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원생활/일반 농작물
[스크랩] 서리태 재배
예농
2008. 12. 3. 21:00
글쓴이 : 오성식 전북 남원시
재래종 서리태는 고랭지가 아닌 이상 일찍 파종하면 수확량이 적습니다.
수확기를 10월 하순경으로 잡고 심어야 합니다.
보통 중부지방은 5.15일경, 남부지방은 5.20일경 파종하면 수확기에 서리가 옵니다.
서리태는 서리를 맞아도 얼지 않습니다.
약간 덜익은 콩도 베어서 말리면 마르면서 착색이 완전하게 됩니다.
서리태는
속이 노란 변종이 나오며 메주콩과 한밭에 심지 않아야 합니다.
파종기가 같으면 개화기가 한달가량 늦어서 교잡은 안된다고 보아야 합니다.
재래종 서리태는 그래서 겉과 다르게 약 30% 정도 속노란
변종이 섞여 있습니다.
채종하려면 수확기때 속노란 서리태가 먼저 익고 콩깍지가 연한 색이므로
색출해 낼수 있습니다.
맛은 속노란 서리태도 동일합니다.
서리태는 비옥한 밭에 심지 않아야 하며, 8월 하순경과 9월 중순경에 약제를 살포하면
큰 병충해는 없습니다.
참고로 중국종 서리태는 수확기가 11월 상순경으로 아주 늦고, 초장만 커서
한국풍토에 맞지
않습니다.
많은 참고가 되시길 바랍니다.
끝.
글쓴이 : 홍은희 농촌진흥청 상담사
안녕하십니까.
농촌진흥청 홈페이지를 통하여 서리태콩에 대한 정보를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농촌진흥청 홈페이지를 통하여 서리태콩에 대한 정보를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서리태는 서리를 맞고서야 낙엽이 되는 극만생종이며 오랜 옛날부터 밥밑콩용으로
재배하여온 재래종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서리태콩은 단일 품종이 아니고 유사한 품종들이 많습니다.
종피가 검정이면서 자엽색이 노란, 또는 녹색인 것들이 있습니다.
1990년도 초반 전국의 검정콩 1000여점을 수집하여 특성조사를 하여 본 결과 종피는
같은 검정색이고 콩알 크기도 거의 같으면서 속 자엽색이 노란색과 녹색으로 구분됩니다.
그러므로 서리태를 재배하여 자엽이 노란색과 녹색이 나오면 일차적으로 혼종된 것으로
봐야 합니다.
그래서 농가에서 재배되고 있는 서리태는 상단 수가 혼종상태에 있다고 봅니다.
콩은 자연 교잡율이 낮으나 오래 재배하다 보면 다른 품종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서리태는 맛이 좋기 때문에 소비자들이 선호하고 있으나 결점이 있다면 너무 늦은 품종이고
서리태는 맛이 좋기 때문에 소비자들이 선호하고 있으나 결점이 있다면 너무 늦은 품종이고
수량이 300평당 100kg 내외 밖에는 생산되지 않습니다.
선생께서 말씀하신대로 같은 포장에 심은 서리태가 성숙이 빠른 개체라든가 또는
초형의 차이, 꼬투리색갈의 차이가 있다던지 하는 것은 해마다 골라 뽑아내면
순종의 서리태를 재배할 수 있을 것입니다.
최근에 재배상의 문제점이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가 발생하여 꼬투리에 침을 박고
흡즙을하면 그 꼬투리는 비대하지 않고 그냥 말라버려 콩 수확량을 전혀 얻을 수 없는
심각한 상태까지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개화기 부터 10일 간격으로 3회정도 살충제를
반듯이 주어야합니다.
끝.
글쓴이 : 고종민 영남농업연구소 전특작과
콩 재배에 많은 관심을 가져 주셔서 대단히 감사합니다.
문의하신 서리태의 적정파종기(경북의성에서)는 5월 하순경 입니다.
너무 일찍 심으면 줄기와 잎만 무성하게 되고 키가 너무 커서 쉽게 쓰러지게 됩니다.
문의하신 서리태의 적정파종기(경북의성에서)는 5월 하순경 입니다.
너무 일찍 심으면 줄기와 잎만 무성하게 되고 키가 너무 커서 쉽게 쓰러지게 됩니다.
또한 콩모자이크 바이러스병을 비롯한 병충해가 심하게 발생하게 되는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일반적으로 적정파종기보다 작물이 과번무(과생육)하고 병충해나 자연재해에 노출이 많아 수량감소가 심하게됩니다.
일반적으로 적정파종기보다 작물이 과번무(과생육)하고 병충해나 자연재해에 노출이 많아 수량감소가 심하게됩니다.
또한 늦게 심으면 생육량이 부족하게 되고 가을에 등숙이 불량하여 수량이 감소하게 됩니다.
서리태는 일반적으로 가을 늦게까지 생육을 유지하다가 서리를 맞아야 등숙이되는
서리태는 일반적으로 가을 늦게까지 생육을 유지하다가 서리를 맞아야 등숙이되는
재래종 검정콩으로 속(자엽)이 녹색인게 특징입니다.
두번째 문의하신 서리태와 일반 황색 메주콩을 매우 근접해서 키우면 서리태의
속이 녹색에서 노란색으로 변하느냐는 질문에 답변드립니다.
콩은 자식율이 매우 높은 작물이기 때문에 옆에 있는 다른 콩과 과 교잡이
거의 일어나지 않습니다.
그러나 100%교잡이 않되는것은 아니라 아주 낮은 비율(0.5%이하)로 교잡이
일어날수는 있습니다.
그래서 너무 가까이 밀착해서 심지않고 2종간 3m정도의 거리을 유지하면 큰 문제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세번째 겨울동안 일반창고에서 보관된 종자가 발아에 문제가 없느냐는 문의에
세번째 겨울동안 일반창고에서 보관된 종자가 발아에 문제가 없느냐는 문의에
대해 답변드립니다.
기본적으로 습기가 없고 온도변화가 심하지 않았다면 일반 창고에서 전년도 수확에서
파종까지 기간 정도는 큰 문제가 없습니다 .
그래서 창고에 습기가 많지 않았는다면 겨울추위는 종자 발아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으리라 생각됩니다. 그러나 일반창고에서 1년 이상 장기간 보관하게 되면
종자의 발아력이 급속하게 떨어지게 되기 됩니다.
그래서 장기간 보관시에는 습도가 낮은 저온창고에서 보관하시길 바랍니다.
문의하신 성선생님의 콩 저장상태를 정확히 몰라 가급적이면 파종전에 종자 50립 정도를
문의하신 성선생님의 콩 저장상태를 정확히 몰라 가급적이면 파종전에 종자 50립 정도를
간단히 발아시켜 발아력을 검정하시는게 좋을것 같습니다.
올해도 풍년농사 이루시길 기원합니다
올해도 풍년농사 이루시길 기원합니다
출처 : 팔봉산목장
글쓴이 : 솔메 원글보기
메모 :