 효 균 - 젖산균, 효모

       합 성 균 - 광합성세균, 조균, 질소고정균, 방선균

       대체미생물제 - 한국유기농업협회 개발 콘포스트와 찌모겐


  (다) 식물홀몬의 씨눈과 비타민의 쌀겨

     식물홀몬과 비타민은 퇴비의 부식산과 더불어 생리활성 퇴비를 구성하는 핵심 성분이며, 식물홀몬은 뿌리의 발달을 촉진시켜 양분의 흡수량을 높혀주므로 작물의 생장이 보다 촉진된다.  식물홀몬이 함유된 유기물은 옥수수씨눈과 보리 씨눈이며 옥수수기름 공장에서 나오는 배아박과 맥주공장에서 나오는 맥아박이다.

     비타민도 아미노산, 당분과 더불어 작용할땐 뿌리의 발달을 촉진시켜 양분의 흡수량을 높여주고 또한 토양 근권미생물이 흡수할 땐 그중 길항균이 강화되어 항생물질의 분비량이 높아 토양병 방제에 크게 기여한다.

   비타민이 함유된 유기물은 식물홀몬이 함유된 씨눈에 있으나 이 유기물 구입이 어려울 때는 쌀겨를 대신한다.

   ◦ 씨눈 및 쌀겨의 비료화 작업

       본 유기물 배합에 있어 옥수수 씨눈의 배악박과 보리씨눈의 맥아박을 구입할 수 있는 경우에는 다음의 제1안으로 배합하고 그 구입이 여의치 안을때는 제2안으로 한다.

제1안 : 옥수수씨눈, 보리씨눈, 137Kg, 쌀겨 48Kg 300평당 185Kg

◦ 제2안 : 쌀겨 137Kg, 유박 24Kg, 어박 24Kg 300평당 185Kg


발 효 재 료

발         효         방         법

첨가미생물

발효합성균 미생물 또는 한국유기농자재센타에서 개발한 미생물제제

발 효 방 법

재료들을 고르게 혼합하여 퇴적한 후 24시간이 되면 첫 뒤집기를 하고 이후 40~45도 넘지 않도록 하루 5~6회 반복하여 3~4일로 끝낸다.

발효중 악취의 발생때

발효중 악취가 발생하면 수분과다로 부패하는 증거이다.

이 경우 미생물을 다시 첨가하고 2시간마다 뒤집기를 반복하여 약간 건조시킨다.

발효후 처리

발효유기물이 부식할 정도로 1~2일 건조시킨 후 푸대에 넣어 보관한다.


  (라) 종래의 축산 자급퇴비

     현재 사용하고 있는 자급퇴비 또는 판매퇴비 그대로 이용한다.   

   발효퇴비는 생리활성물질의 부식산을 얻기 위해서 이용하며 자가 생산의 경우 다음의 기본대로 발효시킨다.


   ◦ 탄 진 율 - 퇴비조성의 기본

                최적탄진율 ; 20~40, 40이 최적 60일 넘지 않을 것

   ◦ 발효방법 - ① 속성발효 퇴적후 6일 정도 첫 뒤집기

                   60도를 넘지 않도록, 5회 정도 환적

                ② 인력문제로 환적이 어려울 때

                   퇴적 6일째 첫 환적, 12일째에 길이 2m, 직경 10Cm

                   말뚝으로 구멍을 뚫는다.

다.  생리활성비료에서 얻을 수 있는 총효과

(1) 화학비료의 대체효과

  (가) 일반퇴비의 성분량 - 질소 1.58%, 인산 2.64%, 칼리 1.07%

  (나) 생리활성 퇴비의 총 성분량

     ◦ 볏짚, 씨눈 퇴비 - 질소 3.86%, 인산 4.16%, 칼리 3.11%

     ◦ 볏짚, 쌀겨 퇴비 - 질소 4.43%, 인산 4.83%, 칼리 3.58%


(2) 병해방제효과

재 료 명

방    제    되    는    병    해

볏    짚

배추의 무사마귀병, 가지의 시들음병, 썩음병, 담배의 흰비단병, 감자의 잘록병, 수박의 덩굴쪼김병, 탄저병, 참외의 잘록병, 시금치의 탄저병, 잘록병

톱    밥

감자의 더뎅이병

계    분

배추의 무사마귀병, 양배추의 균핵병, 오이의 덩굴쪼임병

돈    분

오이의 덩굴쪼김병, 잘록병, 순무우의 무사마귀병

쌀    겨

모잘록병, 잘록병, 무름병, 뿌리썩음병, 도열병, 깨씨무늬 마름병, 잎집무늬병, 녹병, 좀균핵병



라. 밑거름 생리활성 비료의 시비방법

(1) 유기물을 넣는 순서  

  (가) 생볏짚 썰어넣기

     생볏짚은 토양발효합성균 미생물들이 가장 좋아하는 유기물이며, 이에서 서식과 증식이 크게 증대되는 가장 좋은 배지가 된다.   생볏짚은 길이 12Cm정도 절단하여 300평당 375Kg 사용하되 정식 2개월전에 넣는다.


  (나) 계분 또는 가축분 깔기

    생볏짚을 밑거름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이에 추가하는 축산퇴비의 톱밥은 필요없다.  볏짚이나 톱밥은 같은 탄소질 소재가 되어 이것이 중북되면 유기물 과잉현상이 나타나고 또한 탄질율도 높아 생장이 도리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톱밥퇴비의 경우 개간지 등 점질이 높은 토양에 있어선 볏짚과 함께 사용해도 무방하나 서질양토 충적토 등에선 톱밥의 이용은 삼가야 한다.


  (다) 씨눈, 쌀겨비료 넣기

    1평당 시비량대로 계분이나 가축분을 깔아놓은 그 위에다 펴놓고 섞는다


  (2) 재료별 총 사용량

재 료 명

재료의 기능

사용면적

사 용 량

1 평 당

생 볏 짚

토양병 방제 칼리성분

300평

375Kg

1.25Kg

속성화볏짚

"

"

375Kg

1.25Kg

퇴 구 비

부식산, 생리촉진

"

2,000Kg

6.7Kg

씨눈비료

세포분열촉진

"

185Kg

617g

쌀겨비료

길항균증식

"

185Kg

617g

평균시비량 반당 2,560Kg, 부식산 420g



마. 무농약 고품질 생산을 정착시키는 자정능력 토양의 조성

  생리활성 퇴비의 사용목적은 무농약 고품질 생산을 정착시키는 자정능력 토양조성에 있으며 이것은 연속시비 4년에 의해서 가능하게 된다.


(1) 병해가 없는 자정능력 토양의 특징

   자정능력 토양에는 아미노산, 당류, 비타민, 생리활성물질, 에스텔 등의 성분이 풍부하다.  이 성분들은 작물의 영양흡수를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다른 유용미생물의 기질이 되기도 한다.  또한 이온(ion)문제도 이온이 없이 활성효과를 지니는 것도 많고 토양의 내수성과 토양 단립의 형성에도 그 효과는 매우 높다.  따라서 투수성과 보수성은 물론 무기양분을 유효화하고 토양 전면의 완충능력을 강화하므로 토양보전이나 환경보전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가) 토양병해가 없는 무농약 재배가 보장된다.

    ① 토양수의 용존산소율을 높혀 병균발생의 소지가 없어지는 호기성 토양이 조성

    ② 내수 성복합단립 구조의 발달로 토양입단이 보전되어 공기의 토양소통이 전천후로 지속

    ③ 지렁이 등 익충의 증식이 활발


  (나) 작물의 생장촉진이 보장된다.

    ① 식물홀몬과 비타민에 의해 뿌리세포의 분열이 촉진되는 등 뿌리의 발달이 촉진되어 영양의 흡수율이 크게 향상

    ② 용존산소율이 높은 깨끗한 토양수를 흡수 하므로서 식       물조직의 모든 기관들이 활력있고 균형있게 발달




(2) 토양의 유해성분을 정화하는 물질과 미생물의 생성과정


 

 

발효

각종유기물

방성균

고초균

사상균

초산균

프로피온산균

유기분해물인

이뉴린유,식초산,

아미노산당류,

알코올 무기양분의 가용화

2차 대사에 의한

항균물질, 비타민,

홀몬 각종 생리활성 물질 생성

발효형

 

 

 

 

 

 

 

 

 

 

 

 

 

 

 

 

 

 

 

 

 

균체에 의한

유기물 생성

 

 

 

 

 

 

 

 

 

 

 

 

 

 

 

 

 

부패

암모니아

탄화수소

유화수소

유해부패물질의 생성

 

부패가스, 열 발생

2차 대사에 의한

유해의 효소

저해물질 생성

부패형

 

 

 

 

 

 

 

 

 

 

 

 

 

 

 

 

 

 

 

젖산균, 고초균

아미노산

부패물질에서

당류, 무기양분의

가용화

 

2차 대사에 의한

항균물질

비타민, 홀몬

생리활성물질의 생성

합성형

 

 

 

효소

합성균

 

 

 




2. 화학비료 대체용 유기질 비료의 종류와 사용편



가. 웃거름 유기질 비료가 갖추어야 할 기본

  여기에서 말하는 유기질비료라 함은 가축분 이용의 퇴구비가 아니며, 어박, 유박 등의 고등비료를 지칭한다.

  제조공정의 규격화란 유기질이 갖는 4가지 기능들을 m2당 시비량 100g의 일정한 공정속에 축합하여 규격화된 비료를 만드는 것을 뜻하며, 이것은 유기질비료의 기능을 한차원 높이는 새로운 정립니다.  시용량 100g가 준의 틀이되는 것은 유기질 구성의 기본인 부식화량 확보가 이 100g에서터 가능하기 때문이다.  유기질비료로서의 공정표준화 기준은 다음과 같다.


(1) 부식량 조성의 적정치는 m2당 시용량의 60%이다.

    유기질비료의 시용   목적은 토양기능 개선에 필요한 부식량 확보 때문이며 그만큼 이 부식의 기능은 유기질비료의 사용 기본이다.  부식화량 60%중 리그닌, 단백질이 50%, 염기류가 10%이며 이 계수에 미달되는 부식은 토양 개선의 기능이 없다.


(2) 영양 3요소의 총 함유량은 8% 이상이다.

  질소, 인산, 칼리의 영양소 함유량은 100g당 각각 2%이상 되어야 한다.  이중 2% 이하가 되는 성분은 그 성분의 효능은 기대할 수 없다.  비료관리법 공정규격에는 7%이나 실제는 8%이상 되어야 한다.  이것은 유기비료도 화학비료와 같이 작물별 성분량을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3) 염기류의 함량은 공식기준의 10%이다.

    염기류의 칼슘, 칼륨, 마그네슘, 필수원소는 지력의 향상과 작물의 건전 육성을 위해서 3요소 못지 않는 필수성분들이다.  따라서 이것도 토양 100g중의 함유중량 공식기준치의 10%까지 함유되어야 한다.

  특히 우리나라는 산성비가 자주 내리면서 그 피해도 속속 나타나고 있어서 규소와 철분까지 포함시켜 왁스층의 손상을 방지하는 규질화가 필요하다.


나. 수도작 및 각종 작물재배에 적합한 혼합대두유박의 배합비료


계분은 질소와 인산성분의 함유량이 높아서 칼리만 보충한다면 단일 로서 유박비료 못지 않은 웃거름의 좋은 비료가 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사용량의 50%를 건조계분 나머지 50%를 유박과 혼용한다면 좋은 배합비료가 된다.


(1)  계분과 대두유박의 특성

(가) 계분의 특성

  닭은 오줌관이 장의 밑에 열려 있어서 오줌은 분과 함께 배출된다.

따라서 질소성분은 4분의 3정도가 오줌에 함유되어 있다.  특히 계분중 질소의 대부분은 뇨산태질소이며 토양속에서 미생물에 의하여 처음 탄소암모니아가 되고 다시 분해되어 식물이 흡수할 수 있는 질산태질소가 된다.


(나) 대두유박의 특성

  대두유박은 영양 3요소의 함량과 유기물의 함량도 매우 높고 그 분해가 완효성이 되어 모든 작물에 적합한 비료용 재료가 된다.  따라서 일시에 다량 시용하여도 과잉에서 오는 유해작용이 전혀 없기 때문에 안심하고 시용할 수 있다.  특히 대두박은 영양가가 높아서 가축의 사료용으로서도 사용가치가 높다.


(다) 대두유박의 성분

  주요 성분중 질소성분은 코린이며, 다음으론 알기닌이다.  이밖에 트리고네린, 아데닌, 히보산틴 등이 약간 들어있다.

인산성분은 휘틴태가 약 50%정도 차지했고, 이밖에 뉴크레인, 레시틴 등이 함유되어 있다.



(2) 시비량과 성분량

유 기 물

질  소 (%)

인  산 (%)

칼  리 (%)

건조계분

5.10

4.84

1.45

대두유박

6.67

1.48

2.07

평균성분

5.88

3.16

1.76


  (가) 1평당 594g 시비했을 때의 성분량

       질소 9%, 인산 5.68%, 칼리 3.16%

       300평당 총시비량 178Kg


  (나) 본 비료의 효능지속기간은 90일 이것이 장점이자 특징이다.



다. 병해방제용 채종유박 배합비료

(1)  본 비료의 특성

  (가) 본 비료도 화학비료와 같이 각종 재배작물의 영양 성분비를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다.

     대개의 유기비료는 성분의 함량이 낮고 그 성분비를 자유로이 조절 할 수 없는 결점이 있어서 작물별로 소요되는 영양성분의 확정이 불가능했다.


   본 비료는 이것이 특색이다.


  (나) 본 비료도 수용성으로 정식 물비료가 된다.

     이것은 화학비료의 기능과 일치되는 동질성이다.

   토양겉면에 시비한 본 비료의 건물 유기질은 화학비료와 같이 관수 또는 물에 의하여 일단 물비료(액비)가 되어서야 뿌리에 흡수된다.  이점이 화학비료를 대용케 하는 문제해결의 가장 근본 문제이다.


     본 비료의 유기질인 유박과 쌀겨는 유기물 중 유일하게 물에 썩지 않물비료가 되는 재질이다. 


  (다) 본 비료에 의한 병해방제 내용

병     균

병    명

발 병 작 물

조장된 병해

Rhizoctonia

Pythium

잘 록 병

담배, 아마, 강낭콩, 완두,

감자, 가지, 무, 순무우,

양배추, 수박, 토마토

모든 유기비료중

조장된 병해가

없는 비료는 볏짚으로 만든 퇴비와 본 비료뿐이다.

Fusarium

시들음병

토마토, 완두, 아마, 참깨

덩굴쪼김병

오이, 멜론, 참외, 고구마

뿌리썩음병

튜울립, 인삼

붉은 곰팡이병

공기전염

도 열 병

수 도 작 물

없   음

깨씨무늬병

수매전염

잎집무늬병

좀 균핵병



라. 채소류 재배에 적합한 가금비료

(1) 본 비료의 특성

    결구배추의 생리는 그 생장과정에 있어서 2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첫단계는 겉잎을 두텁게 만드는 과정이고, 다음 단계는 속이 차는 결구의 과정이다.

    겉잎을 두텁게 만드는 기간은 보통 50일 정도이며 이 기간에는 잎을 두텁게 만들기 위하여 질소의 흡수율이 가장 높다.  가금류 계분도 결구채소와 같이 질소의 분해 과정이 2단계로 구분된다.

  첫단계의 분해 기간은 40~50일이며 이 기간 분해되는 질소의 양은 계분 전체 질소의 75%가 되므로 질소의 공급량이 매우 높다.  이점에서 질소의 공급량과 효능 지속기간은 배추의 1단계 과정과 일치한다.

    배추의 2차 과정은 결구기에 들어가며 이 기간의 질소 흡수량은 1차 때보다 크게 떨어지는 이 점이 결구배추의 특징이다.  계분 등 가금분의 분해도 결구배추와 같이 2차 분해과정에 들어가며 이때의 질소 분해량도 1차 때보다 크게 떨어져 나머지 25%가 이 기간에 분해된다.

    여기에서 배추의 질소 흡수량이 감소되는 과정의 기간과 가금분 질소 분해의 2차 단계와 그 기간도 일치한다.

    이것으로 질소의 분해 기간은 80일 정도 이어지므로 결구배추의 재배기간과 일치한다.  이렇게 되면 화학비료의 사용도 단절되고 무사마귀병의 피해도 방제되는등 고품질의 유기농산 배추가 생산될 수 있다.


(2) 시비량과 성분비율

종   류

수 분

유기물

질 소

인 산

칼 리

석 회

산란계건분

11.4%

68.86

5.10%

4.84%

1.45%

7.43%

집오리건분

10.00

-

4.90

4.46

1.60

-

평      균

 

5.0%

4.65%

1.52%

 


   1평당 660g 시비했을 때의 성분 - 질소 10%, 인산 9.30%, 칼리 3.04%

   짚채 22Kg 보층, 300평당 - 198Kg



마. 과수 과채류의 고당도 재배에 적합한 다기능 비료

  유기다기능 비료는 화학비료를 전혀 사용치 않는 대체용 유기비료이며, 이에는 원비와 토곡비료 등 두가지 종류가 있다.  원비는 과수와 채소작물 특히 시설재배에 적합하고 토곡비료는 수도작 추비와 벧드재배를 할 절화재배와 과채류재배용 배양토가 된다.

  특히 본 비료는 다음과 같은 세가지 특성을 지니고 있으며, 무농약 고품질 재배를 가능케 하는 종합기능의 비료이다.


(1) 본 비료의 특성

  (가) 작물의 생리와 질소 흡수율

    작물은 원래가 체내에 당분을 축적하기 위하여 생리적으로 처음부터 끝까지 일정한 양과 일정한 수준으로 질소를 흡수한다.  그러나 흡수과정에서 질소의 공급이 과잉되던가 또는 과소가 되는 난조가 생기면 당분은 전부 질소로 돌아가서 체내에는 당분의 축적이 없어진다.

    이와 같은 현상은 속효성의 화학질소비료를 시비할 때 흔히 생기나 유기질 비료는 질소의 함량이 아무리 높아도 그 분해가 느린 완효성 또는 지효성이 되어 질소의 과다흡수가 없다.  질소비료를 많이 시비한 채소류는 쓴맛이 있어도 유기농산물이 고소한 이유는 이것 때문이며 이것은 작물이 질소를 흡수하는 양과 유기물의 분해에서 공급되는 질소의 양과 일치해야만 되고 또한 중간 중간 단절되는 일도 없어야 가능하다.


  (나) 질소에 대한 작물의 흡수량과 공급량이 일치한다.

    본 비료의 배합 유기물 종류에 있어서 건조계분, 채종유박, 어박 등은 모두 질소질 유기물이며 이중 계분은 그 분해가 속효성이 되어 효능 지속기간이 짧다.  그러나 어박은 이보다 분해가 느린 완효성이 되어 단절되는 계분 효능의 그 뒤를 이어줄 수 있고, 또한 분해속도가 가장 느지효성 유박의 효능은 어박의 효능에서 단절없이 더 연장시킬 수 있어서 작물에 공급하는 질소의 양을 일정한 수준에서 중단없이 이어갈 수 있다.


  (다) 본 비료의 효능 지속기간

    특히 본 비료의 효능 지속기간은 80일이 되어 재배기간 90일의 일반작물 대부분에 당도를 높일 수 있고 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재료 중 골분의 인산은 작물의 당도와 꽃빛깔의 선명도에 크게 기여하고 토양에 집적되는 일없이 전량 작물에 흡수되므로 그 효능은 두드러져 당도가 높아야 하는 과수류와 과채류에는 크게 도움을 줄 수 있다.



(2) 시비량과 성분 비율

  (가) 다기능 원비

재 료 명

사 용 량

재 료 명

사 용 량

건조계분

100 Kg

쌀    겨

20 Kg

채종유박

50 Kg

 

 

어    박

50 Kg

볏 짚 재

22 Kg

골    분

50    Kg

발효합성균

500 g



    ◦ 함 유  성 분 량  :  질소 3.64%, 인산 3.54%, 칼리 3.28%

    ◦ 시     비    량  :  평당 904g,  300평당 271Kg

    ◦ 시비량당 성분량  :  질소 10%, 인산 9.69%, 칼리 8.98%

    ◦ 사  용   범  위  :  과수원예, 채소원예



3. 유기물에 의한 토양병 방제의 원리와 그 실제



탄소질소재 - 마른풀, 볏짚→길항균→토양서식형 기생균의 방제사슬

질소질소재 - 열매씨알→초산생성균→근계서식형 기생균의 방제사슬



가. 유기물이 토양병을 방제하는 원리

(1) 토양병의 종류

토양서식형 기생병 - 모잘록병, 잘록병, 시들음병, 궤양병, 뿌리썩음병

                     흰빛날개무늬병

근계서식형 기생병 - 무사마귀병, 더뎅이병, 덩굴쪼김병, 마름병, 점무늬병


(2) 유기물의 토양병 방제사슬

     마른풀, 볏집 - 호기성포자형성균서식 → 길항균 →토양서식균의 방제사슬

   

열매씨알 - 혐기성포자형성균

 

초산생성균→근계서식균의 방제사슬

 

프로피온산균

 

 


길항균에 의한 방제병해 - 모잘록병, 잘록병, 시들음병, 덩굴쪼김병,

                            탄저병, 흰비단병

초산에 의한 방제병해 - 무사마귀병, 더뎅이병, 덩굴쪼김병, 마름병

                         점무늬병, 뿌리썩음병

나. 화학성비료가 토양병 방제사슬을 파괘하는 근거

(1) 질소비료에 의해 발생되는 토양병해

       암모니아태질소 - Fusarium, Rhizoctonia, Aphanomyces병균증가

      질산태질소 - 시들음병, 뿌리썩음병, 검은빛뿌리썩음병, 더뎅이병 조장


(2) 질소과잉과 산성토양에서 발생하는 병해(이바라기농시)

구       분

발     병     병     해

질 소 과 잉

역병, 무름병, 풋마름병, 시들음병

산 성 토 양

시들음병, 모잘록병, 무사마귀병


(3) 염기류과잉집적과 알카리성 토양에서 발생하는 병해(이바라기농시)

구       분

발     병     병     해

염기류 과잉

더뎅이병, 잘록병, 점무늬병, 모잘록병, 풋마름병

알카리성 토양

더뎅이병, 모잘록병, 반시들음병, 검은빛뿌리썩음병



다. 병해방제에 대한 유기물의 사용효과

  ◦ 기본적인 방제병 - 모든 유기물의 공통점은 후자륨균에 의해 발생되는 덩굴쪼김병과 시들음병이다.

  ◦ 방제효과가 확실한 농작물 - 과채류, 엽채류, 뿌리채소의 순위이며, 토마토, 무우, 감자로 나타난다.

  ◦ 윤작의 효과가 없는 병해 - 무사마귀병, 모잘록병, 시들음병균은 발생하면 5년이상 토양서식 때문

  ◦ 유기물의 토양과잉 - 무우, 감자 등 괴경작물의 병해조장


구      분

병     해    방     제     상     황

채소류에 대한

퇴비의 효과

유기물퇴비는 근권미생물을 증대시켜 뿌리계의 발달과 신장을 촉진시키고 병해억제 기능을 강화하며, 감자, 무 등 뿌리채소의 증수에 직결된다.

퇴비효과의 특징

과채류인 오이, 토마토, 가지등은 유기물 사용량이 높을수록 방제효과가 높아지고 괴경작물의 무우, 감자 등은 조장되는 경향이다.


(1) 토양병 살균력이 가장 높은 유기물의 종류

쌀    겨

초산의 방부제 성분에 의해 병해 방제력이 가장 길게 지속되므로 살균범위가 대단히 넓다.

유    박

겨자유의 강초산 성분이 높아 살균범위가 매우 높다.

쌀겨유박

모잘록병, 잘록병, 시들음병, 무름병, 뿌리썩음병, 녹병, 도열병

볏    짚

배추 무사마귀병, 가지 반시들음병, 담배 흰비단병, 감자 잘록병

톱    밥

감자 더뎅이병, 아스파라가스의 자주빛날개무늬병

볏짚퇴구비

토마토 뿌리썩음병

소석회패화석

양배추 마사마귀병, 무우 시들음병, 땅콩 흰비단병

건조돈분

오이의 덩굴쪼김병과 잘록병 방제에 효과가 확실하며, 오이의 연작재배에도 무난하다.


(2) 유기물에 의해 조장되는 병해 (이바라기농시)

톱    밥

① 과수의 흰빛날개무늬병, 자주빛 날개무늬병

② 가지의 시들음병, 갈색썩음병

돈    분

무우 시들음병, 감자의 분상더뎅이병, 피망의 역병

우    분

무우 시들음병

녹    비

무우 시들음병, 콩과 작물의 흰비단병

소석회, 패화석

감자 더뎅이병, 뽕나무 흰빛날개무늬병

유기물에 의해 방제 또는 조장되는 병해의 종류 [이바라기농시보고 (1982)]

유 기 물

방 제 되 는  병 해

조  장 되 는  병 해

작    물

병    해

작    물

병    해

게 껍 질

새우껍질

오    이

덩굴쪼김병

수     박

잘록성역병

토 마 토

시들음병

 

 

딸    기

황 화 병

 

 

무    우

시들음병

 

 

순 무 우

무사마귀병

 

 

배    추

무사마귀병

 

 

소 석 회

패 화 석

오    이

덩굴쪼김병

감    자

더뎅이병

토 마 토

시들음병

뽕 나 무

흰빛날개무늬병

양 배 추

무사마귀병

 

 

무    우

시들음병

 

 

무    우

구열증상

 

 

낙 화 생

흰비단병

 

 

퇴비와 소석회혼합

오    이

덩굴쪼김병

 

 

토 마 토

시들음병

 

 

유박쌀겨

잔    디

잘 록 병

 

 

시들음병

 

 

무 름 병

 

 

우    분

 

 

무    우

시들음병

마    분

과 수 목

자주빛 날개무늬병

 

 

수피와

톱밥퇴비

오    이

덩굴쪼김병

가    지

반시들음병

토 마 토

시들음병

가    지

갈색썩음병

감    자

더뎅이병

무    우

갈색구열증상

감    자

분상더뎅이병

 

 

아스파라가스

자주빛날개무늬병

 

 


녹    비

 

 

흰비단병

 

 

낙 화 생

흰비단병

 

 

무    우

시들음병

볏    짚

오    이

덩굴쪼김병

 

 

감    자

잘 록 병

 

 

토 마 토

시들음병

 

 

담    배

흰비단병

 

 

계    분

오    이

덩굴쪼김병

토 마 토

시들음병

토 마 토

시들음병

무    우

시들음병

양 배 추

시들음병

감    자

분상더뎅이병

배    추

무사마귀병

 

 

순 무 우

무사마귀병

 

 

돈    분

오    이

덩굴쪼김병

감    자

반시들음병

오    이

잘 록 병

피    망

역    병

토 마 토

시들음병

무    우

시들음병

순 무 우

무사마귀병

감    자

더뎅이병

 

 

양 배 추

시들음병

볏짚퇴구비

오    이

덩굴쪼김병

 

 

토 마 토

시들음병

 

 

토 마 토

뿌리썩음병

 

 

아 스파라가스

자주빛날개무늬병

 

 

커 피 박

오    이

덩굴쪼김병

가    지

반시들음병

 

배    추

무사마귀병

가    지

갈색썩음병


www.bionel.co.kr

  Bio Spheres = Nature + Environment + Life = BioNEL

(주)바이오넬

TEL 041-742-9651

충남 논산시 연무읍 신화리 557번지 (우 320-837)

 Chief,  Office of E-business

TEL 041-741-1503

E-MAIL  bionel4u@gmail.com

 

--------------------------------- 

P바이오넬 비즈센터

》BIONEL-BIZ CENTER

 농업분야에 블루오션이 뜬다!

-------------------------------  

///////////////

 ^

》BIONEL-BIZ CENTER

 http://cafe.daum.net/bionelbiz

  귀하를 바이오넬 비즈센터에 초대합니다.

 

출처 : 바이오넬 비즈센터
글쓴이 : 바비즈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